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지정 글로컬대학에서 탈락한 국립경북대와 금오공대가 통합을 재추진하자, 경북대학생들이 학과점퍼(과잠)를 본관앞 계단에 벗어놓으며 <과잠시위>에 나섰다.

경북대와 금오공대에 따르면 홍원화경북대총장과 곽호상금오공대총장은 지난 11월30일 열린 전국 국·공립대총장협의회에서 두 대학의 통합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두 대학의 통합추진은 지난 2007년 통합이 무산된 이후 16년만이다.

이들 대학의 통합논의는 최근 교육부가 지방대학 소멸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정발표한 <글로컬대학30>에 경북대가 선정되지 못하자, 통합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또 학령인구감소 등에 대비해 생존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경북대 일부 재학생은 지난 5일부터 <구성원들의 의견수렴 없는 일방적 통합논의결정을 반대한다>며 경북대본관앞 계단에 학과점퍼를 벗어놓는 <과잠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재학생들이 사용하는 학과커뮤니티에 한 학생이 통합반대를 위한 1인시위에 나선다는 글을 올리며 재학생들의 동참을 요청하자, 많은 학생이 통합저지의견을 모으고 과잠을 벗어 항의하는 퍼포먼스에 동참했다. 일부 학생은 재학증명서를 반납하겠다며 점퍼와 함께 내놓았다. 이날까지 본관계단에 놓인 점퍼는 약 300벌이다.

경북대생명공학과학생은 <글로컬대학선정도 1차에서 준비를 잘해서 붙었으면 됐는데 준비가 미흡해 떨어진 것 아니냐>며 <강제로 통합한다고 내년에 선정된다는 보장도 없는데 학생들과 대학을 이용한다는 생각밖에 안든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홍원화총장은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시대에 지역대학의 생존을 위해 통합을 고려할수밖에 없다>며 <교명이 바뀌는건 아니다. 통합이후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고 교수와 학생들의 의견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photo_2023-12-07 17.17.27.jpeg
번호 제목 날짜
2019 “반값등록금을 실현할 10명의 국회의원을 찾습니다” file 2012.09.11
2018 20~28세 채무불이행자 2만여명 file 2012.09.25
2017 지방일수록 학자금연체율 높아 file 2012.09.26
2016 사립대 64.6%, 법정부담금 미납 2012.09.28
2015 대학들 전형료 수입 2000억원, 수익1위는 동국대 file 2012.10.01
2014 문재인 “내년부터 국공립대 반값등록금 실현” file 2012.10.03
2013 교과부, 지원사업빌미로 총장직선제폐지요구 file 2012.10.08
2012 국립대시설확충예산 '서울대 몰아주기' file 2012.10.08
2011 사립대들, 적립금투자로 144억원 손실 file 2012.10.09
2010 1학기 국가장학금 2361명 중복지급 file 2012.10.10
2009 19개사립대, 재단수익금전액 전용 file 2012.10.10
2008 등록금심의위원회 구성·운영 ‘학교 마음대로’ file 2012.10.11
2007 사립대 개방이사 3명중 1명은 '법인관계자' file 2012.10.12
2006 교과부 대학평가 ‘오락가락’ file 2012.10.12
2005 국립대 전임교원 3명중 1명은 모교출신 file 2012.10.15
2004 이용섭 “국립대공동학위제 실시해야” file 2012.10.15
2003 국립대 부패공직자, 지속적으로 증가 file 2012.10.16
2002 경북대교수회 “학칙 어긴 총장직선제폐지 무효” file 2012.10.16
2001 부산대, 저소득층 장학금 거점국립대중 최하위 file 2012.10.17
2000 전남대, ‘울며겨자먹기’식 기숙사비징수 file 2012.10.17
1999 “서총장 즉시 해임하는 것만이 카이스트 구하는 길” file 2012.10.18
1998 박근혜 “사립학교, 일일이 간섭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file 2012.10.18
1997 “도서관에 자리가 없어요” file 2012.10.19
1996 '돈 없다던 대학들' 종편에 투자 file 2012.10.22
1995 충남대 전임교원 강의비중 45.3% file 2012.10.24
1994 서울대 구술면접문제, 절반이상이 대학수준 file 2012.10.24
1993 국민대, 학교를 위해 5000원 기부하라? file 2012.10.26
1992 경희대, 상대평가강화 학제개편안 유보 file 2012.10.31
1991 부산대시험 ‘종북좌익을 진보라 부르는 언론비판’ file 2012.11.01
1990 [기고] 경남대문과대 '실제 선거기간은 이틀뿐' file 2012.11.02
1989 [편집국에서] 2013학생회선거에 부쳐 file 2012.11.05
1988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1987 59억원 들인 사립대외부감사 ‘유명무실’ file 2012.11.08
1986 가천대, 성적장학금 예산을 끌어다 저소득층장학금 확충? file 2012.11.09
1985 대선 부재자신고, 11월 21~25일 file 2012.11.09
1984 전남도립대, 내년부터 반값등록금 시행 file 2012.11.10
1983 성신여대 동연 “동아리수요조사는 학생자치권 탄압” file 2012.11.12
1982 '고대위기상황 교수성명' 지지 이어져 file 2012.11.15
1981 서울시립대, 중앙대 등 부재자투표소 설치신청 file 2012.11.20
1980 충북지역 부재자투표소설치 대학 한곳도 없어 file 2012.11.21
1979 “투표로 대학생이 원하는 대통령을 당선시키자” file 2012.12.03
1978 한국외대, 학보사에 총학선거보도 금지명령 file 2012.12.03
1977 재외유권자투표 5일부터 시작 ... 22만명 등록 2012.12.04
1976 문재인 “정치 바꾸는 '국카스텐' 되겠다” 20대지지 호소 2012.12.06
1975 교수위장 대학병원의사 1818명 607억 ‘세금먹튀’ file 2012.12.06
1974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출마” 2012.12.06
1973 안양대총장, 학교땅 고가매입·횡령비리로 구속 file 2012.12.10
1972 안철수 대학가유세 “2030, 바꿔야 한다면 투표하라” file 2012.12.11
1971 재외국민투표율 71.2% “이번에는 국내차례” 2012.12.11
1970 대선부재자투표 13~14일, 전국대학 23곳에 부재자투표소 설치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