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일수록 신입생모집이 어렵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18일 양정호성균관대교육학과교수가 공개한 <지역인재육성과 경제활성화를위한 지방대학 발전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과의 거리가 떨어진 대학일수록 신입생경쟁률·충원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교수의 보고서결과 서울과의 거리가 멀수록 신입생경쟁률·충원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고서는 <수도권사립대학은 2023학년도 입학경쟁률이 13.11대 1을 기록했지만 지방사립대학은 5.76대 1로 수도권사립대의 절반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올해 치러진 2024학년도 수시원서접수결과에서도 지방대 82곳이 경쟁률 6대1 미만인 5.49대 1로 사실상 <미달>위기에 놓인것으로 파악됐다. 지방대 116곳 중 71%에 달한다. 

신입생충원율도 서울소재대학 대부분이 100%를 유지하는데 반해 지방소재대학은 90%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지방사립대학과 국공립대학의 신입생충원율이 2021학년도에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최근 2년사이에는 지방대충원율이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는 지방대모집인원이 2021학년도 13만7409명에서 2023학년도 13만61명으로 감축됐기 때문이며 지방대붕괴는 계속 진행중>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2022년 대학입학정원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학령인구감소로 2040년초에는 대학절반이 신입생을 채우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의 저출산과 신입생모집의 어려운 추세가 계속되면 2040년대에는 지방대의 절반정도가 사라질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양교수는 <인구감소와 지역소멸로 인한 지방대학위기는 단순히 지방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생존과도 직결된 것>이라며 <지방대학발전은 지역인재 양성, 취업확대, 정주여건 개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photo_2023-10-21 00.09.12.jpeg
번호 제목 날짜
1969 제주지역 대학생 “투표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창구” 2012.12.12
1968 “청년아르바이트생의 투표권을 보장하라” 2012.12.12
1967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
1966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96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964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963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962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961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96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959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958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957 [좌담회] 2013년 총학생회선거를 돌아보며 2012.12.19
1956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955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954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953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952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951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950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949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948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947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946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945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944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943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942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941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940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939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938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937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936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935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934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933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932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931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930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929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928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927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926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925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924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923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922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921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920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