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대학교와 연구기관 연구실에서 폭발등 안전사고가 해마다 빈번히 발생하고 있지만 담당부서인 미래창조과학부의 관리는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3일 국회정무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지난 7년간 미래창조과학부가 보고 받은 연구실안전사고 ‘714건’ 중 위반으로 인한 과태료부과 건수는 단 ‘3건’ 인 것으로 밝혀졌다.


과태료부과건수가 단 ‘3건’인 것도 문제지만 이는 연평균 100건이상의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교육과학기술부(미래부 전신)에서 한국연구재단에 의뢰해 작성한 '2012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연구실안전법(연구실 안전환경조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사고보고율은 일반대학(75%), 전문대학(80%), 연구기관(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연구실은 특히 취약했다. 지난 5년간 전체연구실안전사고 678건중 (87%)인 595건이 대학에서 발생했다. 연구원 건강검진을 실시하지 않은 비율도 일반대학은 (44%)로 높았다.


지난 5월 세종대학교 공대건물에서 브롬화수소 누출사고가 일어난 지 2달만인 7월 자연대 건물의 식품공학과에서 발생한 폭발사고 관련해서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영주의원은 "만약 미래부가 브롬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학교 전체에 안전점검을 실시했다면 자연대에서 발생한 7명이나 화상을 입은 사고는 미연에 방지했을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김의원은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선진국을 향하고 있지만 연구실 안전은 후진국 수준”이라며"정부는 R&D(연구개발)사업 예산을 증액하는 데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연구실 안전을 담보하는 데도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현준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