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역량까지 길러주는 고등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지 오래지만, 이를 실제 교육과정으로 옮기기 위한 대학체계는 열악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성평가방안>이라는 제목의 브리프(Brief)보고서를 발표했다.
김은영KEDI선임연구위원은 <대학진학률이 70%가 넘는 고등교육보편화시대에 대학을 졸업해도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이 원활해지지않자 대학교육의 실효성에대한 논의가 시작됐다>며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서 아는 바를 실제로 할수 있도록 하는 힘인 <역량>을 키우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고 밝혔다.
대학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2008년부터 6년간 이어온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2010년부터 시행된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등을 통해 대학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KEDI설문에 참여한 70개대학의 관계자중 94% 또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강조하는 고등교육정책방향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69개(98.6%)대학에서 관련 전담부서를 확보하고 있었다.
하지만 내부를 더 자세히 들여다 본 결과 실상은 달랐다.
거의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위한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었지만 부서내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평균 3.7명, 박사급이상 기획업무인력은 평균 2.1명에 불과했다.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1~2명인 대학이 22개(34.9%)로 가장 많았고, 박사급기획업무인력도 1~2명을 둔 대학이 27개(42.2%)로 가장 많았다. 역량자체에 대한 이해나 학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연수체계도 부족했다.
설문결과 역량모델링 등 핵심역량 혹은 전공능력자체에 대한 이해와 활용 관련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은 50%를 밑돌았으며, 다양한 학생역량 평가방법에 대한 연수는 30% 내외로 더욱 낮은 응답율을 보였다.
조사참여 대학의 91%가 학생들의 핵심역량향상도를 분석한다고 응답했으나, 정작 향상도분석의 근거가 되는 진단방식으로는 <자기보고식설문조사>를 활용하는 경우가 80%였다. 또 직접 평가방법인 시험이나 수행형과제가 활용되는 경우는 40%로 낮았다.
김선임연구위원은 <학생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할수 있는 평가도구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으나, 국가수준에서 대규모 대학생역량 평가도구로 개발돼 보급된 K-CESA를 활용하는 대학이 13~14%로 낮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교육개선 및 환류가 가능한 분석을 기획하고 대학의 구성원이 활용할수 있도록 역량을 갖춘 교직원의 역량부족이 그 원인일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