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대학뉴스취재단이 <세월>호참사 100일, 특별법제정촉구 100리행진을 국회에서 광화문까지 함께 했다. 


세월호 특별법제정을 촉구하는 100리행진단이 24일오후 1시50분 국회에 도착했다. 세월호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행진단이 안산 합동분향소에서 출발한지 28시간이 지난 시간이다.

0727 세월호행진1.JPG

국회에 도착한 행진단을 국회본관앞에서 단식중인 유가족들이 플랑카드를 들고 행진단을 따뜻하게 맞아줬다. 11일째 <세월>호특별법제정을 촉구하며 국회본관앞에서 단식중인 <세월>호참사로 희생된 안산단원고 유예은 학생 아버지 유경근 <세월>호참사희생자 가족대책위대변인은 <1박2일 걸어오신 분들 고생하셨습니다. 그렇지만 아직 이뤄진 것은 아무것도 없고, 여전히 이뤄가는 과정일 뿐입니다. 미리 뿌듯해하지 말고, 특별법제정을 싫어하는 사람들보다 딱 1분만 더 버팁시다.>고 발언했다. 

국회에 도착한 행진단은 점심을 먹고, 짧은 휴식을 취한 뒤, 오후3시50분께부터 행진준비를 서둘렀다. 국회에서 출발하기전 행진단은 국회앞에서 짧은 출정식을 통해 서로에게 힘을 북돋았다.

0727 세월호행진2.JPG

출정식에서 7일간 유가족과 단식을 함께해온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신승철위원장은 <밥을 굶는다고 유족의 고통을 다 이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렇게 큰 슬픔을 맞닥뜨릴 때 함께 행동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0727 세월호행진3.JPG

오후4시께 국회에서부터 시작된 특별법제정촉구 행진은 국회본관 앞에서 단식중인 유가족들도 함께 했다. 행진대오에는 <세월>호참사 희생자 유가족 300여명을 포함해 마음을 함께하고자 온 대학생, 종교인, 시민단체 관계자 등 약500명의 시민들이 함께 했다. 

0727 세월호행진4.JPG

함께 하는 시민들은 행진장소가 바뀔 때마다 계속 늘어났다. 유가족 300여 명을 포함한 행진대열 1000여명은 마포대교-공덕오거리-충정로 등을 거쳐 오후6시40분께 서울역에 들어섰다. <특별법제정촉구>를 외치며 국회를 출발한지 3시간, 전날 안산합동분향소를 출발한 지 33시간만이다. 유가족들과 시민들은 서로에게 박수를 보내며 감사인사를 보냈다.

0727 세월호행진5.JPG

행진단은 짧은 휴식을 취한 뒤 서울역에서 결의대회에서 가졌다. 부산대 이승백총학생회장은 <휴가일정을 잡고 싶은 박근혜대통령은 세월호가 끝났다 생각하고 있겠지만 국민들은 잊지않고 기억할 것입니다. 100일맞는 이 걸음 완벽하게 해결될때까지 끝까지 함께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0727 세월호행진6.JPG

결의대회가 끝나고 유가족들과 행진단은 서울시청광장에서 진행중인 세월호 참사 100일 시낭송 및 추모음악회 <네 눈물을 기억하라>에 합류하기 위해 다시 시청광장으로 향했다.

21세기대학뉴스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