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세계노총(WFTU)활동가이자 프랑스노총(CGT)전실업노조위원장 샤흘 와호는 조선대학교 민주조선교지편집실을 찾아 광주지역대학생들과 정세간담회를 진행했다.
샤흘은 대학생들과 인사하며 <인류역사상 아주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남코리아를 방문한 역사적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먼저 샤흘은 프랑스의 복지현실에 대해 <세계자본주의세력이 코로나팬데믹을 이용하고 있는 시기를 살고 있는데, 유럽에서는 특히 두드러진다>, <프랑스정부는 공공의료시설을 확대해야 하지만 오히려 사립병원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고 병상수가 줄어드는 결과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 6개의 강대국중 하나인데 병상수는 터무니없이 적다.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정부의 정책이고 선택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또 <프랑스는 2년전 마스크생산업을 중단했다. 코로나가 발생하니 어쩔수 없이 마스크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마스크를 안쓰면 벌금 130유로 내게 했다. 너무 말이 안돼서 의구심을 가진 세력은 마스크를 쓰지 않고 저항했다.>며 <나는 지금 마스크를 써야하면 쓰는건 부담이 없지만 보건위기를 이용해서 권리를 탄압하는 정부의 말을 따르는건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아울러 <프랑스정부는 의회에서 대기업을 지원하는 대기업지원법을 통과시켰다. 국가가 유럽중앙은행에서 돈을 빌려 프랑스민중이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상황이다. 유럽의회에도 마찬가지로 대기업지원법을 통과시켰고 그 결과로 프랑스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은 60세동안 빚을 갚고 살아야 한다.>, <백신이 나왔을때 백신패스를 강요했다. 코로나이후로 프랑스대기업들은 부유해졌다. 노조에서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OECD에서 발표한 결과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전이 시작됐고 물가인상과 임금문제에 대한 모든 상황을 전쟁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 <현재 우리는 여러가지 식량위기를 겪고 있음. 머스타드소스, 밀가루, 쌀도 없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가 정말 중요한 곳간이었구나라고 착각할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걸 알게됐다.>며 <어떤 시기에 쌓아놨던 재고를 싸게 팔거나 또는 독점했던 제품들을 위기가 끝나고 비싸게 파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자본주의가 그 이윤을 유지하고 체계를 유지하려면 전쟁을 찾을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남코리아에 대해 <미국의 입장에서는 코리아가 지정학적으로 경제적으로 지리적으로 정치적으로 중요한 곳>이라며 <미국은 전쟁을 통해서 패권을 유지하려고 하고 본토가 아닌 국외에서 벌어져야 하는데 그게 코리아다>라고 말했다.
또 <코리아는 한번도 다른 나라를 침략하지 않은 나라고 오히려 침략과 지배를 겪었다. 지금은 미국의 영향을 받고 있다. 반면에 프랑스는 노예를 수입해왔고 식민지를 만들었다. 그게 바로 제국주의다.>라며 <아프리카에 3만명 주둔뿐 아니라 아프리카 15개화폐와 금을 관리하는게 프랑스다. 아프리카대통령중 자국의 독립화폐를 만들려 했던 사람들은 프랑스가 보낸 사람들에 의해 암살당했다.>, <이렇게 야만적인 제국주의의 얼굴을 보며 우리가 느끼는건 제국주의에 반대편에 서있는 민중이 반제의 기치아래 서야 한다는 점이다>라고 짚었다.
아울러 <무기에 돈이 간다는건 의료, 교육 등 민중복지에는 쓰이지 못하는걸 의미한다. 전쟁정세속에서는 사회발전을 얘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전에 대해서는 <프랑스에는 우크라이나전을 지원하는 상황에 대해 폭로하는 기사가 없다. 우크라이나군인의 일부를 프랑스군인이 교육시켰고 참전시켰다는걸 보도하는 언론도 없다.>며 <우크라이나전은 나토와 러시아 사이 벌어지는 전쟁이다. 이런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공동의 반제투쟁이다.>라고 역설했다.
질의응답시간이 이어졌다. 샤흘은 학생들속에서 등록금인상반대, 학교내 처우개선투쟁을 벌이는 것이 본질적으로는 평화와 반전투쟁과 연결돼 있다며 <무상교육은 걱정없이 공부할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그게 아닌 상황에서 교육은 기본권이 아닌 특권으로 전락한다.>고 말했다.
한 대학생은 <프랑스 사회노동운동에서 대학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물었고, 샤흘은 <어떻게 하면 노동자와 학생이 함께 연대할수 있을까 고민해왔다. 프랑스대학사회의 문제를 잘 알고 있는건 학생들이다.>, <언제나 요구에서 출발한다. 학생들의 권리를 위해 더 많은 예산을 마련하라는 것이 국방예산지출을 줄이라는 구호로 연결될수 있을때 연대는 가능하다.>고 답했다.
또다른 대학생은 제국주의에 대해 질문하며 러시아에 대해서도 반대해야 하는지 질문했다.
샤흘은 <돈바스학살을 들어봤는가. 우크라이나파쇼세력은 메이데이때 노동자건물에 불을 질러서 노동자들이 불타죽게 만들었다. 민스크협정에 따라 우크라이나를 연방국가로 봐야했지만 그렇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전쟁은 어떤상황에서도 해결책이 돼서는 안된다. 한편 전세계 인류역사에서 민족해방역사를 벌인 전쟁이 있었다. 다른 방법이 없는 최후의 선택이 대부분이다.>, <간디의 비폭력운동이 모든 제국주의에 통하지 않았다. 프랑스가 나치의 지배를 받았을 당시 무장투쟁으로 해방시켰다. 지금 현시기에 반제의 기치는 민족자결권을 보호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계속해서 <러시아정부형태가 우리의 모델이 될수는 없다. 그러나 지금 상황에서 러시아만 탓하는건 단순한 것이다.>라며 <러시아의성격을 제국주의로 규정하는건 다른문제다>, <중국, 러시아의 경우 정부에 요청하지 않았는데 미국이나 유럽처럼 침략군으로 들어간 경우는 없었다. 러시아는 군사적으로 제국주의가 아니다. 푸틴의 민족주의는 다른 문제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전에서 나토가 이긴다면 더 복잡해진다. 300년동안의 지배가 이어질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제3세계국가들이 푸틴을 지지한다. 이걸 이해하겠는가.>라고 되물었다.
대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워간다>, <전쟁에 대해 새롭게 알게된 점이 있다>고 말하며 큰 박수와 함께 국제적 연대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