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대학내 값비싼 민자기숙사비에 대해 대학생들이 정보공개를 요구하고 나섰다.
 
13일 고려대, 서강대, 동국대, 연세대, 한국외대 등 민자기숙사가 들어서있는 전국 14개대학의 재학생104명이 대학측에 민자기숙사비 책정근거에 관한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대학생주거권네트워크와 민달팽이유니온 등은 이날 고려대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자기숙사비책정근거공개와 투명한 운영등을 요구했다.
 
민자기숙사는 민간기업이 학교에 자금을 투자해 건설, 운영하는 기숙사로 소유권은 학교에 있지만 운영권은 일정기간 사업시행자가 갖고 사용료를 받는 형태로 운영된다.
 
기숙사를 지을 돈이 없는 대학들이 좋은 시설을 갖춘 대형 기숙사를 지을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하면서 대학내 민자기숙사가 크게 늘었다.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민간투자법’개정으로 2005년 처음 전북대와 부산대 등에서 지어진 이후 현재까지 전국 51개(국립대31개, 사립대19개)대학이 민자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기숙사의 건설과 운영에 들어간 비용부담이 상당부분 기숙사비로 전가된다는 것이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학생들의 말에 따르면 민자기숙사비가운데 연세대가 1인실62만원으로 가장 비싸고, 단국대가 2인실42만원이며 민자기숙사비는 평균32만원이다.
 
이는 11만~18만원대인 직영기숙사에 비해 2~4배이상 비싸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학생들은 “학교주변에 2인이 월세50만원인 원룸에 함께 거주하는 경우 필요한 비용인 1인당 25만원에 비해서도 훨씬 비싼 비용”이라며 “학교밖 민간임대시장은 보증금이 1000만원정도 더 필요하지만 학교부지안에 건축해 땅값이 들지 않는 기숙사비가 학교밖의 임대료 보다 비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권지웅대학생주거권네트워크대표는 “민간투자자입장에서 일정기간후 운영권을 반환해야하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투자비를 뽑기 위해 비싼 기숙사비를 요구할 수 밖에 없다”며 “기숙사가 기업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고 부담은 학생들이 떠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들은 대학에서 정보공개를 거부할 경우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등과 함께 정보공개를 청구하는 공익소송을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유하나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박근혜 정부, 교육부장관 서남수 위덕대총장 내정 file

순천지검, 사학비리혐의 이홍하 병보석 취소청구 file

고려대 등심위합의없이 일방적인 등록금책정 '1%인하는 생색내기에 불과' file

박 당선인 “반값등록금 위해 대학 회계투명성 높여야” file

등록금 비싼 미국 대학에게 외국인 대학생은 ‘효자’?! file

경주 서라벌대, '등록금 12%인하' 전국최고수준 file

고용부, ‘청년취업아카데미’ 운영기관 82곳 선정 file

검은 돈으로 얼룩진 대학 축제, 총학생회장과 업체와의 ‘은밀한 거래’ file

'구독료 납부 방식 변경'으로 연세학보 연세춘추 운영위기 file

[베를린영화제] 적어도 대안정신은 이것이다 - The Spirit of ’45 file

[베를린영화제] 킬링에서 킬드로(From killing to Killed) - The Act of Killing file

[베를린영화제] 혁명의 두가지 형식 Art, Violence - ART VIOLENCE file

[베를린영화제] 청년의 정확한 타겟은 - Youth file

“수강신청권 사고 팔아요!”, 대학가 수강신청권 뒷돈거래 횡행 file

건국대 글로컬캠 총학, '착한 자취방 프로젝트' 진행 file

대학생 41%, 취업 못하면 '대학 5학년 고려' file

코리아연대, 반전평화와 민족자주권실현결의대회열어 file

취업률 등 속여 국고 23억 타낸 대학총장… 과연 법원의 판결은? file

대학등록금, 카드결제시 무이자혜택 file

대학생스펙, 기업의 요구보다 과해 file

하버드대, 강의때 노트북 안돼! file

서울 일대 어학원서 SAT문제 불법 유출… 최대 800만원 거래 file

서강대 총학생회장 사퇴, 학교 측 “이미 대표성 상실 해 ‘사퇴’ 운운할 자격 없어” file

폭언욕설에 심지어 폭력까지, 심각한 서울시립대 노동인권 file

20대 빚은 늘고 취업은 없고 file

[인터뷰] 주거권이란 모두에게 주어져야 하는 것 file

박근혜 정부의 ‘반값등록금’ 어디까지 왔나 file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대학생, 새정부에 바라는 희망사항1위는? file

코리아연대 백서발간 ‘때를 놓치면 ‘세르비아의 총성’ 울릴 것’ file

대학생 절반 ‘첫 직장 비정규직도 괜찮아’ file

위안부문제해결을 촉구하는 플래시몹열려 '할머님들이 원하는 것은 일본의 진정한 사과' file

2006년부터 대학캠퍼스 확장‧이전… 무려 21곳이나 추진 중이거나 완료해 file

3.1절 앞둔 27일 1063차 수요집회, 많은 시민들 참여속에 진행돼... 대전인권버스 참여 file

서남수, 5.16관련질문에 '답변 못하니 양해바란다'… 인사청문회 잠시 중단 file

충북, 재능기부하는 대학생에게 최대 300만원 지원 file

전세계가 볼 수 있게 된 국내대학강좌, ‘아이튠즈U' 서비스 시작 file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2차 접수' 시작 file

‘저를 채용해 주십시오’, 20대 여성의 특별한 구직광고 file

민주당 유은혜의원, 대학입학금 등록금의 10%초과금지 발의 file

미국, 대학 입학생 “절반”만 6년안에 졸업 file

서울대, ‘희망버스’ 참가이유로 명예교수심사제외 file

한대련, 박근혜정부에 '고지서상 진짜 반값등록금' 촉구 file

장관후보자 자녀들, 대학 재학 중 ‘가계곤란장학금’받아 논란 file

퇴출위기에도 학생장사, 뻔뻔한 대학의 행태로 고통받는 신입생들 file

총학생회연석회의, "새정부 등록금문제해결에 책임가져야" file

자동차로 떠나는 유럽여행 - 프롤로그 file

공주대미술교육과, 성추행가해교수 강의개설돼 논란.... file

차베스서거에 꾸바·이란 등 애도의 날 선포 … 베네수엘라 30일이내 재선거 file

코리아연대, 유엔사무총장·안보리이사국에 공개서한 발송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