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기념물, 혹은 비석을 남긴다는 건 예로부터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을 기리고 기억하기 위해 기록한 것이다. 우리에게 87년민주항쟁때의 기억은 어떠했는가. 그리고 우린 그것을 명확하게 기억하는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기억하고자 했는지는 연세대에 전시돼 있는 이한열열사의 비석에 아로새겨져 있다.


비석을 볼 때엔 몇가지 눈여겨 볼 것이 있다. 첫째, 비석의 주인공이 무슨 말을 하고자 했는가? 둘째, 비석의 주인공은 어떻게 새겨져 있는가? 이 두가지측면에서 이한열열사의 비석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말하고 있다.


img_lee_and_monument04.jpg

▲연세대학생회관옆에 위치한 이한열열사 추모비


비석의 주인공인 이한열열사를 위해, 비석에는 이러한 글귀가 남겨져 있다. ‘그대 가는가, 어디로 가는가…’ 이한열열사는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죽음은 민주화를 위해서도, 어떤 지병에 의해서도 아니다. 그저, 민주화운동을 하다 죽은 ‘한사람’일 뿐이다. 그러나 그의 죽음에서 우리는 두가지를 목도할 수 있다.


img_lee_and_monument.jpg

▲경찰이 쏜 최루탄 직격탄에 맞은 이한열열사, 이 사진이 6월항쟁에 도화선이 됐다


첫째, 그가 무엇 때문에 죽었는가? 그는 민주화운동을 하다가 비극적 죽음을 맞이했다. 내 개인적 소견으로는 그의 죽음은 민주화라는 목적의식을 지닌 것도 아니었고, 그 자신이 죽음을 바란 것도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세상 어느 누가 죽음을 바라겠는가! 그런 측면에서 그의 죽음은 매우 ‘우연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죽음으로 인해 그가 바라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폭발적으로 분출됐다. 그의 ‘우연한’ 죽음이 가져다 준 메시지는 너무도 ‘필연적으로’ 명확했다.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달라!’ 그의 죽음은 ‘민주적인 사회’라면 상상할 수도 없는 비극적인 죽음이란 것을 모두가 공유하고 있던 셈이다.


img_lee_and_monument00.jpg

▲87년 7월9일 진행된‘민주국민장’당시 추모인파는 서울 100만, 광주 50만 등 전국적으로 총160만명이었다.


둘째, 그의 죽음은 상징적인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우리사회에 ‘민주주의’라는 가치에 새겨진 것은 ‘정치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생명적 요소가 강했다. 우리사회는 전두환의 퇴진과 독재정권의 청산을 외치며 권리를 요구했지만, 그 이면에는 더 복합적인 가치가 들어있던 것이다. 생명에 대한, 그리고 생명을 뒷받침하는 존엄성에 대한 존중과 보장이 민주주의의 가장 근본적인 가치이다. 이한열의 죽음은 그런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죽음’으로 다가왔다. 권리의 짓밟힘보다, 한 소중한 생명의 비극적 죽음은, 그리고 그 죽음이 결코 자생적인 것이 아니라 타의에 의한, 그리고 정권에 의한 고의가 강하게 개입된 죽음이었단 것은 이땅에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와 갈망을 더욱 근본적인 것으로 표출하도록 만들었다.


비석의 전면에 이한열열사가 맨위에 새겨져 있다는 것은, 그리고 그것이 흡사 예수를 연상케 하는 후광이 덧붙여져 있다는 것은 그의 죽음이 박제화된 것이 아니라 현재형임을 말해주고 있다. 예수의 죽음은 현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한열열사의 죽음 역시 현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의 기억으로 ‘박제’되지 않고 현재형으로 살아있다. 이한열열사를 기억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그의 ‘기억’을 보존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의 글귀는 앞서 말했다시피 ‘그대 가는가’로 시작하고 있다. 누가, 어디로 가는가? 그것은 이한열열사가 죽음으로써 스틱스강을 건널 때를 묘사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그의 기억이 박제화돼 기억의 저 건너편으로 가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img_lee_and_monument07.jpg

연세대에서 진행된 이한열열사 26주기추모제


다른 한편에서, 이한열열사의 죽음은 의도된 죽음이었다. 정권의 가혹한 탄압이 의도한 죽음이다. 그의 죽음은 우연적 산물이지만, 그의 눈에 박힌 최루탄은 정권이 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한열열사의 죽음은 의도된 것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그의 죽음은 상징화됐다. 그의 죽음은 민주화를 갈망하던 수많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점화된 결과였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의 죽음은 상징화될 수 없다. 수많은 사람들의 목소리는 이한열열사의 죽음을 통해 표면화됐다. 이한열열사는 ‘음지에서’ 싸웠지만, 그의 죽음은 양지화된 것이다. 


