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역량까지 길러주는 고등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지 오래지만, 이를 실제 교육과정으로 옮기기 위한 대학체계는 열악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성평가방안>이라는 제목의 브리프(Brief)보고서를 발표했다. 

김은영KEDI선임연구위원은 <대학진학률이 70%가 넘는 고등교육보편화시대에 대학을 졸업해도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이 원활해지지않자 대학교육의 실효성에대한 논의가 시작됐다>며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서 아는 바를 실제로 할수 있도록 하는 힘인 <역량>을 키우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고 밝혔다.

대학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2008년부터 6년간 이어온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2010년부터 시행된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등을 통해 대학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KEDI설문에 참여한 70개대학의 관계자중 94% 또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강조하는 고등교육정책방향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69개(98.6%)대학에서 관련 전담부서를 확보하고 있었다.

하지만 내부를 더 자세히 들여다 본 결과 실상은 달랐다. 

거의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위한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었지만 부서내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평균 3.7명, 박사급이상 기획업무인력은 평균 2.1명에 불과했다.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1~2명인 대학이 22개(34.9%)로 가장 많았고, 박사급기획업무인력도 1~2명을 둔 대학이 27개(42.2%)로 가장 많았다. 역량자체에 대한 이해나 학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연수체계도 부족했다.

설문결과 역량모델링 등 핵심역량 혹은 전공능력자체에 대한 이해와 활용 관련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은 50%를 밑돌았으며, 다양한 학생역량 평가방법에 대한 연수는 30% 내외로 더욱 낮은 응답율을 보였다.

조사참여 대학의 91%가 학생들의 핵심역량향상도를 분석한다고 응답했으나, 정작 향상도분석의 근거가 되는 진단방식으로는 <자기보고식설문조사>를 활용하는 경우가 80%였다. 또 직접 평가방법인 시험이나 수행형과제가 활용되는 경우는 40%로 낮았다.

김선임연구위원은 <학생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할수 있는 평가도구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으나, 국가수준에서 대규모 대학생역량 평가도구로 개발돼 보급된 K-CESA를 활용하는 대학이 13~14%로 낮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교육개선 및 환류가 가능한 분석을 기획하고 대학의 구성원이 활용할수 있도록 역량을 갖춘 교직원의 역량부족이 그 원인일수 있다>고 지적했다.

photo_2023-10-01 02.59.57.jpeg
번호 제목 날짜
1969 제주지역 대학생 “투표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창구” 2012.12.12
1968 “청년아르바이트생의 투표권을 보장하라” 2012.12.12
1967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
1966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96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964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963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962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961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96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959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958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957 [좌담회] 2013년 총학생회선거를 돌아보며 2012.12.19
1956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955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954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953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952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951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950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949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948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947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946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945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944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943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942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941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940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939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938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937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936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935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934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933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932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931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930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929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928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927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926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925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924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923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922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921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920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