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2차범국민촛불행동 ˂천만의 약속˃이 24일 오후6시 서울청계광장에서 열렸다.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가 주최한 이번 촛불은 발생한지 40여일이 넘어가고 있는 세월호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자리로 이뤄졌다.

 

KBS언론노조 권오훈본부장은 <이 자리에 설 수 있나 묻고 또 물었다. KBS가 초기에 보도를 조금만 제대로 했더라면 이렇게 희생되지 않았을 것이다죄송스럽다>며 세월호참사에 대한 잘못된 보도를 사죄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청와대는 KBS에 보도지침을 해왔고 KBS는 청와대의 노예권력의 시녀가 되었다부끄럽고 늦었지만 다시 시작하겠다길환영사장퇴진과 박근혜대통령의 책임을 반드시 국민들과 함께 묻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월호희생자들이 준 마지막 기회국민의 방송으로 되돌리기 위해 국민만 믿고 끝까지 싸우겠다>고 힘있게 발언했다.

 

한국노총 이인상공공연맹위원장은 <죄인의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노동운동을 한다는 내가 지금 한 것이 무엇인가세월호참사는 여러 요인들이 있다비정규직규제완화의 문제가 있다>면서 <비정상화의 정상화를 말하는 박근혜정권은 오로지 돈과 자본을 위한 규제완화를 계속하고 있다더욱 가열찬 투쟁으로 답하겠다>고 말했다.

 

고등학생인 양지혜양은 희생자들을 위해 직접 쓴 글을 낭독하기도 했다.

 

그는 <추모행진을 참여할 때마다 날씨가 참 좋다누군가와 같이 걷기 좋은 날이라고 해야 하나그래서 더 슬펐다당신들이 없구나이렇게 좋은 날이 당신에겐 없겠구나 생각이 들었다어른들은 아직 꽃피지도 않은 아이들이 죽어 안쓰럽다고 했다그리고 우리들이 거리에 나와 이야기하고 행진하는 모습을 보며 기특해했다그런데 그런 말들이 오히려 싫었다왜 이런 행동을 우리가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닌 기특해야하는 것이 되어야 하나어른들은 말한다대학가면 다할 수 있다가만히 공부하라고 한다나는우리는 삶을 유예당한다행진을 하면서 반짝이는 잎을 보면서 살아남은 사람들 중에서 지금 이 무렵이 얼마나 아름다운지공부하기에 바쁜 우리들은 사실 잘 모르고 살지않나순간 억울하고 싫었다미래를 담보로 주체성을 박탈당하는 청소년이기에그래서 <가만히 있으라 행진>을 제안했다죽어가는 우리를 더는 죽게하고 싶지 않았다청소년도 사회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했다산자의 의무를 우는데 에서 멈추지 않겠다여러분을 죽게 한 가만히 있으라는 사회의 시스템에 더욱이 가만히 있지 않겠다더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말하지 않았으면 한다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우리는 괜찮다고 믿고 살아왔지만 그렇지 않다는걸 우리는 이제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가만히 있지 않고 우리가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마무리했다.

 

세월호참사 가족대책위 유경근씨는 <저는 아직까지도 제가 왜 이 자리에 있어야하는지 모르겠다모든 가족들이 그렇게 이야기하지만 단하나라도 위안거리가 있으면 그걸 위안삼아 인정하고 넘어갈 수 있을 텐데 한 달이 넘는 그 시간들을 아무리 곱씹어 봐도 잘못한 것이 없다그리고 제 아이는 없고 저는 이 자리에 있다>면서 <국민들께 감사하다.국민여러분께 간곡히 부탁드렸다전국에서 서명 받아서 전달해주셨다>고 말했다.

 

또 <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세월호마냥 침몰해가는 그 순간에 서있다대한민국을 소생시켜야 한다우리 자식들이 영원히 살고 싶은 나라 만들어야 한다이 자리에서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겠다잊지말아주시고 함께하겠다는 뜻을 보여 달라>고 차분히 말했다.

 

이어 아직 찾지 못한 16명의 실종자들의 이름을 제창했다.

 

이날 집회에는 각계각층의 시민들 3만여명이 모였으며 집회이후 청계광장에서 보신각탑골공원을지로입구역명동역을 거쳐 시청광장까지 도착하는 코스로 행진했다.

 

P1140922.JPG

P1140933.JPG P1140940.JPG P1140947.JPG P1140961.JPG P1140979.JPG P1140991.JPG P1140992.JPG P1150028.JPG P1150042.JPG P1150048.JPG P1150066.JPG P1150073.JPG P1150075.JPG P1150076.JPG

