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국립대는 필요한 예산 책정받지 못해 경쟁력저하


지난 5일 교과부(교육과학기술부)국정감사과정에서 교과부가 국립대시설확충예산을 기준에 따라 배분한 것이 아니라 특정대학에 예산을 몰아준 것이 드러났다.

 

민주당(민주통합당) 이상민의원이 제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국립대학시설확충사업을 통해 40개 국립대학에 총17158억원이 지원되었고 그 가운데 10개 거점국립대학에 지원한 예산이 8599억원이며 그중 서울대지원액이 1797억으로 거점국립대학지원액의 20.9% 차지했다. 이 액수는 40개 전체국립대학 지원총액의 10.5%에 달하는 예산이다.

 

국립대학시설확충예산이란 국립대학의 교육시설, 인프라확충 및 시설·설비개선을 통하여 교수, 학습 및 연구를 활성화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매년 정부가 국립대학에 지원하는 예산을 말한다.

 

크게 시설확충비와 유지보수비로 나눠 각각 객관적 기준에 따라 대학별로 총액이 배분된다. 배분된 지원금은 각대학이 배분액범위내에서 자율편성하는 이른바 ‘포뮬러-블럭 펀딩방식’으로 예산이 편성되고 있다.

 

포뮬러-블럭 펀딩(fomula block funding)이란 학생수, 시설부족도, 시설노후도 등의 객관적·정량적 지표를 사전에 구성된 공식에 따라 재정을 지원해 예산편성의 객관성과 형평성을 높이고 대학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이다.

 

매년 교과부가 학생수, 시설부족도, 시설노후도 등을 반영한 포뮬퍼방식에 따라 예산을 편성해 기재부(기획재정부)로 넘기고 기재부에서 해당대학에 예산을 추가배분을 하는 방식으로 예산이 배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지키지 않고 서울대에 집중배분한 것이다.

 

지난 2011년도 예결위전문위원 검토보고서에 의해서도 서울대의 경우 학생수, 시설부족도, 시설노후도 등을 반영한 포뮬러에 따른 편성에서는 전체 국립대학중 차지하는 배분비율이 4.3%인데도 최종 배분에서는 배분비율이 총예산액의 12.9%를 차지하는 편향적 결과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상민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예산편성의 객관성과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포뮬러에 따른 예산편성방식을 도입해 놓고도, 실제로는 예산액의 절반이 넘는 금액을 이에 따르지 않고 명확한 기준 없이 편성·배분하는 것은 정량적 지표에 따른 객관적 예산배분이라는 편성취지를 희석시키고 대학의 자율성과 형평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또 ‘열악한 시설과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의 국립대는 매년 되풀이되는 편중된 예산편성으로 인해 다른 대학들과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문제제기했다.


 이민경기자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