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민주통합당) 이용섭의원은 (가칭)지방대학육성특별법제정안을 제출하고 민주당이 제출한 반값등록금관련법안들과 함께 통과되도록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발표했다.


교과위(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인 이의원은 국립대학 국정감사를 앞두고 학벌주의만연과 교육연구취업격차로 인해 학생들이 지방대학진학을 기피함에 따라 지역균형발전이 저해되고 있어 지방대학육성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면서 지방대학육성을 위한 4대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국립대공동학위제실시 지방국립대의 반값등록금 우선실시 공무원지역인재 채용목표제 및 공공기관과 대기업의 지방대학출신 채용의무할당제실시 지방국립대 교원확보율의 획기적 제고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이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대졸취업률을 보면 서울소재대학취업률은 57.1%, 지방대학취업률은 53.7%이며 일자리 질도 전자가 훨씬 우수하다""명문대학이 수도권소수대학에 한정돼 대한진학의 병목현상이 심각하고 지역과 서울소재대학과의 교육, 연구의 질적수준격차는 지역대졸업생에게 낙인효과를 발생시켜 지역대학졸업생의 취업난심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도권중심의 소수 명문대학체제에서 전국에 다수의 지방명문대학을 육성해 왜곡된 대학입시경쟁을 완화하고 지역균형발전 도모하기위해 국립대공동학위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립대공동학위제란 서울대와 9개의 지역거점국립대학(부산대, 경북대, 전남대, 충남대, 강원대, 충북대, 전북대, 경상대, 제주대)이 연합체제를 구축해 강의완전개방, 학점완전교류, 교수교류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며 졸업시에는 10개대학공동명의의 학위를 수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또 그는 "우리의 1인당국민소득은 세계에서 32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재정지원이 적어 국민들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등록금 부담하고 있다’며 ‘GDP0.6%인 정부부담을 OECD평균인 GDP1%로 끌어올려 우리 수준에 맞도록 등록금을 적정화해 2013년부터 국립대학의 등록금을 200만원대 수준으로 대폭인하하자"고 발표했다.

 

2012년 현재 4년제대학 연평균 등록금은 국공립대가 411만원, 사립대가 738만이다.

 

이어 이용섭의원은 "300인이상 대기업에게 청년고용 3%이상을 의무화하고, 이중 1%를 지방대출신 채용을 의무화하고 공무원 및 공공기관에 지방인제 채용제를 제도화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하자"고 제시했다.


덧붙여 “지방국립대 교원확보율 상향조정을 통해 우수교원확보를 통한 지역수요에 맞는 교육·연구, 산학협력 등을 통해 지방대경쟁력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민경기자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