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의과대학등록금부담이 커지면서 의사들이 ‘돈이 안되는’ 분야로의 진출을 꺼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미국의 의료제도를 더욱 병들게 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벤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의장 역시 지난해 의회에 출석해 미국의 경제상황에 대해 답변하는 가운데 “아들이 의과대학에 다니느라 떠안게 된 등록금 빚만 40만달러(약 4억5000만원)에 달한다”며 등록금 부담을 토로했다.
 
미국의과대학협회에 따르면 2013년 미국의 사립의과대학 등록금은 5만309달러(중간값 기준)다.
 
사립의과대학에 다니려면 등록금을 포함해 연간 27만8455달러가 필요하다. 사립보다 다소 저렴한 국공립의과대학에 다니려면 연간 20만7968달러가 들어간다.
 
비싼 등록금으로 인해 의과대학 졸업자들의 빚은 1인당 무려 17만달러에 달했다.
 
큰 등록금 부담에도 불구하고 의과대학의 인기는 사그러들 줄 모르고 있다.
 
실제 지난해 의과대학 지원자는 3만3772명으로 사상최고규모에 달했다. 10년전인 2002년 2만4884명에서 1만여명이나 증가했다.
 
의과대학에 진학한 학생수는 지난해 1.5%늘어난 1만9517명으로 역대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진학률에도 불구하고 수명연장·인구고령화 등으로 2025년에는 의사가 13만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의과대학등록금이 의대생들의 빚상환부담을 가중시켜 돈벌이가 안되는 의료분야로의 진출을 막게 되고 의사가 이미 부족한 특정분야에서는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빗스코튼 코넬대학총장도 의과대학을 다니느라 진 빚을 완전히 갚는데 무려 20여년이 걸렸다.
 
의과대학을 비롯한 대학원등록금의 이자는 연간 6.8~7.9%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10년짜리 국공채는 물론 주택담보대출·자동차할부대출금이자보다 훨씬 높다. 담보나 신용기록없이 대출을 해주기 때문이다.
 
이 빚을 갚기 위해 의대졸업생들은 돈벌이가 안되는 소아과나 암전문의와 같은 기본적인 의료분야로의 진출을 꺼리게 되면서 또 다른 사회문제를 야기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의료계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학등록금 이자를 크게 낮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유하나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