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서울대연구팀과 함께 나노복합소재를 이용해 기존보다 민감도가 최대20배 높은 초고감도 투명압력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압력센서는 감도가 떨어진다는 단점과 감도가 떨어지면 미세한 압력변화를 감지하기 힘들고 압력신호데이터를 추가 처리해야만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새로운 센서물질로 나노소재를 이용해 감도를 높이면서 압력분포를 바로 볼 수 있게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센서의 초고감도성능을 활용하면 물체의 하중과 물체 표면이 어떤 모습인지도 구별할 수 있다.


연구진은 나뭇잎의 잎맥형상, 손가락의 지문모양과 지문 깊이 등 아주 작고 세밀한 패턴이 있는 물체의 표면들을 실시간 3D이미지로 표시하는 데 성공했다.


이정익실감소자원천연구본부장은 <초박형압력센서는 생체인증, 웨어러블기기, 로봇팔, 터치형디스플레이, 의족·의수, 전자제품 등 압력센서가 활용된 분야에 폭넓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1월3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이승민기자

번호 제목 날짜
493 달라진 졸업장 ... 블록체인기반 토큰으로 발급 file 2022.02.20
49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축성있는 리튬배터리 개발 file 2022.02.20
491 국내연구진, 퇴행성관절염치료 실마리 발견 file 2022.02.18
490 스페이스엑스, 최초의 민간인우주유영 도전 file 2022.02.17
489 천문학자들 우주 빛공해 퇴치 나서 file 2022.02.16
488 경북도립대학교, 메타버스 활용한 가상공간졸업식 file 2022.02.12
487 국제연구진, 원자내부구조 촬영한 실제이미지 공개 file 2022.02.11
486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 최종목적지에 안착 file 2022.02.06
485 중국대학과학자들 <수천번 접어도 괜찮은 나무복합재료 개발> file 2022.01.30
484 6개행성 나란히 일렬로 ... <맨눈으로 관측 가능> file 2022.01.17
483 단백질구조해독 AI개발,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혁신연구 선정 file 2021.12.20
482 상계백병원,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가상병원 개원 file 2021.12.01
481 소행성 충돌 우주선 <다트> 첫 발사 file 2021.11.29
480 한국표준과학기술원, 뇌신경질환 조기진단·치료 기술 개발 file 2021.11.24
479 대전지역 <CCTV영상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인공지능시스템 도입> file 2021.11.21
478 <스타십> 내년 1월 시험발사 ... <태양계 일반교통수단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 file 2021.11.20
477 미국 가상화폐ATM 3만대 육박 .. <월마트 매장에도 설치> file 2021.11.16
476 <신경재생물질>로 척수마비 쥐 걷게해 ... <체내에 안남아 부작용도 없어> 2021.11.15
475 누리호 발사 ... 주요발사단계 이행했지만 궤도안착 실패 file 2021.10.21
474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file 2021.10.18
47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농업폐기물로 연료 만든다> file 2021.10.16
472 러시아, 영화 <도전> 촬영 위해 우주선 발사 file 2021.10.13
471 KIST <실시간 물리량 높은 정밀도로 측정> 양자 센서 구현 file 2021.09.24
470 민간인 탑승한 우주선 발사 … 본격 우주관광시대 연다 file 2021.09.16
469 AI로 유해 영상물 걸러내는 기술 개발 file 2021.09.12
468 스페이스X, 360도 보이는 우주선 유리 돔 공개 file 2021.09.06
467 천연식물성단백질로 이뤄진 섬유 개발 file 2021.07.02
466 세계 최초 배양육 공장 문열다 file 2021.06.30
465 미우주관광기업 ... <성층권 풍선여행 시험비행 성공> file 2021.06.25
464 펜실베니아의료진 ... <사람 코를 모방한 전자코> 유기화합물 식별 성공 file 2021.06.14
463 한국과학기술원연구팀 ... <미생물 이용한 천연색소생산 성공> file 2021.06.10
462 국내 연구진, 인공신경섬유소자 개발 file 2021.06.06
461 정부 <K-캔서> 사업 추진 ... 의료데이터 플랫폼 구축 file 2021.06.06
460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새로운 로봇핸드 개발> file 2021.06.04
459 인공지능으로 제작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file 2021.06.04
458 새로운 3D 프린팅기술 개발 ... <와이어 아크 3D 적층 제조방식> 2021.04.18
457 국제공동연구프로젝트 <아틀라스> 위한 국내 컨소시엄 협약식 진행 2021.04.12
456 새로운버전의 보안기술 개발 2021.04.12
455 달 궤도선 2022년 8월 발사예정 2021.04.04
454 액상 촉매 합성법 개발 2021.03.30
453 서울대연구팀 ... <초흡수 현상 증명> 2021.03.17
452 새로운개념의 약물전달시스템 2021.03.13
451 무증상 감염자 찾아내는 하수 처리 로봇 시스템 개발 2021.03.08
450 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 시료 손상 없는 미세유체 칩 기술 개발 2021.03.06
449 싱킹허츠 ... <3D프린팅 학교 추진> 2021.03.05
448 부산시, 무장애 교통서비스 환경 구축 2021.03.04
447 울산과학기술연구원, 배터리전극보호기술 개발 2021.03.03
446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병 2021.02.28
445 스마트주차로봇 실증 시작 2021.02.27
444 <인공전자피부 개발 성공>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