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이 OECD국가중 1위,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도 자살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9월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사망원인통계>중 <OECD국가간연령표준화자살률>에서 한국은 23.6명을 기록했다. 이는 OECD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OECD평균수치인 11.1명에 비하면 2배가 훌쩍 넘었다.

한국 다음으로 수치가 높은 리투아니아는 농촌거주남성들이 고립감•소외감을 이기지 못해서 자살률이 높은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기준 <경찰청변사자료자살통계>로 분석했을 때 한국의 높은 자살률에 영향을 준 주된 요인은 정신적문제가 39.8%, 경제생활문제가 24.2%, 육체적질병문제 17.7% 순이었다. 이 중 정신적 문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3년 4월14일 제6차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3년~2027년까지 실시할 <제5차자살예방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을 비전으로 2027년까지 자살률을 30% 감소하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60조원 안팎의 세수펑크로 초긴축예산편성으로 복지지출을 최대한 삭감하고 있는 <재정건정성확보>기조에서 얼마나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지난 10월13일 오후5시40분쯤 서울대중앙도서관화장실에서 서울대대학원생 20대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A씨는 <공부가 힘들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극단적 선택을 한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유족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망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photo_2023-10-18 01.09.52 (1).jpeg photo_2023-10-18 01.09.52.jpeg
번호 제목 날짜
1969 제주지역 대학생 “투표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창구” 2012.12.12
1968 “청년아르바이트생의 투표권을 보장하라” 2012.12.12
1967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
1966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96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964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963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962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961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96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959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958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957 [좌담회] 2013년 총학생회선거를 돌아보며 2012.12.19
1956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955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954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953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952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951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950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949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948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947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946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945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944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943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942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941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940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939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938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937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936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935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934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933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932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931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930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929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928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927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926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925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924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923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922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921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920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