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투자 사립대 등록금인상률, 전국평균보다 높아 

 

교과위소속 민주당(민주통합당) 유은혜의원이 전국사립대학 및 전문대학의 종편투자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20122월말 현재, 전국 13개대학에서 총129억원을 종편(종합편성채널)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V조선에 투자한 수원대가 50억원으로 투자액이 가장 많았으며, 고려대 25억원, 우송대 11억원, 영산대와 동서대가 각각 10억원을 투자한 상태이며 세종대 7억원, 한양대 6억원, 이화여대 4억원, 단국대 3억원, 성신여대와 한국외대가 1억원씩, 극동대 5000만원순으로 나타났다. 전문대중에는 유일하게 영진전문대가 5000만원을 투자한 것으로 밝혀졌다.

 

9개대학은 총102억원에 이르는 투자금을 법인회계에서 마련했으며 3개대학이 산학협력단회계에서 15, 나머지 4개대학이 교비회계에서 13억원을 투자했다.

 

원래 법인회계는 대학지원이 1차적 목적이고, 산학협력단회계는 산학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 실습과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며, 교비회계는 학생들의 교육활동에 직접 지출되는 비용이다.

 

특히 법인회계에서 종편에 투자한 9개대학중 교직원 법정부담금을 전액 부담한 곳은 1곳뿐인 것으로 드러나 학교법인이 예산이 있어도 법적으로 부여된 최소한의 역할도 하지 않은 채 엉뚱한 곳에 예산을 투자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학교법인은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과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대학교수 및 직원의 연금 및 의료보험 법정부담금을 대학에 지급해야 함에도 자료분석결과 종편에 투자한 9개대학중 영산대만 전액부담했을 뿐 나머지 대학은 모두 법정부담금부족분을 교비회계에서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성신여대는 법정부담전입금을 0.4%만 부담했고, 극동대와 단국대 역시 10%도 부담하지 않았으며 고려대, 동서대, 세종대, 수원대 등도 부담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종편에 투자한 13개대학의 2010년 대비 2011년 등록금인상률을 분석한 결과 8개대학이 전국평균 등록금인상률인 2.1%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이중 세종대는 4.3%로 전국 평균인상률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단국대도 4.0%로 사실상 2배수준의 인상률을 보였다.


한편 학교법인이나 대학당국이 주식을 취득할 경우 결산공개시 반드시 부속명세서에 이 사실을 명시해야 함에도, 고려대와 한양대는 대학산학협력단회계에서 종편에 투자해 놓고도 대학홈페이지를 통한 산학협력단결산서의 부속명세서에선 이를 공개하지 않아 대학당국이 종편에 투자한 사실을 대한 구성원이 알 수 없도록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유의원은 법정부담금도 내지 못할 정도로 재정이 어렵다는 대학들이 왜 당장 수익이 나지 않는 종편에 앞다퉈 투자한 것인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특정언론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보이듯이 학생들의 어려운 사정을 헤아리는 것이 교육기관의 본분일 것이라 지적했다.


이민경기자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