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유럽과 마찬가지로 프랑스대학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대학교육’을 목표로 한 유럽차원의 대학교육구조개혁의 일환인 ‘볼로냐 프로세스1)가 진행되고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한 등록금인상, 학과·학위·교수직의 감축, 교육의 질 하락, 생활의 불안정성(특히 주거문제) 등의 결과는 학생들과 대학의 개인들이 감내하고 있다.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전형적인 이윤의 논리속에서 교육에 대한 기업의 지배를 강화하고 대학교육의 사영화를 추진하려는 속셈을 알 수 있다.


이에 대다수의 주요대학에서 교육의 질 하락에 반대·투쟁하는 학생조직들이 존재한다. 공동경영학생노조(UNEF, 프랑스학생전국연합), 투쟁노조(FSE, 학생노조연맹), 다양한 진보정치조직(UEC, 공산주의학생연합) 등의 이 조직들은 때로는 협상(일반적으로 소득이 없는), 학생동원, 파업 등의 다양한 투쟁수단으로 대학교육파괴반대투쟁에 앞장서고 있다.


프랑스대학교육에서 등록금은 매우 독특한 경우다. 정부에 의해 책정된 연간 등록금은 학사과정(리성스) 181유로(25만원), 석사과정(마스터) 250유로(35만원), 박사과정(독토하) 380유로(53만원)로 프랑스인과 외국인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전피해군경유자녀들을 비롯한 프랑스 정부장학생들은 이 금액에서 할인 또는 면제받을 수 있는 장학금제도도 있다. 그렇지만 위에 언급한 두 경우를 제외한 모든 학생들은 사립학생공제조합에서 운영하는 연207유로의 의료보험(쎄큐리떼 쏘씨알)에 가입해야 한다.


두번째 문제는 석사과정등록금으로 그르노블 2대학에서 1200유로, 엑스 막세이 3대학에서 3500유로를 받는 것에서 볼 수 있듯 몇몇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학위에 대한 불법등록금인상이다. 이러한 등록금인상은 어떤 법에 의해서도 허용되지 않는 불법행위이다. 이것은 2007년의 LRU법안(대학자유와책임에관한법)등 기업가들에게 대학에 대한 지배를 허용한 결과다.


2007년 공포된 이 LRU법은 최근 학생들의 거대한 결집의 이유였다. 이 법은 볼로냐 프로세스의 완전한 연장전상에서 프랑스대학교육의 사영화를 가속화시켰다. 대학의 경제적 자율화는 예산의 25%에서 100%로 증가했고 이사회는 마치 기업주들처럼 대학사회에 대한 외부의 개입을 눈감았다. 교수·학생대표 등 조합대표들이의 자리를 축소시키는 등 대학지도부의 민주주의가 후퇴했으며 교직원 실질숫자도 줄어들었다. 이 법의 목적은 대학이 기업뿐만 아니라 상하이(Shanghai)등급을 통해 해외자본에게도 더 매력적인 존재가 되는것이다. 이 법은 대학교육의 사영화를 향한 새로운 한 발이었다.


학생들은 교수들과 함께 이 법을 반대하기 위해 파업과 농성등을 진행하며 결집했다. FSE, Sud 등의 학생노조와 UEC등의 좌파정치조직은 대학자율화 반대를 위한 학생연합을 창립했다. 그러나 이 결집은 결국 경찰과 미디어의 강한 탄압과 실패가 뻔히 보이는 정부와의 협상을 위한 농성철회를 결정한 총회(이를 통해 학생들이 대부분의 투쟁공동강령을 결정한다) 이후 ‘협력의 노조’로 인해 실패했다.


그리고 현재 대학교육을 위협하는 새로운 위험은 대학을 차별화하고 엘리트주의를 강화하는 프로세스인 IDEX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등록금인상, 교직원감축과 학과축소 등을 동반할 것이다.


