고려대가 박사학위가 없다는 이유로 강의를 배정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그간 학교측과 시간강사의 처우문제로 대립해오던 김영곤교수(전국대학강사노동조합고려대분회장)에게 강의배정을 하지 김영곤교수와 세종캠퍼스총학생회 등 학생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 과정에서 학교측은 김영곤교수의 강의 미배정에 대한 근거를 끊임없이 번복했다.


사건의 발단은 이 대학에서 강의를 맡아온 김영곤교수가 2013년도 뚜렷한 이유없이 강의를 배정받지 못한 것에서 시작됐다. 이에 대해 학교측이 밝힌 첫번째 이유는 '박사학위가 없는 자는 강의배정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허나 고등교육법에 따르면 대학졸업자라 하더라도 연구실적연수 2, 교육경력연수 1년의 기간만 거치면 누구나 강사가 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고려대학칙에서도 비정년트랙 임용기준을 ‘박사학위소지자’라고 정하고 있지만 경력과 능력을 고려해 임용이 가능하다는 예외조항이 명시돼 있다.


 0209김영곤교수3.jpg

사진=대학강사교원지위회복과대학교육정상화투쟁본부


0209시간강사4.jpg

사진=대학강사교원지위회복과대학교육정상화투쟁본부


이에 대해 학생들은 '고등교육법상 조항을 무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특히 학생들의 강의평가가 우수한 과목임에도 강의를 배정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학교측은 말을 바꿔 '총장의 권한내에서의 업무지시'라고 강의미배정이유를 바꿨다가 다시 한번 '학교의 경영정책이 사유'라고 말을 바꿨다. 이는 경영상 적자가 나는 기업에서 마지못해 인원을 감축할 때 쓰는 정책적 결단으로 비영리기관인 학교에서 단한번도 등장해 본 적이 없는 사유다.


학생들은 이런 이유를 내놓은 배경에 대해 고용자와 피고용자간의 노사간 문제로 몰아 고용자인 학교가 집행할 수 있는 고유권한에 대해 누구도 뭐라고 할 수 없도록 만들려는 것이라고 항의했다.


고려대 학생단체들과 김영곤교수는 성명서를 통해 ‘규정과 현실을 무시하고 박사가 아닌 강사에게 강의를 주지 말라는 지침을 전달한 것은 사실상 탄압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학생들에게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강사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적립금과 고위험금융파생상품’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내구성원들의 처우를 개선할 돈은 없다고 말하면서, 금융투자 같은 돈놀이를 위해서는 쟁여놓은 돈도 마다않고 쓰는 것이 학교당국’이라며 비난했다.


고려대세종캠퍼스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수업권을 학교측이 일방적으로 무시하는 처사”라며 “이로 인한 강사들의 고용불안이 극대화되고 학생들도 강의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0209시간강사6.jpg

사진=대학강사교원지위회복과대학교육정상화투쟁본부


김영곤교수는 여의도 국회의사당앞에서 부인 김동애씨(한성대시간강사)6년간 천막농성을 해오면서 교육당국시간강사들에 대한 처우개선을 요구해으며 지난해 215일부터는 임금인상과 수업방식 및 환경개선 등을 요구하며 고려대 본관앞에서 천막농성을 진행해왔다. 현재는 대학이 제기한 농성금지가처분신청에 대한 심의중에 있다.


유하나기자

번호 제목 날짜
152 고려대, 내년부터 성적증명서에 ‘F학점’ ‘재수강’ 표기한다 file 2013.12.09
151 교육부 “총장직선제 부활시 대학 재정지원중단” file 2013.12.07
150 옛탐라대부지, ‘교육용부지’만들라고 헐값에 내놨더니 ’수익용부지’로 매각한다고? file 2013.12.06
149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
148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47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46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45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44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43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42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41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40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39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38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37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36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35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34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33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32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31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30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29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28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27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26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25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23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22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21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20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19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18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17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16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15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14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13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12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11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1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09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08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07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06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0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04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03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