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한진중공업투쟁 관련 ‘희망버스’에 탑승했다는 이유로 서울대측이 지난 2월28일 정년퇴임한 김세균전교수(코리아국제포럼공동대표)를 서울대명예교수직에 임명하지 않고 보류한데 대해 민주노총부산지역본부 김진숙지도위원이 공개편지를 통해 항의했다.

김지도위원은 16일 서울대 오연천총장앞으로 보낸 편지글을 오마이뉴스에 게재해 김전교수에 대한 명예교수직임명보류가 부당하다고 밝혔다.

김지도위원은 편지에서 ‘아직도 봉건시대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영주에서 자본으로 이름을 바꾼채 노동자들을 지배하는 회사들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최고의 지성을 키우고 그지성들이 보고 배울 학문의 전당에서 이런일이 일어나리라고 상상도 못했던 건 비단 저뿐만은 아니리라 여겨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제가 크레인에 오른지 158일만에 처음 희망버스가 왔다, 그전까지 저는 그저 외롭고 쓸쓸하고 막막했다’며 ‘주말의 휴식을 고스란히 반납한 채 왕복 열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를, 그것도 자신들의 호주머니를 털어 비용까지 감당해가며 화장실도 마땅히 없는 길거리에서 절망버스라는 비난까지 감수해가며 연대했던 그분들이야말로 저는 이사회 진정한 지성인들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책상의 이론이 아니라 학자의 양심에 따라 약자들과 연대하고 그신념을 올곧게 지켜오셨던 김세균교수님에 대한 명예교수직박탈은 부당’하다며 ‘서울대교수님이기도 하시지만 힘이 없어 쫓겨나고 억울하게 속울음을 울며 가슴이 멍들어가던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몸으로 가르치셨던 진정한 스승’이라고 강조했다.

김지도위원은 ‘서울대가 끝내 김세균교수님의 명예교수직을 박탈한다면 그것은 많은 이들에게 상처로 남겨질 것이고 서울대에는 오점으로 남을 것’이라며 ‘서울대가 누구의 대학인지 헤아려달라, 평생 부당한 일에 앞장 서 오셨던 김세균교수님께서 부당한 일을 겪으시지 않길 간곡한 마음으로 빈다’고 편지를 마무리했다.

한편 김지도위원은 한진중공업문제와 관련 자신이 걸어온 겹쌓인 난관에 대해 ‘309일동안 스스로를 유폐했던 85호크레인에서 내려오고 나서도 입원치료를 두달이상 받아야 했고, 이어지던 검찰소환, 재판, 그리고 보고 싶었던 분들을 만나러 다녔던 1년여의 시간들. 그리고 한진중공업의 노사합의위반으로 또다시 노동자의 죽음. 그 원한 맺힌 노동자의 장례를 치르는 데만 66일이 걸렸고 그과정에서 저에게 다시 발부된 체포영장과 경찰조사, 보강조사, 구속영장 청구, 영장실질 심사, 기각, 다시 보강조사, 구속영장재청구, 다시 기각. 이후로도 저의 신변은 제 소관이 아닌 채로 안개속에 놓여있다’고 소회했다.

아래는 편지전문이다.

오연천 총장님께 


이런 일이 아니었다면 저같은 사람이 서울대 총장님 성함이나 알고 살았겠습니까.


'이런 일'이라 함은 희망버스를 탔다고 김세균 교수님께서 명예교수직이 임명보류된 일을 이릅니다. 저는 이렇게 상식과 순리를 거스르는 일은, 아직도 봉건시대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영주에서 자본으로 이름을 바꾼 채 노동자들을 지배하는 회사들에서나 일어날 법한 일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저같이 공장에서 잔뼈가 굵고 거리에서 철이 든 노동자들은 김세균 교수님 같은 분들이 계시니 서울대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지성의 전당으로 어울린다고 믿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지성을 키우고 그 지성들이 보고 배울 학문의 전당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리라고 상상도 못했던 건 비단 저 뿐만은 아니리라 여겨집니다.    


사춘기를 40여년 전에 지났음에도 저는 웃자라고 있는 건지 아직도 질풍노도의 풍파 속을 벗어나지 못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김세균 교수님 이야기를 이제야 들었습니다


309일 동안 스스로를 유폐했던 85호 크레인에서 내려오고 나서도 입원 치료를 두달 이상 받아야 했고, 이어지던 검찰소환, 재판, 그리고 보고 싶었던 분들을 만나러 다녔던 1년여의 시간들.그리고 한진중공업의 노사합의 위반으로 또다시 노동자의 죽음.


그 원한 맺힌 노동자의 장례를 치르는 데만 66일이 걸렸고 그 과정에서 저에게 다시 발부된 체포영장과 경찰조사, 보강조사, 구속영장 청구, 영장실질 심사, 기각, 다시 보강조사, 구속영장재청구, 다시 기각. 이후로도 저의 신변은 제 소관이 아닌 채로 안개 속에 놓여있습니다.