어떻게 양지화됐는가? 민주주의를 요구하던 수많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그를 양지로 끌어올렸다. 그렇기에 그의 죽음은 ‘의도된’ 것이다. 아니, 정확히는 그의 죽음은 ‘의도적으로’ 상징화됐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다! 비석에 새겨진 이한열열사의 머리 아래에, 이한열열사를 향해 뻗어있는 수많은 손길은 그를, 그리고 그의 민주주의를 수면위로 올리기 위한 노력과 투쟁의 결과물이다.


img_lee_and_monument02.jpg

▲우리는 지금,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는 이한열열사를 모를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얼굴을 모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기억과, 그가 바라던 세상과, 그의 민주주의를 바라는 많은 사람들의 손길과 소망을 느낄 수는 있다. 우리의 4차원적인 요구와 욕망은 비석이라는 2차원에 새겨져야 했다. 극단적으로, 우리는 이한열열사를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의 민주주의를 기억할 수는 있다. 그것은 아래로부터의 투쟁으로 쟁취되는 것이고, 아래로부터의 목소리에서부터 성립하는 민주주의다. 우리는 지금,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이한열열사는 아직 살아 있다.


최태준(인천대)

*기고글임을 밝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374 '온국민의 알바화?' … 박대통령 '시간제' 발언에 각계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3 시간강사도 퇴직금지급 판결 … ˝학교측의 시간강사들의 일방적 퇴직에 제동걸만한 계기되기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2 대전사립대 경리팀장 공금횡령 후 잠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0
371 ['일베'분석 연재기고] ④ 5.18, 그리고 의북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1
370 이대생들 “김활란 동상 철거하라” 쪽지플래시몹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5-31
369 박대통령 취임100일 ... 풍자영상 〈아임 마더 파더 젠틀맨〉 나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8 박원순 서울시장 “반값등록금은 의지의 문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7 대학생들을 위한 ‘제1호 반값기숙사’ 홍제동에 착공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1
366 예술전공대학생들 “취업률 중심의 대학평가지표 개선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2
365 ‘국가장학금’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 탈락률 높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2
364 세종대에 이어 울산대에서도 실험실 안전사고 발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3
363 사립대교비회계예산공개 ‘구멍이 숭숭’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3
362 누구를 위한 민간투자인가 … 부산대총학생회 ‘효원굿플러스문제해결’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4
361 “고려대는 입학금산출근거와 사용내역 공개하라” 고려대 ‘고함실천단’의 고함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4
360 반값등록금국민본부 “정부와 국회는 반값등록금 실현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5
359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5
358 알바연대, 알바생들 노동조건과 근로기준법준수여부 파헤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7
357 중앙대 비교민속학과학생들 “전통문화를 지키기위해, 우리의 꿈을 지키기위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7
356 한대련 ‘6·15 남북공동행사 성사,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8
355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8
354 교육부 시정명령에도 꿈쩍 안하는 대학들 … 대학평의원회설치 올해는 가능할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09
353 1987년 그 뜨거웠던 6월, 그날을 되새기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2 6.10민주항쟁 26주년 맞아 시민들과 함께하는 각종행사 진행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1 이한열열사 26주기추모제 열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0
350 중구청, 또 대한문농성장 기습침탈 ... 쌍용차 김정우지부장 등 16명 연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1
» [기고] 6월항쟁 26주년 ... '이한열열사는 아직 살아 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1
348 고등교육예산 매년 증가했지만 전체 정부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7 강남구청 ‘분향소’ 빌미로 최저임금1만원위원회캠프 철거위협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6 [인터뷰] 학과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2
345 교육부 ‘전문대육성방안’ 과연 그 효과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4 대학생 69.9%는 자신의 적성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3 [서평] 개인의 삶에 담긴 브라질 100년의 질곡『엎지른 모유』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3
342 자취방보다 비싼 대학기숙사 … “민자기숙사비 책정근거 밝혀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4
341 주간교수에 의해 발행취소된 학보… ‘학내언론’ 누구를 위한 언론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4
340 [코리아포커스] 6.15기념영상〈방북에서 방북으로〉발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5
339 6.15공동선언 13주년기념행사, 남북각기개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5
338 중앙대 일방적 구조조정으로 학생들 총장실점거 “재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6
337 수원여대 임시이사파견 보류 … 학내 ‘난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6
336 대학의 교육공공성확보위해 나선 교수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7
335 인제대 노조, 시간강사감원방침 철회 촉구 기자회견 열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8
334 서울대 ‘국정원대선개입시국선언’ 추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8
333 ‘누구를 위한 총장인가’ 경북대 총장직선제놓고 내부구성원간 갈등 격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9
332 건국대연구팀, 급성면역거부 없는 장기이식 돼지복제성공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19
331 국립대의대유치전 '치열' … 공주대가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30 '정보원선거개입규탄' 대학가시국선언 확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29 이화여대총학생회 '18대대선은 짓밟히고 조롱당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0
328 경남대 철학과 폐지 졸속처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7 [서평] 『오직 독서뿐』 모든 것이 책이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6 고려대 정보통신대 학생들, 통폐합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
325 서울시교수협 “대학교육 무엇이어야 하는가” ... 정부 대학평가방식 비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