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몇달전 윤창중의 ‘grab'사건이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다.

 

박근혜대통령 방미중 발생한 윤창중 성범죄사건은 처음에 성희롱으로 덮으려는 것을 성추행에 강간미수까지 번지면서 급기야 박대통령과의 연관성을 지우고 개인의 문제로 돌리며 급히 사건을 무마했다.

 

이뿐만 아니라 대중매체에 넘치는 여자아이돌의 안입은듯 입은 옷차림과 섹시미를 강조하며 추는 몸짓들은 이제 너무나 익숙해진 광경이다.

 

0708 달샤벳2.png  


이 두 사회현상의 본질은 남성의 시선으로 여성을 대상화·객체화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별개로 박근혜대통령이 대통령후보시절, 여성지지율이 높았다는 점과 ‘국정원여직원감금’사건(현재 본질이 드러나고 있는 국정원사건)이 여성의 공분을 샀던 것은 이 사회 여성의 주체성 회복의 의지를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다.

 

여성으로서 겪는 개인의 문제는 사회문제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부분이고 둘사이를 분리하는 순간 왜곡된 판단을 하게 된다.


마치 최초의 여성대통령이라는 이미지에 갇혀 박근혜대통령의 역사성과 사회의식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 채로 대통령을 뽑는 것과 같이.

 

이런 의미에서 역사적으로 여성의 모습이 어떻게 형성 발전했는지, 그리고 누구로부터 형성됐는지 알아보는 점은 현재를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림으로 읽는 조선여성의 역사』의 저자 강명관교수는 현재 여성에게 강요된 이미지,즉, 트로피를 연상하는 듯한 날씬한 여성의 모습은 보편적이지 않은 만큼 ‘남성-자본’에 의해 객체화된 이미지이듯, 조선시대여성에게 강요된 이미지는 ‘남성-양반’에 의해 객체화된 이미지라고 결론을 내린다. 


0708 그림으로읽는조선여성의역사.jpg


그리고 조선여성의 주체적 모습은 역사적으로 철저히 배제돼왔음을 그림과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해설하고 있다.

 

또 이러한 조선여성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해설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여성의 주체성이 보장됐던 고려후기의 작품을 통해 비교 해설하고 있다.

 

조선여성의 객체화는 조선시대의 중심사상인 유교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공자가 말한 ‘일부종사’와 ‘삼종지부’는 지금도 익숙한 내용이고, 성종때 『경국대전』을 통해 이를 법제화하면서 여성의 종속성을 제도화하였다.

 

또한 여성의 축첩제도에 대한 정당한 항의를 ‘투기’라고 규정하여 여성을 탄압하는 구조를 만든 것 또한 조선 초·중기시대이다.

 

즉 조선시대 유교사상을 중심사상으로 받아들이면서 제도적으로 여성의 객체화가 철저히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여성의 주체성과 객체성에 대해 대표적으로 초상화와 미인도를 통해 해설하고 있다.

 

카메라기술이 없던 과거, 초상화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후손에게 자신의 모습을 길이 남기고, 후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부모와 조상에게 경의를 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초상화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한 사회에서의 주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이 된다.

 

그리고 여성이 상대적으로 주체성이 있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중기까지는 그림 및 문헌을 통해 여성도 초상화에 그려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려후기작품인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그림을 보면 남성과 여성을 동등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초상화작품을 통해 그 사회의 여성의 주체성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의 객체화의 상징인 미인도 또한 고려후기에도 존재했다.

 

고려시대는 ‘상대적’으로 여성의 주체성이 인정됐던 것이지, 본질적으로는 남성중심사회였고 그렇기 때문에 ‘감상의 목적’으로의 미인도 또한 널리 성행했다.

 

그리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신윤복의 ‘미인도’와 같이 미인도는 조선후기까지 내려오면서 여성을 감상의 대상, 즉 객체화하는데 한몫을 하였다. 이런 미인도의 기능은 오늘날 고스란히 이어져 ‘미’를 상품화하고 여성의 외모를 강조하는 풍토로 남아 있다.


0708 미인도3.png

 

그외에 삼강행실도 ‘열녀편’의 그림이나 도화서에서 그린 그림들은 의도적으로 여성이 삭제되거나 남성에게 봉사하는 여성의 모습이 그려지면서 조선시대 전사회적으로 여성을 철저히 배제함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사회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경제의 양축인 농사와 길쌈 중에서 길쌈의 결과물인 옷감은 조선시대 화폐대용으로 쓸 만큼 경제적으로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길쌈은 여성고유의 노동이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여성 또한 경제분야에서 남성과 동등한 한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길쌈하는 여성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경제생활의 한축이 여성이 정치·사회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배제됐다는 점과 오늘날의 여성 또한 경제생활의 한축을 담당함에도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리가 배제된다는 점은 여전히 양성평등이 실현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이 책은 이러한 조선시대여성의 삶에 대해 미술을 통해 해설함으로써 독자에게 쉽게 해설하고 있다.

