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img_where_comes_that_songs.jpg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공선옥

노래는 다시 시작됐다.

나는 개인적으로 공선옥작가를 매우 좋아한다. 어느 책에선가 공지영작가가 공선옥작가의 ‘명랑한 밤길’을 읽고 -이사람은 이길 수 없겠다-라고 생각했다는데 나는 이때 공선옥작가를 처음 알았다.

그 후 ‘영란’,‘꽃같은 시절’을 읽으며 공선옥작가는 내 마음속에 작은 집을 지었다. 공선옥작가는 작품을 통해 시대와 여성의 삶을 동시에 이야기하는 작가이다. 무엇보다 시의성을 놓치지 않으면서 서정적으로 글을 풀어가는 솜씨가 예술이다.

이런 이유로 홍익문고에서 신작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를 발견한 순간, 나도 모르게 ‘어머 이건 사야해’라고 말하며 명랑하게 집어 들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기 시작한 그날밤부터 내마음은 먹먹해지기 시작했다.
 
굶주려 있는 ‘산사람’에게 밥을 줬다는 이유로 딸앞에서 죽은 아버지, 그로 인해 실성한 딸, 그리고 그 딸이 낳은 열다섯 정애. 굶어죽을 것 같은 짐승에게도 먹이를 주는 게 당연한 그 시절에 산사람에게 밥을 준 사람이 죽임을 당한 그 순간, 착하고 순한 사람들에게 닥칠 비극은 예정됐다.
 
예정된 비극은 상상 이상의 고통스러운 상황들로 이어진다. 새마을운동으로 인해 들어온 ‘외지사람들’과 마을의 남성들은 정애와 그녀의 친구 묘자를 거듭 덮치고 집의 재산을 빼앗는다.

그 모든 것을 빼앗긴 정애는 도시로 쫓겨나고 묘자는 엄마를 찾아 도시로 이동한다. 이 일련의 과정은 정애와 묘자의 집에 제대로 된 어른이 없는 상황에서 벌어진 일들이라는 점에서 7,80년대 가족해체와 도시이동의 폭력성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온갖 지옥같은 수모를 겪은 정애가 결국 정신줄을 놓게 된 사건, 묘자의 남편인 박용재가 삼청교육대에 끌려갔다 나와서 역시 정신줄을 놓게 된 사건, 용순의 남편이 자랑스러운 공수부대 통신병이었다가 제대한 후 달려오는 기차에 자기 팔을 내준 후 정신병원에 가게 된 사건,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섞인 채 죽은 놈만 있고 죽인 놈은 없던 그 사건. 

공선옥작가는 5.18광주민주화항쟁에서 살아남은 민중의 삶을 소설속에 재현한다.
 
실성한 정애는 고향에 가서 노래를 부르고 성경과 불경을 읊으며 마을 사람들에게 만만하면서도 두려운 존재가 되다가 갑자기 사라진다.

그런데 사라지는 과정이 자연 곳곳에 스며들듯 서서히 사라져, 그 어디에도 없으면서 또한 어디에나 있는 존재처럼 사라진다.

그 후 정애가 노인이 된 묘자 앞에 나타난다. 누더기옷에 산발을 하고 맨발인 모습으로. 용산참사가 일어나던 시절에.
 
공선옥작가의 전작 ‘꽃같은 시절’은 재개발로 쫓겨난 영희와 철수가 농촌으로 이주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 농촌에 돌공장이 들어와 애써 갖꾼 깻잎, 상추를 못먹게 된 할머니들이 데모가 아닌 ‘디모’를 하는 내용을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그렸다.

재개발과 돌공장, MB식 토건개발에 맞선 투쟁을 가벼운필치로 쓴 공선옥작가는 이번 소설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에서는 피로 점을 찍듯, 고통스럽고 힘든 문체로 이야기를 읊조리고 있다.
 
무엇이 작가를 이렇게 절망스럽게 하는가.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박정희, 전두환 군사정권의 폭력성과 그 세월을 살아간 민중들의 비극성을 되살리고 있다. 특히 주인공 정애를 가장 여리고 만만하지만 고통속에서도 노래하는 가장 두려운 존재로 그림으로써 민중의 힘 또한 되살리고 있다.

박정희,전두환 군사정권이 민중의 힘으로 꺾이던 그때, 정애의 몸이 산산히 부서져 세상곳곳으로 퍼졌으나 용산참사가 발생하고 독재자의 딸이 대통령이 되었을 때, 정애는 누더기옷에 맨발로 노래를 부르며 나타났다 사라졌다.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민중의 웅심 깊은 곳에서 끌어올려진 그 노래가, 고통과 슬픔의 소리가 다시 시작됐다.
 