▲현장사진들


김슬민기자

번호 제목 날짜
3431 ˂세월호 참사˃추모 촛불집회, ˂아이들을 살려내라!˃ file 2014.05.04
3430 ﹤북에 계시는 피해자할머니와 함께하고 싶다﹥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88일째 file 2018.02.28
3429 교수님에게 부치는 편지, ˂가만히 있으라˃는 사회에서 교수님들이 그만 가만히있길 바라는 불손한 제자들 file 2014.06.10
3428 3.15 유성희망버스 ˂민주노조를 지킬수있게 함께 해주세요˃ file 2014.03.17
3427 홍대에서 울려퍼지는 “아베망언·역사왜곡 앙~돼요” file 2014.02.15
3426 <모두 다 꽃이야>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92일째 file 2018.03.01
3425 대학생들, <6월4일 당신의 약속을 지켜주세요>합동기자회견 열려 file 2014.05.29
3424 ﹤시민들의 간절함을 본받겠다﹥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90일째 file 2018.03.01
3423 <평화를 위한 농성>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89일째 file 2018.02.28
3422 27일 LH 대학생 전세임대 정책 개선 촉구 기자회견 열려 file 2014.02.28
3421 <내마음은 지지않아>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91일째 file 2018.03.01
3420 ˂세월호 참사˃53일째, 범국민 4차촛불집회 열려 file 2014.06.08
3419 “강정을 살려주세요!” file 2012.08.03
3418 대학생 100명, 소녀상지키기 24시간 노숙농성 돌입 file 2016.03.18
3417 단국대총학, ˂프라임사업˃ 불참요구 의결 ... 대학간 정원이동 갈등 고조 file 2016.03.17
3416 한대련 장민규의장, 광화문농성 4일째 file 2014.11.04
3415 각당의 등록금공약으로 본 19대총선 2012.05.08
3414 미선이 효순이 사건, 12주기 추모행사 열려 file 2014.06.10
3413 ˂취업률 낮다고 폐과?˃ 서일대 연극과를 지켜주세요! file 2014.03.24
3412 <이땅에 평화를!> ... 소녀상공동행동농성 793일째 file 2018.03.02
3411 [〈세월〉호참사 100일] 특별법제정촉구 100리 행진 file 2014.07.27
3410 [이화여대] '안녕할 수가 없다, 안녕해서도 안된다' file 2013.12.20
3409 영화˂카트˃ 김영애, 많은 분들 봐야할 영화라 출연결심...다음달 개봉 file 2014.10.22
3408 동아대학생들 ˂거리로 나서고 비판하고 소리쳐야˃, 세월호추모제 열어 file 2015.04.16
3407 대진대 음악학부 폐지 ... 교수 및 학생 반발운동 file 2014.04.14
3406 전국대학생 4만2천여명,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 역대 최대 규모 file 2015.10.30
3405 3.1항쟁계승, 관건부정선거규탄, 일본재무장 및 한일군사협력반대 ‘자주평화국민촛불’열려 file 2014.03.03
3404 개강시즌 대학생들, 세월호특별법제정위해 수업반납하겠다 file 2014.09.01
» 24일, 세월호참사 2차범국민촛불행동 ˂천만의 약속˃ file 2014.05.26
3402 박근혜 가천대특강 ‘학생강제동원’ 논란 file 2012.09.22
3401 일본군성노예 ˂위안부˃피해 배춘희 할머니 별세, 생존자 54명 file 2014.06.08
3400 19일, 서울시립대청소노동자들 '70세 고용보장하라!' 천막농성 돌입 file 2014.02.20
3399 〈유민아빠를 살리자!〉 운동 확산 ... 김영오씨 단식 36일차 file 2014.08.18
3398 소르본대교수 “프랑스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 여론화하겠다” 2013.12.04
3397 ˂박근혜정권1년, 여성으로 못살겠다!˃ 35차 국민촛불열려 file 2014.03.09
3396 〈정부는 이스라엘 학살 지지하는 행위 중단해야!〉 file 2014.07.31
3395 기록영화 '밀양전' 공동체상영으로 배급 ... 5명이면 관람가능 file 2014.01.21
3394 경상대교수들 ˂개조의 대상은 국민이 아니라 국가권력˃ file 2014.06.25
3393 여러분의 ‘안녕하지못한 사연’, 단행본으로 나온다! file 2014.01.14
3392 ˂본질적인 답은 학우들로부터, 연대해 해결하자˃ ...˂5월, 고대세종으로 모˂여˃!˃토론회 2틀째 file 2015.05.31
3391 시국선언 교수들 한자리에 ... “박근혜대통령은 사건의 관련당사자” file 2013.08.05
3390 [인터뷰] 행동하는 대학생들 〈잊지 말아 달라〉 file 2014.08.02
3389 경기대학교 구성원들, ˂비리로 얼룩진 옛 재단 복귀를 반대한다!˃ file 2014.09.16
3388 〈미국은 일본군〈위안부〉문제해결 결의안 실행하라〉 file 2014.07.30
3387 대학생시국선언 '우린 전쟁세대가 되기 싫다' file 2013.03.10
3386 ˂세월호 철저한 진상규명˃ 성공회대 학생 350여명 시국선언 발표 file 2014.06.05
3385 성소수자인권단체,〈로빈슨주교의 두가지사랑〉상영금지 사과하라 file 2013.12.13
3384 14일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 문화제 열려 file 2014.08.17
3383 배우 고경표, 건국대˂학사구조개편안˃반대 1인시위 나서 file 2015.03.25
3382 표창원·박주민, 고대 민주광장 강연 ... '국정원사건을 통해 진실과 정의를 말하다' 201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