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영화 〈관상〉은 현상과 본질에 대한 이야기다.
관상가들은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읽는다.
그래서 어떤 두세력이 격렬히 대립하고 있을 때 관상과 같이 시대와 상관없는 요소들에도 예민할 수밖에 없다. 마치 조선시대 문종말기 김종서와 수양대군의 대립속에서 누가 승리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대립이 격화되던 시대처럼.
 
아버지가 역모를 꾀해 출사가 막힌 양반출신으로, 먹고살기 위해 관상을 보기 시작한 내경(송강호)은 처음에 소박한 꿈으로 시작했다. 할아버지를 닮아 꼿꼿한 선비정신으로 살지만 다리를 절어 안쓰러운 자신의 아들 진형(이종석)과 말 많고 다혈질인 처남 팽헌(조정석)과 배부르게 먹고 살기 위해 관상으로 한몫을 잡겠다는 꿈.
 
0924 관상포스터.jpg

그러나 그 꿈이 시대와 얽혔을 때, 그리고 생사를 넘나들며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할 때, 소시민의 꿈을 지닌 내경이 시대정신과 만나는 순간 역모의 관상이자 권력을 위해 사람이 무자비하게 학살할 수양(이정재)이 아닌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김종서(백윤식)의 편을 든 순간. 관상이란 결국 세계관과 사상과는 관련이 없는 것이 되어 버렸다.
 
결국 김종서를 비롯한 충신들을 다 죽임을 당하고 수양이 왕이 됐고 이는 마치 수양이 왕이 될 관상을 지녔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내경은 말미에 바닷가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파도만 보았고, 바다는 보지 못했다고. 다만 당신들(수양대군편)이 우리보다 더 높은 파도였을 뿐이라고. 높은 파도는 다시 낮아지는 때가 온다고.’
 
파도라는 현상만 보았을 뿐, 바다라는 시대와 본질을 보지 못했음을 관상가인 내경의 입에서 나왔을 때 결국 시대와 역사는 관계에 의해 변화함을 느낄 수 있었다.

0924 관상포스터2.jpg
 
세부적으로 봤을 때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수양의 무자비함이다.
이 영화에서의 수양은 양반이나 왕족이면 상상할 법한 위엄이나 너그러운듯한 모습 및 지혜로움 등 긍정적인 요소가 하나도 없다.
다만 권력을 향해 무자비하게 살육하고 수양의 책사인 한명회는 뱀같은 인간으로 묘사될 뿐이다.
이 점이 인상깊었던 점은 권력만을 탐하는 자의 속성이 인물을 통해 정확하게 투영됐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권력을 장악한 수양이 두 눈이 멀고 다리를 저는 진형을 죽이는 장면에서 무자비함의 정점을 찍는다.
이와는 반대로 진형의 삼촌인 팽헌이 자신의 목젖을 자르려다 목소리를 잃는 장면이 수양과 대조돼 인상깊었다.
내경은 팽헌의 목젖이 툭 튀어나온 것을 관상학적으로 지적하면서 말조심하라고 했지만 결국 팽헌의 세치혀로 인해 거사는 실패하고 진형은 죽임을 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팽헌은 자신의 목젖을 자르려고 했던 것이다.
 
나는 대사로만 처리된 짧은 장면을 통해 팽헌의 처절한 자기반성이 느껴졌다.
팽헌은 나쁜 인물이 아니라 어리석은 인물이다.
그리고 단순히 죄책감에 시달리는 인물이라면 목젖을 자르기보다는 죽음을 선택하는 편이 더 쉬울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의 원인을 철저히 자신에게서 찾고 그 원인을 철저히 제거하려고 애쓰는 모습.
이 모습에서 팽헌의 처절한 자기반성이 느껴졌다.
아울러 마음이 아픈 건, 이러한 자기반성은 착한 사람들만 한다는 점이다.
수양이나 한명회처럼 무자비한 악인에게는 자기반성 따위없다.
 
관상가이지만 관상으로 역사를 바꾸려고 했고, 결국에는 관상보다 자신의 뜻을 선택하는 내경, 힘없고 다리는 절지만 자신의 뜻하는 바를 이루려 마지막까지 꺾이지 않는 진형, 권력을 탐하는 무자비한 수양과 착하고 어리석은 팽헌의 대립되는 마지막 모습까지 영화 <관상>은 흥미롭게 읽을 만한 장면이 많은 영화이다.
 
사족으로 이 영화를 같이 본 사람이 이런 말을 했다.
‘한명회를 보니까 꼭 삼☆의 이★희 닮았네. 자기권력에 조금이라도 반대하는 세력을 제거하는 것까지 똑같아. 이★희도 노조만 만들려고 하면 깨부수고 도청, 미행하느라 바쁘잖아’
 
권력만 탐하는 자의 속성은 시대를 초월한다.
 