마놀리(Paris7대학 Diderot)


1) 볼로냐 프로세스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4개 유럽연합 소속 국가들이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모여 2010년까지 단일한 고등교육제도를 설립, 유럽 대학들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자 1999년에 출범한 프로그램

번호 제목 날짜
74 대학서열‧등록금 없는 핀란드, 외국인 유학생 요금부과 논의 file 2013.11.07
73 유학생, 미국대학 역사왜곡강의 바로잡았다! file 2013.10.25
72 파리에서 '코리아의 평화' 제2회 코리아국제컨퍼런스 열려 2013.04.23
71 [국제] 프랑스법원, '대형마트 저녁9시이후 야간노동은 안돼' file 2013.04.06
70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⑥ “미국의 적대행위가 북코리아의 자위력 필요하게 만들어” file 2013.04.04
69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① '미군, 코리아에서 당장 떠나야' 2013.04.01
68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② '제국주의는 언제나 민중들 위협 … 코리아는 혼자가 아니다' 2013.04.01
67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③ '코리아반도 전쟁위험책임 미국에게 있다' 2013.04.01
66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④ “외세개입없는 남북회담 위한 대표단파견 요구해야” 2013.04.01
65 [세계사회포럼 평화메시지] ⑤ '미국이 코리아문제에 간섭하지 않길 원한다' 2013.04.01
64 튀니스 세계사회포럼 30일 폐막 ... '존엄’ 주제로 127개국 6만여명 참가 2013.04.01
63 칠레학생들이 나섰다! 올해 첫 교육개혁 학생시위 일어나 file 2013.03.10
62 [베를린영화제] 1%가 살 수 없는 99%의 마음 - <약속된 땅(Promised Land)> 2013.02.10
61 [베를린영화제] 개막식 레드카펫에 왕가위감독, 팀 로빈슨 등 등장 2013.02.09
60 튀니지 야당지도자 피살 … 총리 '조기총선 실시할 것' 2013.02.09
59 [베를린영화제] 7일 개막 ... 남코리아영화 9편 초청돼 file 2013.02.06
58 독일 '대학등록금도 70만원도 비싸' … 등록금 폐지청원 file 2013.02.06
57 “퀘벡시위, 등록금인상철회 넘어 무상교육으로” file 2013.02.05
56 시리아 “이스라엘이 영공 침범해 공습 ... 주권침해” 2013.01.31
55 등록금인상으로 영국내 대학 재학생수 5.5% 감소 2013.01.20
54 독일에서 등록금폐지청원 “등록금은 부당하고 비사회적” file 2013.01.18
53 베네수엘라 차베스4기정부 출범 ... 수만명 모여 축하 2013.01.12
52 구글 회장, 평양과기대·김일성종합대 등 방문 file 2013.01.09
51 프랑스대통령 “2013년 제1목표는 실업해소” file 2013.01.02
50 아베, 군사대국화 추진 ... '집단적 자위권 확보' 강조 2012.12.28
49 “해외여행 안전하게 하자” file 2012.12.28
48 중, 노동계약법에 ‘동일노동동일임금’ 명문화 2012.12.26
47 이탈리아, 내년 2월 조기총선 2012.12.23
46 자민당의 연립정당 공명당, 개헌에 반대입장 2012.12.20
» [기고] 대학교육의 사영화에 저항하는 프랑스학생들 file 2012.12.19
44 일본 총선서 자민당 압승 '3년3개월만에 재집권' 2012.12.17
43 '자동차를 타고 유럽 곳곳을 누빈다' file 2012.12.03
42 국민들의 힘으로 등록금이 폐지된 독일 file 2012.11.30
41 유럽전역에서 긴축반대시위 수백만명 참가 2012.11.17
40 서울민주아카이브, 2월 베를린영화제 참가단모집 file 2012.11.14
39 유로존 청년실업률 23.3%, 그리스 55.6% file 2012.11.10
38 비싼 등록금 때문에 독일로 유학가는 영국학생들 file 2012.11.09
37 싸이, 옥스포드유니온 강연 file 2012.11.08
36 프랑스대학 연간등록금은 '25만원' file 2012.11.07
35 중국소설가 모옌 노벨문학상 수상, ‘개구리’ 매진열풍 2012.10.14
34 미국 월마트 매점노동자들의 역사상 첫파업 2012.10.11
33 차베스, 득표율 54% 베네수엘라 대선 4선 성공 file 2012.10.08
32 북, 12년제 의무교육 의결 file 2012.09.29
31 ‘청춘,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라’ file 2012.09.22
30 "맑스가 뭐에요?" 2012.09.21
29 미국 시카고서 교사 3만명 파업 file 2012.09.13
28 주인을 먹어버린 돼지들 file 2012.09.11
27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가족을 지켜내야 한다? file 2012.09.10
26 “마이클 잭슨이 되고 싶었다” file 2012.09.08
25 심장은 무엇으로 약동하는가? file 201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