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과위(교육과학기술위원회)소속 정진후의원은 11일 “등록금심의위원회는 등록금책정과정에 대학구성원의 참여를 보장하여 과도한 등록금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마련된 중요한 기구”라며 “본래 취지에 부합될 수 있도록 그 구성과 운영에 있어 학생위원 및 교직원위원의 추천권을 법령에 명시해 이들의 대표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진후의원이 발간한 대학민주화 실태진단 대학구성원 학교운영 참여를 중심으로라는 정책자료집에 따르면 등록금심의위원회위원의 교직원 비율이 43.4%로 등록금에 가장 큰 이해관계를 가진 학부모와 학생을 합한 비율인 38.4%보다 높게 나타났다.


등록금심의위원회의 학생위원선출방식에서 학생회대표자 참여를 명시한 대학은 13.2%(23개교), 학생회에 추천권을 부여한 대학은 23.0%(40개교)에 불과하고, 교수회·교수협의회 등 교원단체와 직장협의회·직원노조 등 직장단체에서 위원을 추천하도록 규정에 명시한 대학은 5.2%(9개교)에 불과했다.


또 덕성여대, 서강대성신여대, 포항공대 등 15개 대학은 등록금심의위원회에 학교법인이 추천하는 재단인사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에 정의원은 “이러한 선출방식은 학생위원의 독자성과 대표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오게 하고, 교직원위원 대부분이 대학측 입장을 대변하는 인사들로 선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학교법인들이 예결산에 대한 심의의결권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구성원들이 등록금책정을 심의하는 기구에 재산이사들이 또다시 참여하는 것은 등록금심의위원회의 역할에 의문을 갖게 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회의개최 횟수가 연간 1~2회에 불과한 대학인 60.9%(109개교)에 달했으며, 등록금심의위원회 회의소집권이 위원장 또는 총장의 요구시에만 회의를 소집하는 대학이 42.7%(73개교)에 이르러 등록금심의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민형준기자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