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영화평] 신화와 논리

조회 수 1648 추천 수 0 2012.05.08 07:11:34

[리뷰] 영화 <코리아>

 

코리아1.jpg

 

“가능할까?”

모든 신화는 한 가지 질문에서 시작되었을지 모른다. 불가능해 보이는 것에 대한 상상력. 그리고 무모한 도전. 역사의 큰 획은 그렇게 그어져 왔다. 개봉3일만에 40만 관객을 끌어모으며 외국영화들 사이에서 돋보이는 질주를 하고 있는 영화 <코리아>는 그 ‘신화’ 중 하나를 선택했다. 남북단일탁구팀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최강의 중국을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은 1991년. 긴긴 군사독재 끝에 87년 6.29선언으로 들어선 노태우정권의 중반부. 여전히 통일은 멀어보였고, 중국을 이기는 것보다 남북이 한팀이 되는 것이 더 불가능해보였던 시기였다. 그런 상황에서 남북 탁구단일팀이 만들어진 것 자체가 비현실적인데, 더 비현실적으로 단일팀은 따로따로는 한번도 넘지 못했던 중국의 벽을 넘기까지 했다.

 

<코리아>는 이 실재했던 ‘신화’를 다룬 영화다. 소재 자체의 강력한 힘과 수준급 배우들의 연기는 영화가 가진 ‘신파성’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다. 보통 사람들 역시 그냥 만났다가 헤어지는 것만으로도 ‘다시는 볼 수 없다. 연락도 할 수 없다’는 분단의 비극성을 홍수처럼 느끼게 되는데, 40여일 함께 훈련하고 호흡을 맞춰 극적인 승리를 이루기까지 한 선수들은 정말 가족과 헤어지는 것 같은 비통함을 느꼈을 것이다. 관객은 그 비통함을 고스란히 전해받는다. <공동경비구역 JSA>가 보통사람은 접근하기 어려운 군사지역을 소재로 삼은 반면, <코리아>는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스포츠를 소재로 삼으면서 몰입도를 더했다.

 

<코리아>의 가장 뛰어난 점은 그 ‘신화’를 찾아내 영화로 만든 것 자체에 있다. 90년대에 비해 좋을 것이 없는 현재 남북관계의 출로 역시 보이지 않는다. 20년은 퇴보했다고 평가되는 현 정부의 통일정책은 영화에서 오두만이 상대를 자극하는 줄 알면서도 동료 이름과 똑같은 당시 이북 주석의 이름을 장난스럽게 불러대는 수준보다도 낮다. 긴장관계가 최고조인 이런 상황에서 ‘통일’이라는 말은 비현실적으로 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리아>는 불가능한 것이 충분히 ‘현실’이 될 수 있으며, 그런 신화가 탄생하는 순간 얼마나 강력한 폭발력을 가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실제 단일탁구팀이 구성되었던 1991년 12월에는 남북기본합의서가 발표되면서 코리아반도에 통일의 훈풍이 불기도 했다.

 

물론 <코리아>에서는 정치논리가 우선인 통일문제의 본질도 잘 드러난다. 영화 내내 단일팀의 양측 총책임자들은 ‘우승이 최종 목표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이 팀이 만들어진 것 자체가 정치적 목표를 위한 것임이 조금은 거칠게 드러난다. 그 정치적 목표가 무엇인지 구체적이고 세련되게 밝혀지지 않는 것이 이 영화의 한계라면 한계다. 또, 정치논리를 적용시키는 것이 북측이라는 점만 강조해 균형잡힌 시각을 잃으면서, 영화 자체가 정치논리의 희생양이 된 것 역시 한계다. 북 보안요원들이 북측 선수들의 짐 수색을 함부로 한다던가, 몇 가지 남측선수들로부터 받은 물건 때문에 준결승 경기를 안 내보낸다거나 하는 무리한 설정은 사실 <공동경비구역 JSA>나 <웰컴투 동막골>보다 후퇴한 에피소드 구성이다.

 

그러나 영화 속에서 정치논리를 뛰어넘는 선수들의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그 연대감, 그리고 절박한 마음과 행동이 ‘신화’를 만들어냈던 것처럼, <코리아>에서 전달하는 메시지의 본질은 정치적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다. 바로 불가능을 뛰어넘는 힘은 논리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때로는 이론과 논문보다 영화 한편이 더 많은 사회적 변화를 불러오듯이. 양 측의 정치적, 논리적 차이는 부둥켜안기만 해도 눈물이 나는 분단의 슬픔보다 깊지 못하고, 같은 편에 섰을 때 느끼는 충만감은 논리가 만들어놓은 간극을 충분히 메우고도 남는다. <코리아>는 그 ‘신화’의 힘이 여전히 우리 민족에게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무리 보수 언론에서 통일에 대한 요즘 젊은이들의 인식이 어떻다, 통일비용이 어떻다 논리적 수치로 ‘불가능’을 강조한다고 해도, 이미 역사 속 ‘신화’는 그것이 가능함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리아2.jpg

 

<코리아>에서 북측 대표선수 ‘리분희’를 맡은 배우 배두나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리분희 선수에게 하고 싶은 말을 전하라 하자. 쉽게 말을 잊지 못했다. 그리고 한 문장을 전했다. “아...리분희 선수, 보고 싶습니다.” 이것은 어쩌면, <코리아>가 하고 싶은 단 한 마디. 그리고 영화를 보고 나온 사람들이 하고 싶은 한 마디. 그리고 우리 민족이 서로에게 전하고 싶은 그 한마디일지도 모른다.

 

강순영(서울민주아카이브사무국장)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 카이스트학생들 “이제는 총장님 떠나실 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22
23 “가장 하고 싶은 일은 '심심타파' 다시 연출하는 것”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22
22 연300만원이 넘는 주거비는 '제2의 등록금'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20
21 건국대 교수·교직원, 총장사퇴 최후통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9
20 서울시립대, 복학생 2학기등록금 ‘0원’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9
19 공공교육, 누가 지불할 것인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9
18 ‘등록금인상은 전쟁, 우리는 보복할 것’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7
17 “반값등록금 대신 벌금고지서 받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6
16 카이스트교수들 “서남표총장 15일까지 퇴진하라” 21세기대학뉴스 2012-05-15
15 “마봉춘 라디오PD들, 전국의 대학생들을 만나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14 캐나다, 등록금인상? 무상교육실시하라!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13 ‘왕차관’ 박영준, 드러난 비리만 해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12 일본과의 군사협정체결은 동북아의 다이너마이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11 그리스총선후, 긴축재정 둘러싼 공방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10 보시라이의 몰락, 그 이면에는?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9 아르헨티나 YPF 재국유화가 시사하는 점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8 최고의 효도는 반값등록금 실현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7 광우병문제 외면하는 ‘이명박근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2
6 '주40시간노동' 베네수엘라 신노동법 공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1
5 노동절, 누군가에겐 더 힘겨운 오늘 file 21세기대학뉴스 2012-05-10
4 각당의 등록금공약으로 본 19대총선 21세기대학뉴스 2012-05-08
» [영화평] 신화와 논리 21세기대학뉴스 2012-05-08
2 [영화평] 가슴에 묻지 못한 아들, 가슴에 묻힌 어머니 21세기대학뉴스 2012-05-08
1 사흐코지패배, 프랑스대선의 예견된 결과 21세기대학뉴스 2012-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