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편성이 아예 안 되는 과목까지 나옵니다. 학생들이 여럿 자퇴하면 <비인기과목>은 정원을 채우지 못해 한꺼번에 폐강되는 경우가 부지기수예요> 서울의 한 대학 입학사정관은 2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학 내 현실을 토로했다.
1, 2학년 재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이 높아져 강의개설이 어려운 지경까지 이르렀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의가 사라지면 기존 재학생들까지 피해를 보게 된다. 대학들은 강의개설을 위한 최소 학생 수 기준을 완화하는 추세다. 이 입학사정관은 <등록금도 수년간 못 올린 상황에서 1, 2학년생들이 이렇게 많이 나가면 학교 운영에 지장을 준다>고 토로했다.
재정난이 심각한 대부분의 대학은 편입생충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신세다. 문제는 서울주요대학들이 편입생들을 빨아들이면서 연쇄효과로 지방대나 중하위권대학도 결원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서울주요대학은 편입학 경쟁률이 20 대 1을 웃돌지만 지방대는 이에 못 미친다. 편입학확대가 결국 지방대위기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편입학모집 열풍은 반수, 재수 과열과도 맞닿아 있다. 결국 대학에 결원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1, 2학년생의 중도이탈이기 때문이다. 중도이탈한 학생들이 다시 이듬해 입시에 재도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불리한 현역 고3 학생들은 더 치열한 입시경쟁을 치러야 한다.
재수생 등에 밀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등급이 내려간 고3 학생들은 성적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더라도 이듬해 반수와 재수로 입시에 재도전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재수생만 자꾸 더 많이 양산되는 구조가 되어 가는 것이다.
이런 기형적 입시구조에서 벗어나려면 대학의 학생선발자율권이 보장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학의 한 관계자는 <학령인구가 줄면서 지방권대학은 학생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수도권대학은 높은 중도탈락률 때문에 위기>라며 <이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대학에 학교에 남아 공부할 학생을 제대로 선발할 권한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이과 통합수능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대학의 입학처장은 <공대에 진학했어야 할 아이들이 대학타이틀만 보고 입학해 철학과에 와서 앉아있다>면서 <성적과 간판에 휘둘려 학과를 택하는 부작용을 줄여야 한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