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R&D(연구개발)예산안이 지난해보다 4조6000억원 삭감된 25조9000억원 규모로 책정됐다. 과학기술계, 대학계등 반발이 거셌으나 당초 5조2000억원 삭감안에서 6000억원을 증액하는 데 그쳤다. 
 
21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내년도 R&D예산안이 통과됐다. 예산은 올해 31조1000억원 대비 15%가량 삭감됐다. 전체 정부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9%에서 3.9%로 줄었다. R&D예산삭감이 이뤄진 것은 1991년 이후 33년만이다.

공개된 예산안에 따르면 기존안에서 증액된 6000억원중 대부분은 연구자의 고용불안완화에 사용된다. 전체증액분중 5230억원이다. 앞서 과학기술계는 R&D예산삭감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젊은 연구자들의 고용을 지속할수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기존삭감안에 비해 6000억원이 증액됐지만 R&D예산삭감에 대해 연구현장등 과학기술계의 우려와 비판을 잠재우기는 역부족이다. 

한 출연연관계자는 <당초 삭감안과 비교했을 때 일부증액이 이뤄진 것은 고무적이지만, 여전히 각 연구기관의 주요사업의 타격은 불가피한 수준>이라며 <R&D예산삭감의 후폭풍은 내년에 본격적으로 체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덕환서강대명예교수는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삭감 자체보다 과정이 더 큰 문제였다. <약탈적 카르텔>, <이권카르텔>이라고 하는 고약한 명칭을 썼다.>며 <정부예산을 줄일수는 있다. 그런데 그 방법이 아주 많이 잘못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 우수인력의 해외유출문제에 대해서도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번에 더 불안해지는 경험을 확실하게 한 것>이라고 우려했다. 

뿐만아니라 R&D예산삭감으로 발생할 문제들에 대해 정부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명호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정책위원장은 <연구현장에서는 <예산삭감으로 인해 과제가 실패로 끝났을 때 그 책임을 누가 질 것이냐>는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문제가 생긴다면 법적소송등을 통해 대응하는 방법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연구는 상용화전 실증단계를 거치는데, R&D예산삭감으로 실증단계에 들어가지 못하고 사장돼버리는 연구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이 실증단계에는 각종 기계와 시설을 들여오는 등 실험실연구보다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가과학기술바로세우기과학기술계연대회의 공동대표도 <R&D예산삭감으로 인한 문제가 생기면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책임질 조직을 명확히 해 이번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종호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22일 브리핑에서 이번 R&D예산삭감 대해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군살을 빼고 근육을 붙여나가는 과정>이라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한국이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일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새로운 체계로 탈피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통이라고 봐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1.jpeg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