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이 OECD국가중 1위,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도 자살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9월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사망원인통계>중 <OECD국가간연령표준화자살률>에서 한국은 23.6명을 기록했다. 이는 OECD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OECD평균수치인 11.1명에 비하면 2배가 훌쩍 넘었다.

한국 다음으로 수치가 높은 리투아니아는 농촌거주남성들이 고립감•소외감을 이기지 못해서 자살률이 높은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기준 <경찰청변사자료자살통계>로 분석했을 때 한국의 높은 자살률에 영향을 준 주된 요인은 정신적문제가 39.8%, 경제생활문제가 24.2%, 육체적질병문제 17.7% 순이었다. 이 중 정신적 문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3년 4월14일 제6차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3년~2027년까지 실시할 <제5차자살예방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을 비전으로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감소하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60조원 안팎의 세수펑크로 초긴축예산편성으로 복지지출을 최대한 삭감하고 있는 <재정건정성확보>기조에서 얼마나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지난 10월13일 오후5시40분쯤 서울대중앙도서관화장실에서 서울대대학원생 20대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A씨는 <공부가 힘들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극단적 선택을 한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유족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망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photo_2023-10-18 01.09.52 (1).jpeg photo_2023-10-18 01.09.52.jpeg
번호 제목 날짜
2018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7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6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5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4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3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2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1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0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09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8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7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6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5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4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3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2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1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0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1999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8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7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6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5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4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3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2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1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0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89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8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7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6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5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4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3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2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1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0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79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8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7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6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5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4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3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2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1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0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69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