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20133913_2_IMG_FIX_700x700.jpg


느와르영화속 한 장면의 갱스터들처럼, 세상 무서운 것 없이 자유롭게 팔을 흔들며 요들송을 부르는 안와 콩고(Anwar Congo)와 그의 친구들은 대초원을 가로질러 질주하는 서부의 카우보이들처럼 마치 그들이 영화 속 주인공인양 자신의 영웅담을 이야기하며 그들이 행했던 살인현장에서 요란스레 춤을 춘다.

 

그곳은 인도네시아의 메단, 과거에 저지른 끔찍한 죄악에도 불구하고 부끄러움, 죄책감이란 티끌만큼도 찾을 수 없으며 마치 유명한 영화배우라도 된 듯 그들은 한없이 당당하고 고무돼있다. 영화제작이라는 그들의 시도는 이미 미디어에서 환영받고 있으며 또 TV에서도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1965년 인도네시아정부가 군사파시즘에 의해 전복되면서 영화 암표를 거래하던 안와와 그의 친구들은 부패한 우익군대의 앞잡이가 돼 학살에 나서고 그 대가로 부유해진다.

 

그들은 무고한 시민을 뚜렷한 증거 없이 공산주의자들로 몰아 살해하는 것을 도왔고 그중에서도 안와는 도시에 가장 악명 높은 살인집행자로 직접 1000여명의 사람들을 죽였다. 또 그 당시 군사파시즘(Military Fascism)의 잔재가 남아있는 현재도 현역으로 활동하는 우익 불법무장단체의 조직창립자로 여전히 인정받고 있다.

 

<The act of killing>은 반인류적 살인을 바탕으로 승리를 쟁취한 범죄자들의 행위와 속죄에 대한 이야기다. 영화에서 조슈아감독은 과거 피비릿내 나는 화려한 경력의 부패한 권력과 그들이 여전히 군림하는 인도네시아의 진실을 망각한 사회적 분위기와 실태를 안와라는 상징적 인물을 통해 영화 속에 영화라는 신선한 프레임으로 날카롭게 꼬집어 냈다.

 

안와는 조슈아의 <The Act of Killing>다큐멘터리 속에 나오는 ‘The Act of killed’의 영화배우가 돼 살인자와 피살자의 행위를 재현하고 연기한다. 자신이 고문하고 죽이며 스스로가 고문당하고 죽임을 당한다.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과거, 자랑스러운 애국적 무공이 군사파시즘에 기대어 대의명분 없는 반인륜적 살인범죄였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자신이 했던 일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동정할 수 없는 애처로운 후회는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안와의 감정선으로서 관객들을 영화 속으로 끌어당긴다.

 

처음 자신이 저질렀던 현장을 방문하며 춤을 추던 안와는 마지막에 다시 찾은 현장에서 구토를 한다. 이미 되돌릴 수 없는 과거의 만행이 깊숙하게 뿌리내린 자신의 내면속 죄책감을 조금이라도 덜어내려는 듯이.

 

이제는 두 손자의 할아버지가 된 안와, 자신이 찍은 영화를 그들과 감상하며 괴로워하고 참회의 눈물을 흘리는 장면에서 감독은 살인연기와 실제행위 자체에 본질적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그 본질을 직간접적으로 대하는 행위자·피해자·관객 모두가 괴롭다. 그러면서 영화는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영화가 사람을 바꿀 수 있는가?” 감독은 영화 속 안와의 마지막 참회 장면을 통해 긍정하는 답변을 남긴다. 영화가 사람을 바꿀 수 있다면 사회도 바꿀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영화는 영화예술의 본질에 대한 중요한 기록이 된다.


진실의 반대말은 거짓이 아니라 망각이라는 말이 있다. 진실을 바로 보지 못하고 눈을 돌리면 역사는 그대로부터 등을 돌리고 그 역사에 뿌리를 둔 사회는 구성원들을 마음껏 유린한다. 과연 우리의 역사는 어떠하고, 우리는 진실을 망각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봐야 한다


안와 같은 인간은 우리역사에도 수없이 있고 지금도 살아있다. 그들이 오늘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의 삶과 과거에 대해 어떻게 참회하고 있는지 물어볼 때다.

