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총파업에 대학생, 시민단체가 가세해 시민불복종 운동을 벌였다.

30일 오후 6시 광화문광장에서 3만명의 시민들이 박근혜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했다.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의 박래군 상임운영위원은 <박근혜퇴진을 넘어 구속까지 싸워야 한다>며 <야당은 새누리당과 타협해 탄핵하려는 생각 치워야 한다>고 경고했다.

민주노총은 오후3시 서울광장에 집결해 주최측 추산 2만2천명의 조합원의 참여로 총파업대회를 열고 노동개악폐기·노동3권보장·한상균위원장석방을 요구했다.

대학생들은 동맹휴업을 선포하고 강의실을 벗어나 거리로 뛰쳐나왔다. 서울대 총학생회장은 박대통령의 담화에 대해 <우리는 사퇴하라고 했지 국회에 공을 넘기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는 즉각퇴진하고 법의 심판을 받아야한다.>라고 요구하며 촛불집회에 결합했다.

노동자·대학생·시민들은 오후7시30분부터 청와대 앞까지 행진한 뒤 해산했다.

한편 이날 시민들의 행진에 경찰은 또 다시 불법적으로 제지해나섰다. 법원이 행진을 허용하는 결정을 내린 후에도 <주최측이 해산한다고 방송했다>는 핑계를 대며 30분여간 행진을 막아 위기상황을 유발했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은 <법원의 결정에도 행진을 막는다면 우리는 정당방위고 행진을 계속할 권리가 있다>며 <반드시 경찰에 법적책임을 묻겠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시민들의 거센 항의에 경찰은 결국 30여분만에 차벽을 풀고 시위대에 길을 열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한 참가자는 <대국민담화 이후 화가나서 못살겠다.>며 <박근혜가 퇴진하고 구속될때까지 촛불을 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