양고은(시사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174 표창원·박주민, 고대 민주광장 강연 ... '국정원사건을 통해 진실과 정의를 말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0
173 세종대 학생총회 성사 ... 재단 투명한 경영 약속 등 요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1
172 서울대련, ‘정부 재정지원제한대학정책’ 폐기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1
171 중앙대교수들, 두산그룹의 대학운영방식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2
170 고려대, ‘0학점강의 리턴즈’ file 유하나기자 2013-09-12
169 순천대학생들 ‘국정원대선개입규탄’ 시국선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3
168 국공립대대표자들 “정부는 국공립대에 대한 책임 다해야” 21세기대학뉴스 2013-09-13
167 연세대교수 93명 시국선언 ... ‘국민의 자유로운 선택, 특정기관이 방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4
166 노수석생활도서관 새내기세미나 ‘박정희를 보는 눈’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4
165 “국정원 해체할 때까지 촛불 계속 든다” ... 12차범국민행동 21세기대학뉴스 2013-09-15
164 교육부, 5개국립대 사무국관계자6명 인사조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6
163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아우슈비츠’ 인간성몰락〈이것이 인간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6
162 전남대, '국정원대선개입 박대통령 해결촉구' 총투표 24~26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7
161 경찰이 대학강의도 사찰? ... 영남대 유소희교수 선거법위반 기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7
160 대학생신용불량자 4만명, 1인당 평균 1000만원 대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7
159 [서울프린지페스티벌] 내가 선택하지 않은 또다른 삶을 사는 나와의 만남〈인시와 묘시사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9
158 경운대 현직교수 4명 교비횡령으로 구속기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19
157 '공장이라고 속아 끌려가 '성노예'로 8년' ...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소르본대서 증언 21세기대학뉴스 2013-09-20
156 대학들 '예산부풀리기'로 수천억원 이월·적립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3
155 한신대, '국정원불법대선개입· 사학연금대납' 학생총투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3
» [영화리뷰] 얼굴은 현상일 뿐, 중요한 건 본질 -〈관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4
153 “박근혜대통령 반값등록금공약 이행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4
152 광주시, 2학기 학자금대출이자 지원사업 시작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4
151 “5대요구안 실현으로 교육공공성 확보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5
150 서울대학생들 “시흥캠퍼스 'RC'추진 중단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5
149 기숙형대학 'RC', 학생들에게 약인가 독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5
148 정부, 셋째아이 등록금지원 예산책정 … 반값등록금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6
147 “대학가요제 폐지 아쉬워” … “지금이야말로 노래해야 할 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6
146 '대학생의 현실을 LIVE로' ... 28일 ‘THE 대학 LIVE’ 열린다 21세기대학뉴스 2013-09-27
145 전남대 학생총투표 ‘국정원대선개입 박근혜대통령 책임져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7
144 [서평] 슬프고 예쁜 청춘『내가 가장 예뻤을 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29
143 “대학은 메가스터디가 아니야” ... 9.28대학생대회 ‘THE대학LIVE’ 21세기대학뉴스 2013-09-30
142 대학생시국법정 “원세훈·김용판·김무성·권영세 모두 유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30
141 예비교사들 “정규직교원 확충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09-30
140 가을비속 밝혀진 촛불 “박근혜가 책임져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1
139 국민행복기금, 부처간 갈등으로 학자금대출연체자들은 불안불안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2
138 조선대 ‘구재단인사 이사선임 원천무효’ 학내갈등심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2
137 공주대역사교육과, '교학사교과서'집필 이명희교수 비판 이어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3
136 알바노조, 악세사리업체 ‘레드아이’ 상대로 단체교섭 요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4
135 서울대와 서울시, 경전철신림선 교내연장 비용부담률 갈등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4
134 부산교대 교수시국선언 “박근혜정부, 사회를 급격히 퇴행시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5
133 대학구조조정공대위 “학습권·교육권 침해 학과통폐합 중단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5
132 고대·연대 학생들, ‘대학평의원회를 즉각 구성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7
131 진리의 상아탑 대학, 농민의 ‘등골탑’으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7
130 외대교수들 시국선언 “책임자를 엄중 문책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8
129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 ‘나는 거절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8
128 ‘친일·독재미화하는 이명희교수 떠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8
127 “진정한 광복은 가해국가가 과거를 뉘우칠 때 이뤄진다” ... 1094차수요집회 열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8
126 포털3사, 한글날 맞아 다양한 이벤트 마련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9
125 교학사교과서, 검정기준미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