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대학생들이 방송3사가 정보원(국가정보원)선거개입 의혹을 축소보도하고 있는 것에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거리로 나섰다.
 
민주주의지킴이대학생실천단은 29일 서울 여의도 KBS, MBC 사옥앞에서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사들의 국정원사태 축소보도를 규탄했다.
 
이들은 정보원선거개입의혹사건의 문제와 국민여론에 대해 방송사들이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 현실에서 ‘언론을 통제하던 군사독재정권시절로 돌아간다는 위기감을 느꼈다’며 기자회견을 진행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학생들은 “프랑스 르몽드지, 미국 CNN방송에서조차 수만명이 거리로 나온 촛불집회현장과 국정원대선개입사건에 대해 대서특필하고 있는 마당에 대한민국의 방송3사는 정권의 시녀가 되어 눈치보기에 급급하다”며 “희대의 국기문란사건에 대해 어떻게든 축소해 보도하고, 더 나아가 은폐시도를 벌이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민주주의가 무너지는 현실을 보고 있는 2013년 7월, 우리 대학생들은 이러한 현실을 가만히 두고 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방송3사에게 △매일 거리로 나오는 촛불시민들의 목소리를 당장 보도할 것 △국정원이 지지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대선때 어떤 일을 벌였는지 취재하고 낱낱이 국민 앞에 밝힐 것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21세기인 2013년 현재, 70~80년대 군사독재정권 아래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에 분노를 금치 않을 수 없다"며 "80년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도하지 않았던 광주MBC는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 제일 먼저 불타올랐다"고 경고했다.
 
실제 방송3사는 6월21일 국정원대선개입에 항의하는 첫 촛불집회가 개최된 이후 관련 보도를 겨우 5건 내보냈으며, 대부분이 단신보도였다.
 
SBS의 19일자보도만 촛불집회를 제대로 보도했으며 KBS는 6월22일과 7월6일 ‘간추린 단신’으로 보도했다. MBC는 보도하지 않았다.
 
대학생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30여일 넘게 외치고 있는 국민들의 규탄의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보도하기는커녕 여전히 ‘신수지의 이색시구’, ‘여름전어’가 중요하고 ‘로열베이비’가 중요한 방송사들은 대체 어느나라 방송사인가’라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후 대학생들은 방송3사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KBS, MBC 관계자들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유하나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