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전공지식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역량까지 길러주는 고등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지 오래지만, 이를 실제 교육과정으로 옮기기 위한 대학체계는 열악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성평가방안>이라는 제목의 브리프(Brief)보고서를 발표했다. 

김은영KEDI선임연구위원은 <대학진학률이 70%가 넘는 고등교육보편화시대에 대학을 졸업해도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이 원활해지지않자 대학교육의 실효성에대한 논의가 시작됐다>며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서 아는 바를 실제로 할수 있도록 하는 힘인 <역량>을 키우는 것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고 밝혔다.

대학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2008년부터 6년간 이어온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 2010년부터 시행된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 등을 통해 대학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KEDI설문에 참여한 70개대학의 관계자중 94% 또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강조하는 고등교육정책방향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69개(98.6%)대학에서 관련 전담부서를 확보하고 있었다.

하지만 내부를 더 자세히 들여다 본 결과 실상은 달랐다. 

거의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교육과정을 위한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었지만 부서내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평균 3.7명, 박사급이상 기획업무인력은 평균 2.1명에 불과했다. 석사급이하 행정업무인력은 1~2명인 대학이 22개(34.9%)로 가장 많았고, 박사급기획업무인력도 1~2명을 둔 대학이 27개(42.2%)로 가장 많았다. 역량자체에 대한 이해나 학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연수체계도 부족했다.

설문결과 역량모델링 등 핵심역량 혹은 전공능력자체에 대한 이해와 활용 관련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은 50%를 밑돌았으며, 다양한 학생역량 평가방법에 대한 연수는 30% 내외로 더욱 낮은 응답율을 보였다.

조사참여 대학의 91%가 학생들의 핵심역량향상도를 분석한다고 응답했으나, 정작 향상도분석의 근거가 되는 진단방식으로는 <자기보고식설문조사>를 활용하는 경우가 80%였다. 또 직접 평가방법인 시험이나 수행형과제가 활용되는 경우는 40%로 낮았다.

김선임연구위원은 <학생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할수 있는 평가도구를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으나, 국가수준에서 대규모 대학생역량 평가도구로 개발돼 보급된 K-CESA를 활용하는 대학이 13~14%로 낮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교육개선 및 환류가 가능한 분석을 기획하고 대학의 구성원이 활용할수 있도록 역량을 갖춘 교직원의 역량부족이 그 원인일수 있다>고 지적했다.

