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정보원(국가정보원)대선개입에 대한 각계각층의 시국선언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22일 아주대교수 82명의 시국선언문이 발표됐다.

자신들을 ‘헌정질서의 문란과 퇴보를 걱정하는 아주대학교 교수 일동’으로 소개한 이들은 ‘국정원이 벌인 여론조작과 정치개입의 문제가 정파적 입장이나 이념의 잣대로 접근할 사안이 결코 아님’을 못박았다.

이어 정보원의 불법행위는 ‘민주주의 헌정질서를 훼손하고 법치의 근간을 파괴한 국기문란’이며 이어지는 시국선언과 규탄성명에도 ‘국정원은 물론 국회와 대통령은 정파적 혹은 정치적 이해에 함몰되어 사태의 심각성에 상응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과 국회가 민주주의의 유지발전과 독재시대로의 퇴보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음을 주지시켰다. 

특히 ‘대통령은 국정의 최고책임자로서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무'(헌법제66조제2항)를 지고 있음’을 상기하며 ‘박근혜대통령이 먼저 국정원사태의 해법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만약 ‘대통령과 국회의 적정한 조치가 지체될 경우 3.1운동,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의 뒤를 잇는 국민의 엄중한 심판이 있을 것’을 경고하기도 했다.

다음은 전문이다.

박근혜대통령이 먼저 국정원사태의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우리 ‘헌정질서의 문란과 퇴보를 걱정하는 아주대학교 교수 일동’은 국가정보원 사태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과 국회의 대응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국정원이 인터넷 댓글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국내 정치와 선거에 개입하고 합법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여 헌법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는데도, 수수방관을 넘어 심지어 옹호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먼저, 국정원이 벌인 여론조작과 정치개입의 문제가 정파적 입장이나 이념의 잣대로 접근할 사안이 결코 아님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우리는 국정원의 불법행위가 1961년 중앙정보부 창설 이래 26년간 독재정권에 복무했던 시절로의 회귀이자, 1987년 민주화 헌법 이래 26년간 이루어온 민주주의 헌정질서를 훼손하고 법치의 근간을 파괴한 국기문란이라고 판단한다. 하지만 사안의 엄중함과 이를 지적하는 각계의 선언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행위의 당사자인 국정원은 물론 국회와 대통령은 정파적 혹은 정치적 이해에 함몰되어 사태의 심각성에 상응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갈림길에 서 있다. 비밀정보기관을 앞세운 부정선거의 독재시대로 후퇴하는 것을 용인할 것인지, 아니면 공정선거에 기반을 둔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아직은 대통령과 국회에게 선택의 기회가 남아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국정원 사태의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대통령은 국정의 최고책임자로서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무”(헌법 제66조 제2항)를 지고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국정원은 대통령의 지시와 감독을 받는 직속기관이고, 국정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정원 조직은 국정원장이 대통령 승인을 받아 정하고 있다. 따라서 대통령은 들끓는 국민의 여론과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용하여, 국회의 입법조치가 있기 전이라도 적정한 권한 행사를 통하여 관련 인사에 대하여 책임을 묻고 국정원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반적인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


또한 국회는 하루빨리 국정조사위원회를 가동하여 적극적으로 국정조사에 나서야 한다. 조사위원회 구성에서의 소소한 시비를 거두고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철저하게 진상을 조사하여야 한다. 국회는 삼권분립의 주체로서 행정부를 견제해야 할 헌법적 책무가 있다. 여기에 여야가 다를 수 없다. 


국회의 책무는 국정조사의 결과에 따라 국정원을 비롯한 각종 정보기구, 더 나아가 경찰과 검찰 같은 권력기구의 개혁을 추진하는 데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각 권력적 국가기관이 본연의 임무를 다하지 못한 것은 무엇보다도 법적 통제의 흠결 때문이므로 대대적인 법적 개혁을 통해 이를 풀어내야 한다. 그것은 국민과 헌법이 부여한 국회의 권한이자 책무이다. 국정원 같은 비밀정보기관은 그 임무의 속성상 인권 또는 민주주의와 친할 수 없는 국가기관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관에는 국가안전보장과 민주주의 수호라는 대체 불가능한 가치들이 상충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엄격하고 명확한 법적 기준에 따른 권한과 업무만을 주어야 한다. 


작금의 국정원의 행태를 보면서 국민들은 과거 중앙정보부와 안전기획부의 반인권적;반민주적 행태를 떠올릴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국민들은 과거 26년간 민주화의 성과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국정원의 철저한 개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의견 표명 또한 민주화를 위해 엄청난 희생을 감수한 한국 현대사의 곡절에도 불구하고, 정착된 줄 알았던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위협받는 현 상황에 대해 경종을 울리기 위함이며, 민주주의가 더 이상 유린되어서는 안 된다는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며, 국정 운영자들의 공정한 일 처리, 법치의 실현을 염원하는 목소리이다.


대통령과 국회는 이러한 시국의 엄중함에 상응하는 명확한 개혁의 길을 제시해야 한다. 만약 의혹을 낱낱이 밝히고 법규 위반자를 처벌하고 국정원을 정상화시키는 개혁을 단행하기는커녕 국정원의 국헌문란행위를 은폐하려 한다면, 대통령과 국회 또한 자유민주주의를 위험에 빠뜨려 국기문란에 동조하려 한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이제라도 우리의 우려를 이렇게 표하는 까닭은 대통령과 국회의 적정한 조치가 지체될 경우 1919년 3;1운동, 1960년 4;19혁명,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항쟁의 뒤를 잇는 국민의 엄중한 심판이 있을 것임을 경고하기 위함이다.