 

성우종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박근혜 정부, 교육부장관 서남수 위덕대총장 내정 file

순천지검, 사학비리혐의 이홍하 병보석 취소청구 file

고려대 등심위합의없이 일방적인 등록금책정 '1%인하는 생색내기에 불과' file

박 당선인 “반값등록금 위해 대학 회계투명성 높여야” file

등록금 비싼 미국 대학에게 외국인 대학생은 ‘효자’?! file

경주 서라벌대, '등록금 12%인하' 전국최고수준 file

고용부, ‘청년취업아카데미’ 운영기관 82곳 선정 file

검은 돈으로 얼룩진 대학 축제, 총학생회장과 업체와의 ‘은밀한 거래’ file

'구독료 납부 방식 변경'으로 연세학보 연세춘추 운영위기 file

[베를린영화제] 적어도 대안정신은 이것이다 - The Spirit of ’45 file

[베를린영화제] 킬링에서 킬드로(From killing to Killed) - The Act of Killing file

[베를린영화제] 혁명의 두가지 형식 Art, Violence - ART VIOLENCE file

[베를린영화제] 청년의 정확한 타겟은 - Youth file

“수강신청권 사고 팔아요!”, 대학가 수강신청권 뒷돈거래 횡행 file

건국대 글로컬캠 총학, '착한 자취방 프로젝트' 진행 file

대학생 41%, 취업 못하면 '대학 5학년 고려' file

코리아연대, 반전평화와 민족자주권실현결의대회열어 file

취업률 등 속여 국고 23억 타낸 대학총장… 과연 법원의 판결은? file

대학등록금, 카드결제시 무이자혜택 file

대학생스펙, 기업의 요구보다 과해 file

하버드대, 강의때 노트북 안돼! file

서울 일대 어학원서 SAT문제 불법 유출… 최대 800만원 거래 file

서강대 총학생회장 사퇴, 학교 측 “이미 대표성 상실 해 ‘사퇴’ 운운할 자격 없어” file

폭언욕설에 심지어 폭력까지, 심각한 서울시립대 노동인권 file

20대 빚은 늘고 취업은 없고 file

[인터뷰] 주거권이란 모두에게 주어져야 하는 것 file

박근혜 정부의 ‘반값등록금’ 어디까지 왔나 file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대학생, 새정부에 바라는 희망사항1위는? file

코리아연대 백서발간 ‘때를 놓치면 ‘세르비아의 총성’ 울릴 것’ file

대학생 절반 ‘첫 직장 비정규직도 괜찮아’ file

위안부문제해결을 촉구하는 플래시몹열려 '할머님들이 원하는 것은 일본의 진정한 사과' file

2006년부터 대학캠퍼스 확장‧이전… 무려 21곳이나 추진 중이거나 완료해 file

3.1절 앞둔 27일 1063차 수요집회, 많은 시민들 참여속에 진행돼... 대전인권버스 참여 file

서남수, 5.16관련질문에 '답변 못하니 양해바란다'… 인사청문회 잠시 중단 file

충북, 재능기부하는 대학생에게 최대 300만원 지원 file

전세계가 볼 수 있게 된 국내대학강좌, ‘아이튠즈U' 서비스 시작 file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2차 접수' 시작 file

‘저를 채용해 주십시오’, 20대 여성의 특별한 구직광고 file

민주당 유은혜의원, 대학입학금 등록금의 10%초과금지 발의 file

미국, 대학 입학생 “절반”만 6년안에 졸업 file

서울대, ‘희망버스’ 참가이유로 명예교수심사제외 file

한대련, 박근혜정부에 '고지서상 진짜 반값등록금' 촉구 file

장관후보자 자녀들, 대학 재학 중 ‘가계곤란장학금’받아 논란 file

퇴출위기에도 학생장사, 뻔뻔한 대학의 행태로 고통받는 신입생들 file

총학생회연석회의, "새정부 등록금문제해결에 책임가져야" file

자동차로 떠나는 유럽여행 - 프롤로그 file

공주대미술교육과, 성추행가해교수 강의개설돼 논란.... file

차베스서거에 꾸바·이란 등 애도의 날 선포 … 베네수엘라 30일이내 재선거 file

코리아연대, 유엔사무총장·안보리이사국에 공개서한 발송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