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서울대가 비공식계좌 4600여개를 방만하게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교문위(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소속 김태년민주당의원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비공개계좌현황’에 따르면 서울대는 2012년 2월말 당시 4681개비공식계좌에서 740억원을 운용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996개는 잔액이 없는 계좌였으며, 그 밖에 미파악계좌168개, 학교명의개인계좌124개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서울대는 비공식계좌정리에 나섰지만, 607개 계좌(217억원)의 용도를 파악하지못해 방만하게 운영돼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올해 9월말 기준 비공식계좌는 135개 기관의 1632개 계좌로 잔액은 466억원으로 밝혀졌다.

 

공공기관들은 기획재정부령 ‘정부보관금취급규칙’ 4조에 따라 공식적인 세입세출계좌외에 ‘세입세출의 현금계좌(부외계좌)’를 운영할 수 있도록 돼있지만 서울대는 대학본부가 용도와 규모를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방만하게 운영해 온 것으로 보여 문제제기가 됐다.

 

심지어 일부 통장에는 모임운영비 등 정체를 알 수 없는 자금이 포함돼있었다.

 

또 ‘서울대비공식계좌관리지침’에 비공식계좌를 ‘기관별로 개설‧운영하는 계좌중 법률 또는 규정에 근거없이 임의로 개설‧운영하는 모든 계좌’로 정의, 스스로 불법성을 인정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의원은 “법인화법이 처리된 지 3년이 됐는데도 용도가 불분명한 계좌정리작업도 제대로 하지못하고있다”며 “비공식계좌의 관리운용실태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유하나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