양고은(시사톡)
*기고글임을 밝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524 욱일승천기에 나치식 거수경례까지 … 철없는 대학생 논란 file 유하나기자 2013-04-01
523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① “미군, 코리아에서 당장 떠나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1
522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② “제국주의는 언제나 민중들 위협 … 코리아는 혼자가 아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1
521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③ “코리아반도 전쟁위험책임 미국에게 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1
520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④ “외세개입없는 남북회담 위한 대표단파견 요구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1
519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⑤ “미국이 코리아문제에 간섭하지 않길 원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1
518 숙명여대, '등록금문제해결 후 등록하겠다'는 총학생회장에게 '등록 안하면 제적하겠다' 통보 file 유하나기자 2013-04-02
517 덕성여대 '진보2013' 강연회 불허 … 사유는 '학칙에 학생들의 정치활동 금지 명시돼 있어' 논란 file 유하나기자 2013-04-02
516 연세대의 일방적 학부폐지에 학생들 총자퇴주장 file 이민경기자 2013-04-02
515 한국MS, 2일부터 대학생들에게 '윈도우8' 75%할인가에 제공 file 유하나기자 2013-04-03
514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⑥ “미국의 적대행위가 북코리아의 자위력 필요하게 만들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4
513 성균관대 황창규 전 삼성전자사장 석좌교수로 임명 file 이민경기자 2013-04-04
512 대학의 등록금인하노력부족으로 정부지원줄어 학생만 '울상' file 이민경기자 2013-04-04
511 서울대 교수협, 대학본부에 법인화법 개정안 제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4
510 전국국립대 전·현직총장협회 회의 열려, “지방대 육성해야” file 유하나기자 2013-04-05
509 술마시다 3번적발되면 제적?…가천대학교 학칙 개정 논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5
508 연세대 자유전공학부 폐지결정 file 이민경기자 2013-04-05
507 프랑스법원, '대형마트 저녁9시이후 야간노동은 안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6
506 노동자, 대학생과 여성으로 교감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6
505 전쟁이냐 특사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6
504 한양대 오세훈 교수임명에 비난여론 쇄도…민주당까지 가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7
503 코리아포커스, 외국인들이 말하는 '코리아의 평화' 영상으로 담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7
502 국내에서 런던정경대학위 취득 가능한 런던국제대학 생긴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8
501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3년새 3배이상 급증… 구제방안마련 시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8
500 서울대 55대총학생회 재선거, 이번에는 성사될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09
499 국립대 고위공직자 10명 중 7명 재산, 1년사이 크게 늘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0
498 자녀 한 명 키워 대학까지 졸업시키는데 드는 양육비가 무려 '3억1000여만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0
497 세종대 등록금 0.29% '추가인하'결정, 올해 총 2.79% 인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1
496 네이버TV캐스트, 대학생을 대상으로 '립덥공모전' 개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1
495 THE가 실시한 '첫번째 아시아대학평가'… 국내 대학 14곳 선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1
494 감사원 발표, 'MB의 입학사정관제' 부실 잔뜩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1
493 사법부, 사립대에 솜방망이처벌? … 교비 65억원으로 미술품 산 총장 '집행유예'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2
492 광화문광장, '1만대학생 평화선언'이 울려퍼지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2
491 방통대 재정운영상태 불투명 … 부담은 학생들의 '기성회비'로 메워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3
490 김병철고려대총장 “사립대에 등록금책정 재량권 줘야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3
489 작가·교수들, 즉각적인 대북특사파견 촉구 ... '평화는 보수와 진보를 떠난 상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3
488 하동군의 특별한 '대학생 군민사랑' … 올해도 지역고교 출신 학생들에게 대학입학금 지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4
487 BBQ 치킨대학 1만명의 수료생 배출…“외식산업 발전시키는 기업되겠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4
486 미국대졸자 취업률심각, '학위 필요없는 직종에 종사하는 학위소지자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4
485 미국의과대학등록금부담, 졸업자들 분야선택에 영향을 끼쳐 사회문제 야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4
484 서울대총학생회재선거, 개표기준인 50%넘지못해 15일부터 나흘간 연장투표 진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4
483 전주비전대 전북지체장애인협회와 MOU체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5
482 '캠퍼스텐'과 총학생회가 함께하는 '캠퍼스어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5
481 대학생으로 위장한 BBC기자의 '북 잠입취재' 물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5
480 한대련, 박근혜대통령에게 '반값등록금공약이행하라'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5
479 차베스 서거이후, 베네수엘라혁명의 과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5
478 우고 차베스의 계승자, 니콜라스 마두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6
477 대학생의 절반이상 '대학 다닐 때 비판적 사고능력 제대로 못길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6
476 자동차로 떠나는 유럽여행 -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백장미광장 file 김형준기자 2013-04-16
475 싸이 신곡 '젠틀맨' 돌풍 ... 박근혜 비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