그래서 김세균 교수님께 어떤 일이 있었는지 오늘에야 알게 됐습니다. 85크레인에 있던 저를 살리겠다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몇 번을 달려오셨던 김세균 교수님의 그 순정과 뜨거운 마음에 비하면 저의 게으름이 부끄럽고 죄송할 따름입니다.


제가 크레인에 오른지 158일 만에 처음 희망버스가 왔습니다. 그전까지 저는 그저 외롭고 쓸쓸하고 막막했습니다. 그 85크레인은 저의 20년지기 친구이자 동지였던 김주익 지회장이 129일을 매달려있다 목숨을 끊은 곳이고, 그의 죽음에 죄책감을 견디지 못했던 곽재규라는 순하디 순한 노동자가 47년 한많은 생애를 던졌던 4도크가 바로 앞에 보이는 곳입니다.


김주익 지회장의 시신이 누워있던 85크레인 위엔 삶의 기운보단 죽음의 기운이 훨씬 강했고, 땅보다는 하늘이 훨씬 가까운 공간이었습니다. 그렇게 한뼘 한뼘 하늘에 더 가까워질 무렵 희망버스가 왔습니다. 그 버스에 김세균 교수님이 타셨다는 건 뒤늦게야 들었고 희망버스가 다녀가면서야 멈춰선 채 녹슬어가던 크레인에 비로소 작은 희망의 싹이 자라는 게 보였습니다.


주말의 휴식을 고스란히 반납한 채 왕복 열 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를, 그것도 자신들의 호주머니를 털어 비용까지 감당해가며 화장실도 마땅히 없는 길거리에서 절망버스라는 비난까지 감수해가며 연대했던 그분들이야말로 저는 이 사회 진정한 지성인들이라고 믿습니다.


탱크의 편이 아니라, 탱크 앞에 맨몸으로 서있는 자와 연대하는 이들이 많아질수록 그 사회는 탱크의 힘이 아니라 지성과 상식의 힘으로 굴러가게 될 것입니다. 아침 일찍 집을 나서 통근버스를 타고 똑같은 길을 따라 똑같은 공장에 출근해서 똑같은 자리에서 똑같은 일을 하다 다시 똑같은 길을 따라 집으로 돌아가는 생활을 십년 넘게 거듭하는 노동자들은 사실 세상이 누구의 편인지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 미처 깨달을 여지도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갑니다.


그러다 이름과 사번이 찍힌 해고통지서를 받아드는 순간 세상이 뒤집히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때만 해도 순진하게 믿게 되지요. 내가 억울하니 내 얘기를 누군가는 들어줄 것이다. 내가 당한 일이 말도 안 되니 시간이 지나면 바로잡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하루 이틀이 지나면서 언론도, 정치도, 법도, 심지어는 정부내 유일하게 노동자들을 위한 부처인 노동부마저 자신들의 편이 아님을 알게 되면 대체로 두 가지 반응이 나타납니다. 포기하거나 계속 싸우거나.


저는 후자의 경우였고 그렇게 28년이 흘렀네요. 해고된 노동자들이 가장 간절하게 그리워하는 건 일상으로 돌아가는 일입니다. 집에서 밥먹고 집에서 자고 아침에 일어나 씻고 출근하는 일. 그러나 그 일상으로 돌아가는 길이 가장 멀고 험난한 게 현재 해고노동자들의 삶입니다. 세상이 무너지는 억울한 일을 당했는데 세상 아무도 내편이 없다는 절망감. 세상에 그보다 큰 절망이 또 있을까요.


서울대, 누구의 대학인가요


그렇게 저와 우리 조합원들이 절망과 외로움에 지쳐갈 때 희망버스가 왔습니다.  그 절망에 따뜻이 내밀어주는 손길들에 의해 세상은 그래도 살만한 곳이라 믿게 되고 그 믿음들이 부정과 온갖 부조리 속에서도 우리 사회가 이만큼이라도 유지되는 거라고 저는 믿습니다.

두사람의 생목숨을 던져 맺어진 노사합의조차도 어기는 자본. 그걸 지키라고 싸우고 그렇게 맺어진 합의를 또다시 어겨 또다시 노동자가 죽고.


누군가의 죽음의 댓가로 인해 나머지 사람들은 죄책감을 평생 지닌 채 불안하게나마 일상으로 돌아가는 일.이런 악순환을 이제는 끊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총장님.


