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가 지속돼 다중채무자와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집을 산 사람들) 등의 상황악화로 인한 개인회생과 파산이 잇따르면서 지난해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한 청년들이 4778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년전인 2018년대비 7배이상 급증한 수치다.

12일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검토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한 청년은 4778명으로 2018년 670명대비 7배이상 가파르게 늘었다. 

또 지난해 한국장학재단이 학자금대출을 돌려받지 못해 <회수불능>으로 처리한 금액은 총 274억8900만원으로 2018년 47억3000만원에서 5배넘게 불어났다.  2021년 회수불능학자금대출이 118억6200만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년새규모가 2배넘게 급증한것이다.

청년들이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한 주요 이유는 개인회생과 파산이었다.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해 상환면책을 받은 인원은 총 3454명으로, 그 대출액규모는 178억4000만원에 달했다. 회수불능인원의 72.3%, 금액의 64.8%에 달하는 규모다. 이밖에도 파산면책으로 인한 회수불능인원과 금액은 각각 954명, 71억9200만원으로 조사됐다.

한국장학재단관계자는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한 인원들은 대부분 다른 채무도 보유하고 있다>며 <학자금대출 자체가 커서라기보다는 고금리로 (다른 빚을 갚지 못해) 개인 회생·파산이 늘어나면서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학자금대출금리는 2021년부터 시중금리보다 낮은 1.7%로 묶여 있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 그러나 시중금리가 상승하면서 다른 대출로 진 이자부담이 높아진 청년들이 학자금대출까지 갚지 못하게 됐다는 뜻이다.

대부분 차주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뒤에 학자금대출을 상환하는데, 사회초년생이어서 소득이 높지 않은 데다, 집값상승기대감에 따른 <영끌투자>열풍까지 겹치면서 청년들의 빚 부담이 커졌을 가능성도 있다.

photo_2023-11-13 17.58.23.jpeg
번호 제목 날짜
2002 이공계대학생 849명, R&D예산삭감반대성명 국회 제출 file 2023.12.19
2001 부산대 <서울의 봄 대자보> 고의적 훼손 file 2023.12.16
2000 4시간만에 철거된 부경대 <서울의 봄 대자보> ... 말할 권리는 어디에? file 2023.12.16
1999 방학 앞두고 울상인 대학가 상인들 ... <겨울방학 어떻게 버티나> file 2023.12.16
1998 <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 부산 대학가에 대자보 등장 file 2023.12.14
1997 경북대 총학생회 <학생의 외침을 외면하지 말아야> file 2023.12.14
1996 서울대 음대 입시비리의혹 .. 입학본부 압수수색 file 2023.12.14
1995 <총학무용론>까지 언급되는 대학현실 file 2023.12.12
1994 을지대병원, 노조간판 달았다고 노조에 2000만원 청구 file 2023.12.12
1993 물가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대학생 자취방 file 2023.12.10
1992 부당채용의혹 붉어진 광주지역 대학들 file 2023.12.09
1991 과잠으로 뒤덮인 본관 ... 경북대·금오공대 통합 추진에 <결사반대> file 2023.12.07
1990 의견수렴 없는 을지대 간호학과 의정부캠퍼스 통합 … 학생들 반발 file 2023.12.06
1989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망언한 경희대교수에 경징계 논란 file 2023.12.05
1988 한양대 총학선거, 무산위기에 법정공방까지 file 2023.12.03
1987 인권위 <출산으로 인한 대학원신입생 휴학불허는 차별> file 2023.12.03
1986 대학원생 인건비 뺏은 경북대교수 집행유예 선고 file 2023.12.01
1985 <천원의 아침밥> 내년사업 불투명 file 2023.11.30
1984 대전지역 사립대, 총학생회장 선거규칙 두고 대립 file 2023.11.30
1983 1년에 무려 8만장 스캔하는 서울대대학원생 ... <학업연구권침해 심각> file 2023.11.30
1982 대량폐기되는 대학장서 … 보존방법 강구해야 할 때 file 2023.11.28
1981 대학생 30% <작년보다 취업 더 어려워져> 2023.11.26
1980 대원대간호학과 수시2차전면중단 ... 200명 원서취소통보사태 file 2023.11.26
1979 과기정통부, 4대과기원학생회와 간담회 ... <소통강화해야> file 2023.11.23
1978 보건복지부, 내년 간호대입학정원 확대 발표 file 2023.11.21
1977 <학점인플레>속 서울대총학생회 <학점삭제>공약 논란 file 2023.11.20
1976 서울대마저 투표율미달 ... 총학생회 부재위기 심화 file 2023.11.20
1975 신입생이 8명? ... 수도권에서도 보이는 <신입생 실종사건> file 2023.11.16
1974 R&D예산삭감에 국회찾은 대학생들 .. <대학사회전반에 큰 타격줄 것> file 2023.11.15
1973 비대면·디지털로 학생들 발길 뚝 끊긴 대학가인쇄소 file 2023.11.14
» <사회생활 빚으로 시작> … 학자금대출 부담에 신음하는 청년들 file 2023.11.13
1971 계속되는 대학가 빈대출몰에 대학생들 근심 file 2023.11.12
1970 점점 비어지는 상가 ... 청주주요상권·대학가상가 공실문제 증가 file 2023.11.12
1969 무늬만 글로벌대학? … 외국인재학생 고작 7%대 file 2023.11.10
1968 실적 위해 장학금 줬다 뺏은 대학 … 채용비리까지 만연 file 2023.11.07
1967 치솟는 물가에 <백원아침> 찾는 대학생들 file 2023.11.06
1966 국회 찾은 서울대생들 <정부 R&D주장 설득력 부족> file 2023.11.05
1965 <대학은 누구의 것인가?> 채효정저자 초청강연회 개최 file 2023.10.31
1964 대학 나왔지만 <알바 전전> ... 역대 최대치 file 2023.10.31
1963 대학가월세 100만원 근접 ... 어디서 살아야 하나? file 2023.10.30
1962 서울대대학원마저 무너져 ... 신입생입학 절반이상 미달 file 2023.10.28
1961 포화율 200%달하는 대학도서관 ... 도서관리부터 체계적인 정비 필요 file 2023.10.26
1960 자국 청년예산은 삭감, 외국인유학생장학금 지원은 확대 file 2023.10.26
1959 국가장학금 신청 대학생은 증가하지만 장학금수령은 겨우 절반 file 2023.10.26
1958 <지방대 절반이 사라질 위기> ... 입학경쟁률 수도권사립대 절반수준 file 2023.10.21
1957 OECD자살률1위, 사라져가는 한국청년들 ... 국가적대응방안은? file 2023.10.18
1956 <학생부담 아닌 정부지원 늘려야> 전국교대생 대학재정지원 확대촉구 file 2023.10.18
1955 대학생들, R&D예산삭감에 특위조직으로 대응 시작 file 2023.10.17
1954 대학생들 힘으로 철거한 이승만동상 복원시도 논란 file 2023.10.16
1953 자유롭다는 대학생온라인커뮤니티속 확산되는 혐오와 폭력 file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