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총장직선제를 도입하는 국립대학에 재정적 불이익을 주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대학사회를 비롯해 야당의원들까지 반발하고 나서 파문이 확산 되고 있다.


교육부의 이러한 입장표명은 최근 이명박정부때 폐지됐던 총장직선제가 박근혜정부 들어서 법원의 ‘구성원들의 의사에 반해 총장직선제를 폐지한 결정은 헌법상의 기본권에 위배되는 행위’라는 판결이 나오면서 각 국립대에서 총장직선제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일자 교육부가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현행 교육공무원법 제24조의 3항은 국립대 총장후보자를 추천할 때는 반드시 해당 대학교원의 합의된 방식과 절차에 따라 직접선거로 선정할 수 있도록 규정돼있다.


전국국‧공립대학교교수회연합회(국교련) 이병운회장은 “국립대 총장은 법적으로 각 대학의 교원이 합의한 방식으로 선출하도록 돼 있는데도 교육부가 법을 넘어서는 월권을 행사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히 헌법에 명시된 대학자율성을 침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유기홍의원은 “법으로 보장된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면서까지 교육부가 대학구성원을 압박하는 방식으로 총장 선출제도를 강요하고 있다”며 “교육부가 법률로 보장된 총장직선제를 행정행위로 가로막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해서 지난달 20일 부산대교수회가 대학총장을 상대로 부산고등법원에 제소한 ‘총장직선제폐지 학칙개정처분 무효 확인’ 소송에서 법원은 교수회의 손을 들어줬다. 


이날 고등법원은 “대학 교원에게는 대학총장후보자선출에 참여할 권리가 있고 이 권리는 대학자치의 본질적 내용에 포함되므로 결국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한편 5일 국회에서 국교련은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대 교수회가 제소한 ‘총장직선제폐지 학칙개정처분 무효 확인’에 대한 부산고법의 판결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교련소속교수 10여명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이번 판결은 국립대의 총장후보자 선정과 관련해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대학의 자율성’을 명확하게 짚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며 “교육부의 강압 아래 국립대 총장들이 저질러온 ‘대학 자율성’ 침해가 법으로 저지돼야 하는 현실이 부끄럽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역의 모든 국립대학이 열악한 재정과 우수인력 유출로 고사직전에 있다”며 “교육부가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시 불이익 또는 사업비 몰수 등 행‧재정적 압박을 가하기 때문에 국립대는 울며 겨자 먹기로 교육부장관 지시를 따라 총장직선제를 폐지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이번 판결에 따라 정부와 대학이 국립대교수들의 결정권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자율성의 토대 위에서 ‘국립대 총장’을 교수들 손으로 결정할 것”이라 밝히며 앞으로 이에 따른 행보를 유지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신현준기자

번호 제목 날짜
168 서울대 평의원회 '이사회 일방적 행정운영'에 불만표시, 총사퇴 카드 꺼낼수도 file 2013.12.31
167 올해 서울대 10명중 6명 취업성공 file 2013.12.30
166 전남대, ‘연구실적부진’이유로 조교수2명 재계약심사 탈락시켜 file 2013.12.30
165 성균관대, 학생들대자보 무단철거는 ‘표현의 자유침해’ file 2013.12.27
164 이화여대, ‘비민주적 대학평의원회운영을 규탄한다’ file 2013.12.26
163 대입전형사전공고법안의결… 고1때 대입전형 확인가능해져 file 2013.12.26
162 ‘공유와 협력의 교과서만들기운동’으로 대학생 교재비부담 던다 file 2013.12.24
161 2014년을 준비하는 ‘대학교육아카데미’ file 2013.12.23
160 교육부, ‘안녕’대자보 생활지도요청 논란 file 2013.12.21
159 고려대‘안녕’대자보훼손한 일베회원 불구속 입건 file 2013.12.20
158 “정부와 여당은 청년들이 ‘안녕’하기 위해 반값등록금실현하라” file 2013.12.17
157 연세대로스쿨, 교수연구실 해킹프로그램설치의혹 … 징계위조사착수 file 2013.12.17
156 이화여대비정규직노동자, ‘고용안정보장’요구하며 본관농성 돌입 file 2013.12.12
155 고려대, 학·석사통합과정 신설 file 2013.12.10
154 광운대, 노조-학교 합의 이뤄 업무복귀 file 2013.12.10
153 고려대, 내년부터 성적증명서에 ‘F학점’ ‘재수강’ 표기한다 file 2013.12.09
» 교육부 “총장직선제 부활시 대학 재정지원중단” file 2013.12.07
151 옛탐라대부지, ‘교육용부지’만들라고 헐값에 내놨더니 ’수익용부지’로 매각한다고? file 2013.12.06
150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
149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48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47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46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45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44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43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42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41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40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39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38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37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36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35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34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33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32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31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30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29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28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27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26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25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24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23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22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21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20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19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