2013.7.22


헌정질서의 문란과 퇴보를 걱정하는 아주대학교 교수 일동 


감동근, 강명구, 강충권, 강혁, 구형건, 권건보, 길준규, 김경일, 김구상, 김대중, 김대희, 김도영, 김동근, 김민규, 김봉철, 김상배, 김상인, 김승주, 김용현, 김욱환, 김은정, 김완석, 김정호, 김종식, 김준한, 김철환(명예교수), 김태승, 김현옥, 김형수, 김혜숙, 김호섭, 나상신, 노명우, 독고윤, 류창호, 문우진, 문혜원, 민철기, 박구병, 박만규, 박영무, 박재범, 박정식, 배형옥, 손정훈, 신호준, 신희천, 양한순, 염동일, 오동석, 오승한, 원동철, 원제환, 유선무, 유숭현, 윤호섭, 이경원, 이경호, 이규상, 이규인, 이기정, 이문구, 이상국, 이상신, 이선이, 이순일, 이왕휘, 이원희, 이재호, 이철주, 이헌환, 임현우, 장우진, 장재연, 전윤수, 정경훈, 조성을, 조지만, 주동표, 최영준, 최홍근, 호정화 (이상 82명)


박소현객원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674 교과부, 교육부로 명칭변경 ... 대학업무는 어디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6
673 교과부, 수원여대 이사진교체결정 보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2 대학입학금 천차만별 ... '논란이 큰 입학금 폐지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1 동서울대총장, 이면계약에 고의적 공사비낭비 드러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70 ‘1+3전형’이란 무엇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69 “고려대라는 교육기관이 기업이 자행하는 금권폭력에 동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7
668 독일에서 등록금폐지청원 “등록금은 부당하고 비사회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8
667 전남대 총학생회 “고지서상 반값등록금 실시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18
666 “일반대의 교직과정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1
665 환경단체, ‘4대강사업범국민진상조사위원회’ 설치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1
664 서남대 '총체적 부실' ... 의대졸업생 134명 학위취소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3 등록금으로 고가의 미술품을 산 순천제일대총장 5년구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2 독단인사·선거금품 살포 성결대이사장, 결국 '파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1 영남대총학, 재능기부형 문화강좌 '런투유스쿨' 운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2
660 고대세종캠, '새내기미리배움터' 24일부터 1박2일간 개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3
659 ‘6억원횡령’ 건국대 김진규전총장, 결국 검찰송치 file 윤정민기자 2013-01-24
658 서산 '알바생' 성폭행사건 가해자, 형이 무겁다며 항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5
657 서울대연석회의 “0.25%인하는 학생을 기만하는 처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5
656 카이스트총학생회 “총장선출에 학생참여 보장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6
655 '학생 1인당 20만원' … 포항대, 고교교사와 돈거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8
654 서울시, '이력서에 출신대학·신체조건 없앤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28
653 나사렛대 전총장과 이사, 시공업체대표로부터 금품수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1-31
652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1
651 경희대·연세대·이대 등 연간 수억원 회의비로 지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2
650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2
649 주남미군, 지하철서 20대여성 성추행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3
648 “퀘벡시위, 등록금인상철회 넘어 무상교육으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5
647 '알바생’ 죽음 이후 노동부, 이마트에 구체적 지시 ... '도의적 장례식 비용정도만 챙겨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05
646 독일 '대학등록금도 70만원도 비싸' … 등록금 폐지청원 file 유하나기자 2013-02-06
645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4 노원구 공릉동에 여대생전용기숙사 문연다 ... 월6~14만원선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3 20대 결식률 최고, 한달평균 4끼 걸러 file 윤정민기자 2013-02-06
642 [베를린영화제] 7일 개막 ... 남코리아영화 9편 초청돼 file 유하나기자 2013-02-06
641 연구자 10명중 4명 “연구윤리문제로 고민한 경험 있다” file 윤정민기자 2013-02-07
640 인천대, 강의실 부족해 '0교시' 운영 file 윤정민기자 2013-02-08
639 생활비 때문에 대학도서관서 상습절도한 휴학생 붙잡혀 file 윤정민기자 2013-02-08
638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유하나기자 2013-02-09
637 [서평] 2013년 우린 여전히 '미친 등록금의 나라’에 살고 있다 file 유하나기자 2013-02-09
636 [베를린영화제] 개막식 레드카펫에 왕가위, 팀 로빈슨 등 등장 21세기대학뉴스 2013-02-09
635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윤정민기자 2013-02-10
634 [베를린영화제] 1%가 살 수 없는 99%의 마음 - '약속된 땅' 21세기대학뉴스 2013-02-10
633 서남대 이홍하 설립자, '병보석'으로 풀려나 논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1
632 LH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사업, 대학생들에겐 ‘빛 좋은 개살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1
631 서울시 ‘한지붕 세대공감’으로 반값주거비만들기 프로젝트 실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2
630 [리뷰] '당신을 흔드는 일상의 여행, 오늘도 무브하세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9 공주대 또 교수 임용 비리 의혹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8 충청지역 대학 입학금 ‘제멋대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3
627 경기남부 3개 대학, 입학사정관제 토크콘서트 개최 file 유하나기자 2013-02-13
626 대구청년유니온 정식 노동조합 설립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
625 교과부, 신입생 편법모집과 교육지표 허위공시 특별감사 실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