 

더불어 강명관교수는 앞으로 에두아르드 푹스의 『풍속의 역사』와 같이 풍속을 통해 우리민족과 민중의 삶을 기록하고 싶다고 한 것처럼 민중중심의 역사의식을 지닌 저자이다.

 

관점과 내용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참고할 부분이 많아 읽으며 즐거웠다.

 

더불어 에두아르트 푹스의 『풍속의 역사』는 유럽민중의 삶과 시대상을 풍속을 통해 알려주는 책으로 매우 가치가 있는 서적이다.

 

내용이 방대하고 읽은 지 오래되어 자세히 소개하지 못하지만 민중의 삶과 풍속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일독을 권한다.

 

양고은(시사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674 교과부, 교육부로 명칭변경 ... 대학업무는 어디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6
673 교과부, 수원여대 이사진교체결정 보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2 대학입학금 천차만별 ... '논란이 큰 입학금 폐지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1 동서울대총장, 이면계약에 고의적 공사비낭비 드러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0 ‘1+3전형’이란 무엇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69 “고려대라는 교육기관이 기업이 자행하는 금권폭력에 동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68 독일에서 등록금폐지청원 “등록금은 부당하고 비사회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8
667 전남대 총학생회 “고지서상 반값등록금 실시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8
666 “일반대의 교직과정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1
665 환경단체, ‘4대강사업범국민진상조사위원회’ 설치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1
664 서남대 '총체적 부실' ... 의대졸업생 134명 학위취소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3 등록금으로 고가의 미술품을 산 순천제일대총장 5년구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2 독단인사·선거금품 살포 성결대이사장, 결국 '파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1 영남대총학, 재능기부형 문화강좌 '런투유스쿨' 운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0 고대세종캠, '새내기미리배움터' 24일부터 1박2일간 개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3
659 ‘6억원횡령’ 건국대 김진규전총장, 결국 검찰송치 file 윤정민기자 2013-01-24
658 서산 '알바생' 성폭행사건 가해자, 형이 무겁다며 항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5
657 서울대연석회의 “0.25%인하는 학생을 기만하는 처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5
656 카이스트총학생회 “총장선출에 학생참여 보장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6
655 '학생 1인당 20만원' … 포항대, 고교교사와 돈거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8
654 서울시, '이력서에 출신대학·신체조건 없앤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8
653 나사렛대 전총장과 이사, 시공업체대표로부터 금품수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31
652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1
651 경희대·연세대·이대 등 연간 수억원 회의비로 지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2
650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2
649 주남미군, 지하철서 20대여성 성추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3
648 “퀘벡시위, 등록금인상철회 넘어 무상교육으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5
647 '알바생’ 죽음 이후 노동부, 이마트에 구체적 지시 ... '도의적 장례식 비용정도만 챙겨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5
646 독일 '대학등록금도 70만원도 비싸' … 등록금 폐지청원 file 유하나기자 2013-02-06
645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4 노원구 공릉동에 여대생전용기숙사 문연다 ... 월6~14만원선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3 20대 결식률 최고, 한달평균 4끼 걸러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2 [베를린영화제] 7일 개막 ... 남코리아영화 9편 초청돼 file 유하나기자 2013-02-06
641 연구자 10명중 4명 “연구윤리문제로 고민한 경험 있다” file 윤정민기자 2013-02-07
640 인천대, 강의실 부족해 '0교시' 운영 file 윤정민기자 2013-02-08
639 생활비 때문에 대학도서관서 상습절도한 휴학생 붙잡혀 file 윤정민기자 2013-02-08
638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유하나기자 2013-02-09
637 [서평] 2013년 우린 여전히 '미친 등록금의 나라’에 살고 있다 file 유하나기자 2013-02-09
636 [베를린영화제] 개막식 레드카펫에 왕가위, 팀 로빈슨 등 등장 21세기대학뉴스 2013-02-09
635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윤정민기자 2013-02-10
634 [베를린영화제] 1%가 살 수 없는 99%의 마음 - '약속된 땅' 21세기대학뉴스 2013-02-10
633 서남대 이홍하 설립자, '병보석'으로 풀려나 논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1
632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사업, 대학생들에겐 ‘빛 좋은 개살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1
631 서울시 ‘한지붕 세대공감’으로 반값주거비만들기 프로젝트 실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2
630 [리뷰] '당신을 흔드는 일상의 여행, 오늘도 무브하세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9 공주대 또 교수 임용 비리 의혹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8 충청지역 대학 입학금 ‘제멋대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3
627 경기남부 3개 대학, 입학사정관제 토크콘서트 개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3
626 대구청년유니온 정식 노동조합 설립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5 교과부, 신입생 편법모집과 교육지표 허위공시 특별감사 실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