책상의 이론이 아니라 학자의 양심에 따라 약자들과 연대하고 그 신념을 올곧게 지켜오셨던 김세균 교수님에 대한 명예교수직 박탈은 부당합니다. 김세균 교수님은 서울대 교수님이기도 하시지만 힘이 없어 쫓겨나고 억울하게 속울음을 울며 가슴이 멍들어가던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몸으로 가르치셨던 진정한 스승이셨습니다.


따라서 서울대가 끝내 김세균 교수님의 명예교수직을 박탈한다면 그것은 많은 이들에게 상처로 남겨질 것이고 서울대에는 오점으로 남을 것입니다.


서울대가 누구의 대학인지 헤아려 주십시오. 평생 부당한 일에 앞장 서 오셨던 김세균 교수님께서 부당한 일을 겪으시지 않길 간곡한 마음으로 빕니다.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지도위원 김진숙 올림

 

출처 : 오마이뉴스

 
나영필기자
*기사제휴: 진보노동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374 '온국민의 알바화?' … 박대통령 '시간제' 발언에 각계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3 시간강사도 퇴직금지급 판결 … ˝학교측의 시간강사들의 일방적 퇴직에 제동걸만한 계기되기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2 대전사립대 경리팀장 공금횡령 후 잠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1 ['일베'분석 연재기고] ④ 5.18, 그리고 의북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1
370 이대생들 “김활란 동상 철거하라” 쪽지플래시몹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1
369 박대통령 취임100일 ... 풍자영상 〈아임 마더 파더 젠틀맨〉 나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8 박원순 서울시장 “반값등록금은 의지의 문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7 대학생들을 위한 ‘제1호 반값기숙사’ 홍제동에 착공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6 예술전공대학생들 “취업률 중심의 대학평가지표 개선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2
365 ‘국가장학금’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 탈락률 높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2
364 세종대에 이어 울산대에서도 실험실 안전사고 발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3
363 사립대교비회계예산공개 ‘구멍이 숭숭’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3
362 누구를 위한 민간투자인가 … 부산대총학생회 ‘효원굿플러스문제해결’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4
361 “고려대는 입학금산출근거와 사용내역 공개하라” 고려대 ‘고함실천단’의 고함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4
360 반값등록금국민본부 “정부와 국회는 반값등록금 실현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5
359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5
358 알바연대, 알바생들 노동조건과 근로기준법준수여부 파헤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7
357 중앙대 비교민속학과학생들 “전통문화를 지키기위해, 우리의 꿈을 지키기위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7
356 한대련 ‘6·15 남북공동행사 성사,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8
355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8
354 교육부 시정명령에도 꿈쩍 안하는 대학들 … 대학평의원회설치 올해는 가능할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9
353 1987년 그 뜨거웠던 6월, 그날을 되새기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2 6.10민주항쟁 26주년 맞아 시민들과 함께하는 각종행사 진행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1 이한열열사 26주기추모제 열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0 중구청, 또 대한문농성장 기습침탈 ... 쌍용차 김정우지부장 등 16명 연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1
349 [기고] 6월항쟁 26주년 ... '이한열열사는 아직 살아 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1
348 고등교육예산 매년 증가했지만 전체 정부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7 강남구청 ‘분향소’ 빌미로 최저임금1만원위원회캠프 철거위협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6 [인터뷰] 학과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5 교육부 ‘전문대육성방안’ 과연 그 효과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4 대학생 69.9%는 자신의 적성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3 [서평] 개인의 삶에 담긴 브라질 100년의 질곡『엎지른 모유』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2 자취방보다 비싼 대학기숙사 … “민자기숙사비 책정근거 밝혀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4
341 주간교수에 의해 발행취소된 학보… ‘학내언론’ 누구를 위한 언론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4
340 [코리아포커스] 6.15기념영상〈방북에서 방북으로〉발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5
339 6.15공동선언 13주년기념행사, 남북각기개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5
338 중앙대 일방적 구조조정으로 학생들 총장실점거 “재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6
337 수원여대 임시이사파견 보류 … 학내 ‘난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6
336 대학의 교육공공성확보위해 나선 교수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7
335 인제대 노조, 시간강사감원방침 철회 촉구 기자회견 열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8
334 서울대 ‘국정원대선개입시국선언’ 추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8
333 ‘누구를 위한 총장인가’ 경북대 총장직선제놓고 내부구성원간 갈등 격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9
332 건국대연구팀, 급성면역거부 없는 장기이식 돼지복제성공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9
331 국립대의대유치전 '치열' … 공주대가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30 '정보원선거개입규탄' 대학가시국선언 확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29 이화여대총학생회 '18대대선은 짓밟히고 조롱당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28 경남대 철학과 폐지 졸속처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7 [서평] 『오직 독서뿐』 모든 것이 책이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6 고려대 정보통신대 학생들, 통폐합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5 서울시교수협 “대학교육 무엇이어야 하는가” ... 정부 대학평가방식 비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