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동아리에서 일어난 성추행사건처리를 학내인권센터가 미루는 사이, 외국인가해자가 징계·처벌을 제대로 받지 않고 졸업해 해외로스쿨에 진학할 예정으로 확인됐다. 피해자측은 서울대 자체 징계를 통해 가해자의 졸업·출국을 막고 제대로 된 법적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피해자 A씨는 올해 5월13일 경기도 한 펜션으로 엠티(MT)를 간 동아리원들과 게임을 하던 도중 같은 동아리원이자 외국인유학생인 B씨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며 이틀 뒤인 5월15일 서울대인권센터에 피해사실을 신고했다.

B씨는 당시 A씨의 상의 안으로 2차례 손을 집어넣어 신체일부를 만지고, 바지안으로 손을 집어넣으려 했다. A씨가 수차례 거부의사를 밝혔지만 B씨는 멈추지 않았다. A씨는 <마피아 게임을 하던 도중 친분도 없는 B씨가 사람들이 다 보는 앞에서 제 옷으로 손을 몇 번이나 집어넣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인권센터는 신고 다음날 접수 및 조사를 개시했지만 반년 넘게 사건 조사를 종결짓지 않았다. 센터는 피해자 A씨에게 지난 12월 7일에야 보강조사를 요청한 뒤 12월 21일 징계여부를 결정하는 심의위원회 개최(12월 27~28일중)를 알려왔다. 사건이 접수된 지 7개월만의 일이었다.

조사·심의가 미뤄지는 동안 B씨는 졸업학기를 마치고 해외로스쿨 진학을 위해 오는 30일 출국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적어도 정학처분이 내려질 거라 예상했는데 이렇게까지 사건처리가 지체될 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며 <6개월안에만 조사가 마무리됐어도 가해자는 일찍이 정학징계를 받아 이번 학기에 졸업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다음주에 심의위원회가 열려도 반성문 제출, 성폭력 예방 교육 정도를 제외하면 센터에서 내릴수 있는 처분은 없고, 징계에 대한 결정권은 사실상 소속 대학장에게 있다고 한다>며 <학교가 늑장을 부리는 동안 가해자가 아무런 징계도 받지 않고 출국한다는 사실이 제게 너무나 큰 상처로 남아 있다. 학교에 대한 신뢰를 완전히 잃어버렸다>고 덧붙였다.

photo_2023-12-25 16.40.22.jpeg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