photo_2023-10-01 02.59.57.jpeg
번호 제목 날짜
169 학폭기록 대학입시때 반드시 반영 file 2023.04.17
168 대학생 90% 물가인상 체감 file 2023.04.22
167 아주대교수들, 윤석열 굴종외교 규탄 ... 시국성명발표 file 2023.04.25
166 성균관대교수들, 윤석열굴욕외교 규탄 시국선언 발표 file 2023.04.25
165 한국외대교수시국선언, <시일야방성대곡> 언급 file 2023.05.03
164 4년제대학 1인당 평균등록금 680만원 ... 17곳 올해 인상 file 2023.05.05
163 대학생들, 재정난문제해결요구 기자회견 file 2023.05.07
162 윤석열정부 글로컬대학사업으로 대학-학생 충돌심화 file 2023.05.26
161 충북대 약대교수 <처리후 희석한 후쿠시마 오염수 마시겠다> 주장 file 2023.06.08
160 동덕여대학생들 건의묵살 ... 끝내 등굣길 참변 file 2023.06.10
159 〈등굣길 참변 책임지고 총장 사퇴하라!〉 동덕여대생 1000여명 추모촛불 들어 file 2023.06.15
158 반복되는 수강신청 실패 ... 이제는 <강의매매>까지 file 2023.08.29
157 교통비 이어 월세인상까지 ... 새학기부터 대학생 시름 file 2023.08.29
156 <청년백수> 126만명 돌파, 하반기채용문 더 비좁을 전망 file 2023.08.29
155 갈수록 증가하는 교수들의 뇌물수수 혐의 file 2023.08.29
154 서울대 77회 학위수여식 ... 최재천교수, 공정과 양심 당부 file 2023.08.30
153 아무 제재없는 대학가 전동킥보드 … 안전불감증 심각 file 2023.08.30
152 반발하는 민심속에 강행되는 육군사관학교 홍범도흉상 철거 file 2023.08.30
151 나사렛대 현직교수 17명, 학교 상대로 승소 file 2023.08.31
150 15년째 집에만 ... 고립생활에 내몰린 청년들 file 2023.08.31
149 <서현역흉기난동>대학생피해자 발인식 엄수 file 2023.08.31
148 학자금대출은 늘어가는데 ... 등록금 동결에도 상승한 대학별 적립금 file 2023.09.01
147 <장학금으론 턱없다> ... 대학생들은 여전히 알바생 file 2023.09.01
146 고립되는 젊은층 <공부만 강요하는 사회 .. 좋아하는 것 찾을 자유 줘야> file 2023.09.01
145 수강신청 당일 폐강 … IT분야 교수 구인난 심각 file 2023.09.03
144 경희대학내대자보,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교수발언 규탄 file 2023.09.05
143 서울대총학생회에 비판 <사회문제에 대해 기계적 침묵> file 2023.09.07
142 뉴라이트성향 육사교수, 홍범도흉상철거 맡아 논란 file 2023.09.07
141 <천원의 아침밥>사업중단·축소 대학 속출 … 비용부담구조 문제 file 2023.09.10
140 <혜택은 여학우만 받는다?> … 대학내 복지인식 달라져 file 2023.09.12
139 민주적 대학운영구조 확립 위한 서울예대 교수노동조합 건설 file 2023.09.13
138 <불이익 주겠다> 협박 … 연구인건비 빼돌린 지방국립대교수 구속 file 2023.09.13
137 <등록금만 바라보는 한국 대학> ... 정부지원은 허술 file 2023.09.14
136 〈강사법〉 시행 4년, 비정규교원 늘고 처우개선은 제자리 file 2023.09.22
135 부산대 학생투표권비율 여전히 10%이하 ... 학생비중 더 높여야 file 2023.09.29
» 〈학생역량 길러주는 고등교육〉이라지만 실상은 열약 file 2023.10.01
133 계속 미뤄지는 국립대특수학교 설립 ... 3곳중 1곳 겨우 착공 file 2023.10.01
132 학생의 목소리는 10% ... 무늬만 총장직선제 file 2023.10.01
131 재정난이라더니 사립대곳간엔 장학적립금 수백억 file 2023.10.03
130 사회구조적으로 빚어진 2030세대의 <빚> 굴레 file 2023.10.03
129 기형적인 입시구조로 지방대 이탈속출 file 2023.10.04
128 육사 앞세운 〈항일역사지우기〉 ... 홍범도흉상 이어 독립전쟁영웅관도 철거 file 2023.10.05
127 R&D예산삭감 5.7조원 ... 젊은 학생연구자 2800명 쫒겨난다 file 2023.10.06
126 〈경제적 이익 위해 최소한의 규정마저도 삭제〉 ... 대학구조조정 쉬워진다 file 2023.10.06
125 〈등록금인상시도 중단하라!〉 … 대학생 95%는 인상반대 2023.10.07
124 사라지는 대학〈과방〉 ... 학생자치공간 어디로 file 2023.10.08
123 이주호의 〈무전공입학〉의지 … 기초학문붕괴 우려 커져 file 2023.10.09
122 〈등록금 인상 반대!〉 대학릴레이행동 이어져 file 2023.10.10
121 <후쿠시마오염수방류하는 이유> 서술하라는 대학교양수업 file 2023.10.10
120 대학지원사업이 낳은 대학통폐합 ... 교육안정성은 어디에 file 2023.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