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공선옥작가의 『내가 가장 예뻤을 때』는 19805월 광주민중항쟁으로 시작한다.


공선옥작가에게 광주민중항쟁은 어떤 의미일까?

지난 5.18행사때 공선옥작가가 광주에서 강연을 했다는 소식을 일찍 알았더라면 강연을 통해 이 의문을 해소했거나 부족하면 질문이라도 했을텐데 아쉬운 마음이 든다.


0929 내가가장예뻤을때.jpg


사회문제에 관심있는 작가들의 소설중에 광주민중항쟁을 직·간접적인 배경으로 설정한 소설이 적지 않다.

그러나 광주민중항쟁에서 보여준 민중의 힘과 그 학살속에 살아남은 사람들의 처절함을 항쟁정신에 맞게 소설속에 구현한 작가로 공선옥작가는 단연 돋보인다.


『내가 가장 예뻤을 때』는 해금을 중심으로 그녀의 가족과 친구들의 이야기이다.

8명의 친구중 한명은 광주에서 군인의 총에 죽었고, 그 옆에 있던 친구가 정신을 놓고 자살한 순간. 18살 수선화 같이 아름다운 청춘들이 죽음을 맞이했을 때 해금과 그 친구들의 삶은 그 전과 같을 수 없었다.


처음에는 밥먹고 숨쉬는 것에 대한 죄책감으로 시작한다.

누군가의 죽음은 주변인들을 죄인으로 만든다. 처음에는 슬픔과 상실감으로 시작해 잠시 후 죄책감의 긴 터널을 지나야 죽은 이를 마음속에서 잘 보낼 수 있다.

이 소설에서도 밥먹고 숨쉬는 일상자체가 죄책감이 되어 버리는 순간, 친구의 고통에 내가 함께 아파하지 않았다는 점이 죄스러운 예쁜 청춘들이 아픈 시간을 통과하며 어른이 되는 순간이 아련하고 가슴 아프게 잘 그려진다.


이렇게 아픈 시간을 거치면서 제각각 가난한 사랑을 하고 그 가난한 사랑에 또 아픈 시간이 흐르고.

청춘은 크건 작건 아파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그렇게 살아 꿈틀대는 감정들 때문에 더욱 예쁘다는 것을 『내가 가장 예뻤을 때』는 잘 그리고 있다.


그 아픔의 시간을 통과한 해금과 친구들의 행보는 제각각 변한다.

대학에 간 친구들은 노동운동과 민족해방운동에 투신하면서 살아가고, 다른 친구들은 아이를 낳고, 버스안내양이 되고, 열심히 노동을 하는 20대를 시작한다.

그리고 해금은 인간다운 삶을 요구하는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모습을 보며 함께 투쟁의 대열에 나서게 된다.


해금이는 아마도 맞고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모습에서 죽은 친구들을 봤을 지도 모른다.

무자비한 권력앞에 놓였다는 이유만으로 죽을 수밖에 없었던 친구들.

그리고 그로 인해 겪었던 죄책감의 시간들이 떠올라 그녀들과 함께 하는 것을 선택했을 것이다.

이 소설은 개인적 아픔이 사회적 고통과의 연대로 확대되는 순간, 그리고 이를 통해 어른이 되는 순간을 덤덤하게 그린다.


이렇게 어른이 된 아이들의 결말 또한 제각각이다.

그 중 가장 충격적인 것은 승규의 죽음이다.

조직활동을 하다가 붙잡힌 승규는 군대로 끌려가 권총자살을 했다(고 군간부가 전한다.) 그런데 빨치산을 도왔다는 죄로 총맞고 죽은 승규의 할아버지와 군대에서 죽은 승규의 총구멍 위치가 같다는 점을 승규의 어머니가 한스럽게 이야기한다.


빨치산을 도운 죄로 총맞고 죽은 승규의 할아버지, 광주민중항쟁때 총맞고 죽은 친구들, 고문끝에 끌려간 군대에서 총맞고 죽은 승규.

나는 우리 현대사의 본질이 이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픔을 생생히 느끼고 함께 슬퍼했던, 감정이 생동해서 무덤덤할 수 없었던 청춘, 나는 청춘이 아름다운 이유는 아픔과 사랑에, 슬픔과 죄책감에 무덤덤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공선옥작가는 이런 청춘의 슬프고 예쁜 순간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소설을 마무리한다.


나도 이런 마음으로 이 글을 마무리 한다.


양고은(시사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174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9
173 비싼 등록금 때문에 독일로 유학가는 영국학생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9
172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9
171 싸이, 옥스포드유니온 강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8
170 대학생 5명중 3명 ‘난 캠퍼스푸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8
169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8
168 “대학생 정치참여 위해 투표시간 연장돼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8
167 교과부, 국가장학금확대방안 발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7
166 고대, 개정학생회칙에 '휴학생 선거참여' 제도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7
165 프랑스대학 연간등록금은 '25만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7
164 대학생 10명중 6명 “창업 의향 있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6
163 삼성피해자 다룬 영화 '또 하나의 가족' 만들어진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6
162 대학생 임신·출산·육아 휴학제도 도입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5
161 졸업 앞둔 대학생 “취업준비하느라 학교 안 나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5
160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5
159 서울 중·고교 88% 학생인권조례 무시, 두발제한 여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4
158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2
157 “선거일 유급공휴일 지정, 투표시간 9시까지” 21세기대학뉴스 2012-11-02
156 안철수, 반값등록금정책 제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1
155 광주 대학생들 “정부, 반값등록금 노력 안 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1
154 부산대시험문제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1-01
153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31
152 대전지역대학, 신문읽기강좌 큰 호응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31
151 대학생 '10억은 가져야 부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31
150 청년 10명중 9명 “재벌개혁 필요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7
149 충남대 총학선거, 시작부터 공정선거 논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6
148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6
147 대학졸업까지 양육비 2억7500만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5
146 피자가게 '알바생' 성폭행 한 사장에 12년 구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5
145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4
144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4
143 박근혜선거캠프참여 현직총학생회장 결국 사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2
142 안철수 “청년들이 좌절하는 것은 사회시스템 탓”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21
141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9
140 고대교수들, 김병철총장·김재호이사장 강하게 비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9
139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8
138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8
137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7
136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7
135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6
134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6
133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5
132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5
131 “설명하기 힘든, 가슴으로 느껴지는 울림이 있다” 21세기대학뉴스 2012-10-13
130 희망버스기소자들 '무죄판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3
129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2
128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 다음달 9일 총파업 선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2
12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2
126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1
125 ‘학도호국단 규정’ 아직까지 대학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