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의대와 삼성서울병원 등 사립대학 7곳과 대형병원 14곳의 의사 1818명이 수십년간 불법으로 국가지원을 받아온 사실이 드러났다.

 

20078월 교과부(교육과학기술부)는 회계감사를 통해 대전 을지대가 협력병원인 을지병원 의사들에게 ‘교수’(교원)라는 지위를 마음대로 부여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부속병원이 아닌 협력병원에는 교원을 파견하는 것이 불법이지만 을지대는 교원 100여명을 임용해 을지병원에 파견했고 이들의 기본급·연구비 등 보수의 50%를 대학이 냈다.

 

20043월부터 20078월까지 이들의 보수로 1525000만원이 지급됐고, 이 돈은 학생이 낸 등록금과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됐다.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을 보면, 국가는 사립대학교원에게 사학연금과 퇴직수당, 국민건강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도록 돼 있다.

 

을지대교원이라는 이유로 을지병원의사들에게 국가가 지급한 금액은 3년간 46000만원에 이른다.

 

201112월 감사원의 조사결과 이런 불법행위는 을지대뿐만 아니라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울산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가천의대 길병원, CHA의과대 강남차병원, 관동대 의대 제일병원, 한림대 의대 강동성심병원 등에서도 행해졌다.

 

이렇게 불법적으로 교원지위를 누린 의사는 1818명에 이르렀고, 이들에게 20116월말까지 사학연금 1969800만원, 퇴직수당 3036200만원, 국민건강보험료 107200만원 등 6076200만원의 국민의 세금이 국가보조금으로 지급됐다.

 

교과부감사를 받은 을지대가 행정소송을 냈지만 서울행정법원은 200811, 고등법원과 대법원도 200910월과 201110월 교과부의 손을 들어줬다.

 

허나 교과부는 20108월 사립의대교원이 협력병원에서 겸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사립학교법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이로써 사립대와 대학병원의 불법행위가 합법화됐다.

 

협력병원을 부속병원으로 전환하거나 사립대가 협력병원의사들을 전임교원이 아니라 겸임교원으로 채용하는 방법으로도 불법행위를 바로잡을 수 있었지만 교과부가 사립대와 대학병원에 유리한 개정안을 낸 것이다.

 

사립대와 대형병원은 한발 더 나아가 교과부의 최소한의 요구인 과거 국가가 부담한 사학연금, 퇴직수당, 건강보험료를 돌려달라는 것조차 거부했다.

 

7개사립대가 부담할 금액은 607억원정도로 추정된다.

 

종전의 편법에 대해선 책임을 묻겠다는 교과부의 태도는 강경하지만 과연 이대로 사립대와 대학병원에게서 국민의 세금 607억원을 받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윤정민기자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