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등록금 인상을 막기 위한 대학생들의 릴레이행동이 이어지고 있다. 학교별로 릴레이등록금인상반대기자회견을 진행한 뒤 현재 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과 목소리를 담아 내달 4일 <등록금인상반대 대학생 행동의 날>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등록금인상반대대학생공동행동,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는 지난 5일 이화여자대학교와 단국대학교에서 <등록금인상반대>기자회견을 열었다. 고려대학교에선 등록금인상반대대자보를 부착했다.

이화여자대학교앞에서 대학생들은 <이화인 98%가 등록금 인상을 반대한다. 우리는 안전한 캠퍼스에서 원하는 수업을 듣고 싶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화여대실천단이 이화인 1061명을 대상으로 등록금 인상 및 이화여대 학내사안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98%가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지금 내고 있는 등록금도 부담스럽다>, <등록금에 비해 수업 및 시설의 질이 떨어진다> 등을 꼽았다.

이들은 <학생들은 이미 내는 등록금조차 아까워하며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수강신청정원부족, 교강사부족, 안전하지 못한 시설, 학교와 학생 간의 소통없음 등 고질적인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며, 수업 및 시설의 질을 개선할 것을 학교에 요구한다>고 밝혔다.

대학생들의 목소리는 단국대학교에서도 이어졌다. 단국대학교등록금인상반대서포터즈는 <최근 교육부장관이 대학재정난에 대한 대책으로 등록금규제를 풀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대학총장들의 10명 중 7명은 등록금인상계획이 있다고 밝혔고, 실제 몇몇 대학은 등록금을 인상하기도 했다>며 <대학생들은 학생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하는 등록금 인상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단국대의 재정구조만 봐도 등록금의존율이 70%다. 이미 학생들이 많은 부담을 지고 있다는 뜻>이라며 <학생들은 등록금 인상도 반대하지만, 캠퍼스내에서 보장받지 못하는 수업과 복지, 시설 등에 대한 불만도 매우 큰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9월11일부터 10월3일까지 진행된 등록금 인상 및 학내이슈 관련 인식설문조사에서 96.04%가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고, 89,57%는 현재 납부한 등록금만큼 수업, 시설, 복지 등을 제공받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록금심의위원회는 비민주적이므로 의사결정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에 92.12%, <부족한 대학재정은 정부재정지원 확대로 해결해야 한다>에는 88.18%의 학생들이 공감했다.

photo_2023-10-10 03.34.47.jpeg
번호 제목 날짜
1969 제주지역 대학생 “투표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창구” 2012.12.12
1968 “청년아르바이트생의 투표권을 보장하라” 2012.12.12
1967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
1966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96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964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963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962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961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96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959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958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957 [좌담회] 2013년 총학생회선거를 돌아보며 2012.12.19
1956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955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954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953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952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951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950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949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948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947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946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945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944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943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942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941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940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939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938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937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936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935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934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933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932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931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930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929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928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927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926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925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924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923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922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921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920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