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블룸즈베리에 위치해 있는 초대형박물관 영국박물관에 다녀왔다.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는 곳이다. 세계3대박물관 중 하나라니 압도적인 건물크기에서부터 그 위엄을 느낄수 있었다. 1759년 개장했을 때만 해도 자그마한 건물이었다는데 쉴새없이 본토로 들어오는 전리품과 약탈품을 감당할수가 없어서 점점 규모를 키우다보니 이렇게까지 커졌다고 한다. 소장품은 무려 800만여점에 달한다. 이집트 로제타스톤, 람세스2세의 흉상, 그리스의 엘긴 대리석, 아시리아의 날개달린 황소 등이 대표적이다. 인류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을 거치며 창조된 걸작들이 즐비해 있으니 하루종일 봐도 시간이 부족했다. 

볼맛은 나는데 어딘가 씁쓸하다. 사람들은 <런던박물관에 유일한 영국제는 입구에 서있는 수위 한사람뿐>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꽤 많은 소장품들이 <엘기니즘>을 통해 이곳으로 들어왔다. 강대국이 약소국의 문화재를 불법 도굴하거나 약탈한다는 의미다. 약탈의 상징인 엘긴가문에서 딴 말인데, 19세기초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상단외벽을 장식하던 조각을 마음대로 떼어내 가져간 일과 관련된다. 엘긴가문 백작 토마스부르스는 당시 유행에 따라 스코틀랜드에 그리스의 건축과 조각을 모티브로 한 대저택을 짓고 있었다고 한다. 제국주의자들이 인류의 재산을 어떤 관점에서 대하는지 단번에 이해시켜주는 사건이다. 

개관당시 한공간에 전세계를 모아서 보이겠다는 계획에 영국의 오만함이 비껴있다. 한마디로 영국박물관은 식민유물의 공동묘지다. 무료개방은 공공성을 명분으로 하지만 그냥 도둑질을 많이 해서 그런거다. 둘러보다보면 <정말 많이도 훔쳤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보물을 빼앗긴 과거 식민지나라 사람들은 <우리는 육체만 있을 뿐이다. 영국인이 우리의 영혼을 갖고 있다>고 성토하며 반환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지만 영국은 그간의 문화재관리명목 등을 내세우면서 <돌려주면 우리만큼 잘 보존할수 있겠느냐>고 답한다. 강도의 적반하장이다. 최근에 2000점이나 도난당한건 어떻게 설명하려나.

추가로 많은 사람들이 <대영>박물관이라고 부르지만 잘못된 표현이다. 원어인 British Museum 그 어디에도 <대(大)>라는 의미는 찾아볼수 없다. <대영>은 식민지배의 언어적 잔재로 구시대적 유물일뿐이다. 제국주의는 식민지를 통치할 때 사대의식을 민중속에 깊이 침투시킨다. 문화적 예속은 사람들의 저항의식을 마비시키는데서 위력한 수단이다. 큰 나라에 대한 환상을 조성하고 사람들의 정신을 와해시키면 총 한발 쏘지 않고도 그 나라를 무너뜨릴수 있다는 것이 제국주의자들의 타산이었다. 이제는 몰락해버린 <대영>이지만 여전히 <대영>이 익숙하다면 사대주의를 넘어 노예근성의 발로이자 뿌리깊은 관성이 아닐까. 더군다나 직접적으로 제국주의의 침략과 약탈을 경험했던 나라에서 이런 표현을 사용한다면 꽤 우스울수도 있겠다.

photo_2023-11-11 00.09.12.jpe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6 고려대의대생 휴학 및 수업·행사 거부 〈대책 없는 정부의 의대증원계획〉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4.03.03
195 [MIF] 일정 공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0.04.11
194 [기고] 너는 먼저 강이 되었으니, 우리는 강줄기를 이어 바다로 가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4.04.02
193 <김밥 하나 못사먹는다> 대학청소경비노동자들 식대 현실화 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4.03.31
192 의대증원정책 반발 ... 휴학 의대생 6000명 육박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4.03.14
» 강도의 보물창고 - 영국박물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11.11
190 전국교대학생연합 <서이초사건 진정한 해결까지 행동할것>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10.31
189 전교조, 교육부장관후보자 이주호 지명철회 요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10.02
188 서울대 김태훈·이동수 등 민주화열사 7명 명예졸업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8.29
187 한체대 역도부 폭행 은폐시도 ... 〈2차가해 중단하라!〉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7.08
186 반일행동 〈전쟁동맹나토확장규탄! 한미일전쟁회담반대!〉 기자회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7.01
185 80년 <서울역시위> 주도한 대학총학생회장 무죄판결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6.26
184 반복되는 수강신청 실패 ... 이제는 <강의매매>까지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08.29
183 <학생부담 아닌 정부지원 늘려야> 전국교대생 대학재정지원 확대촉구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10.18
182 〈등록금 인상 반대!〉 대학릴레이행동 이어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10.10
181 이주호의 〈무전공입학〉의지 … 기초학문붕괴 우려 커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3.10.09
180 박관현열사와 가두집회 이끈 대학생 ... 42년만에 무죄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10.27
179 〈당신의 사월은 따뜻한가요?〉 … 서울주요대학들에 대자보 붙어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4.13
178 광주민중항쟁의 진실을 알린 대학신문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4.06
177 경복대 〈유턴입학생〉 증가 ... 취업난으로 졸업후 다시입학 file 21세기대학뉴스 2022.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