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연세대학교 이한열동산에서 이한열열사의 35주기 추모식이 진행됐다. 이번 추모식은 배은심여사가 별세한 뒤 처음 열렸다.

이날 추모식에는 총 70-80명정도의 인원이 참석했으며 연세대학교총학생회비상대책위원회 등 단체들이 함께했다.

추모식은 엄숙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매년 추모식에 참석해 인사를 했던 이한열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여사가 올해 초 별세한 관계로 이날은 열사의 큰누나인 이숙례이한열기념사업회이사가 참석해 인사를 했다.

이한열열사의 큰누나 이숙례씨는 <34년을 엄마 가슴 찢어지게 하던 날인데, 오늘은 하늘나라에서 그토록 보고싶던 아들을 만나서 이 모습을 지켜보고 계실 것>이라고 말했다.

강성구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상임부이사장은 <22세의 나이에 돌아가신 이한열열사는 <영원한 청년>으로 남았다>며 <탈민주화를 막고 더많은 민주주의로 나아갈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는 것이 오늘날 열사의 뜻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1987년 6월9일 당시 연세대학교 2학년이던 이한열열사는 다음날 열릴 <고문살인은폐규탄 및 호헌철폐국민대회>의 출정식을 마치고 1000여명의 대학생들과 함께 <직선제쟁취> 등의 구호를 외치며 연대정문까지 전진하다가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다.

photo_2022-06-10_22-25-09.jpg photo_2022-06-10_22-25-10.jpg photo_2022-06-10_22-25-1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7 경남대학생들 1085명중 80.2% <학과통폐합사실 몰랐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6
336 〈친일반역무리의 완전한 청산을 위해 끝까지 투쟁!〉 … 반일행동, 소녀상연좌농성 2년맞이 집회 열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4
335 국제평화운동가 요제프보쉿트, 반일행동 소녀상사수문화제 참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4
334 조선대공연예술무용과 교수비리논란 ... 논문대필·폭력·금품수수·횡령 등 터져나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3
333 비정규직없는서울대만들기공동행동 〈돌아온 여름, 두차례의 청소노동자사망사건을 생각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3
332 서울여대 〈총장은 대화하라!〉 ... 총장직선제·학습권보장촉구 움직임 이어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3
331 학생회비 사비로 탕진한 경북대 학부학생회 ... 특별감사 시작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0
330 울산과학대학교청소노동자들 8년째 복직농성투쟁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9
329 전문대의 생존 몸부림 ... 메타버스·타투디자인·스포츠재활 등 학과 신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7
328 반도체학과의 막무가내 증원 ... 교수도 실험실도 없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7
327 미디어오리, 전장연시위에 〈지각연대〉 ... 〈시위로 인한 피해는 정부 때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5
326 경성대, 11월부터 모든 학과에서 조교 사라져 ... 구성원들 반발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5
325 〈우크라이나전은 어디로 가는가〉 … 국제평화운동가 요제프보쉿트 대학생간담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5
324 대학생들의 SPC불매운동 ... 〈청년노동자의 눈물은 먹을수 없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4
323 고려대학생 〈모두에게 안전한 도로를 위해 화물연대파업을 지지합시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1
» 연세대에서 이한열열사 35주기 추모식 열려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1
321 민중민주당학생위원회 〈6월민중항쟁정신계승! 윤석열친미호전파쇼무리청산! 미군철거!〉 집회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10
320 〈사회를 바꾸는 1°C, 우리가 만드는 100°C〉 ... 진보학생연대 학내대자보 부착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07
319 장상윤교육부차관, 대학총장들과 간담회서 대학규제완화 예고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06
318 대학교 대면축제 본격재개 ... 학생들 〈다시 예전으로 돌아간 것 같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