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대학뉴스는 지난 5월 청소년 가만히 있으라 침묵행진 제안을 시작으로 8월 단식선언, 청소년공동행동제안까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해 꾸준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청소년 양지혜양을 만나보았다. 학교를 다녀온 평일, 방과후 농성장이라는 이름을 걸고 종이배를 접고 있는 이 소녀의 말을 들어보자.


캡처.JPG


-간단한 본인소개 부탁드립니다.


네. 안녕하세요. 세월호참사 이후에 청소년 침묵행진을 제안하고 또 지난주 목요일 18살 고등학생이 단식을 시작한다고 하면서 청소년들을 불러 모았던 양지혜라고 합니다.


-기자회견까지 하시면서 무기한단식선포와 청소년공동행동을 제안하셨는데 그 배경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유민아빠 김영오씨가 단식을 시작하고 또 단식을 그만두기까지의 상황에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날이 갈수록 상황은 심각해지는 데 동조단식의 연대의 힘은 상대적으로 멈춰있는 상황에서 소모적으로 단식만을 하기보다 거기에 더해서 청소년친구들을 함께모아보자 라는 취지로 시작했습니다. 그 시작으로 저와 다른친구가 단식선포를 한 것이고요. 무기한 단식은 아니고 3일 동조단식후 방과후 농성장을 만들어 매일 결합하고 있어요. 여기에 중점을 두는게 더 맞다고 느껴서요.


-침묵행진으로부터 벌써 몇개월이 흐르는 과정에서 사실 실질적으로 우리가 기대하는 변화는 없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 그 그 과정에서 본인 스스로 느낀 변화에 대해서도 덧붙여 말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세월호, 밀양, 청도등 사실 가장 먼저 행동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그 사람들을 향해야 하고요. 하지만 사회는 꿈쩍도 하지 않고 있죠. 변한 것이 많이 없다는 것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그러나 제가 이런 활동을 하면서 가장 크게 변화하는 것은 마음입니다. 너무나 고통스럽게 힘든 상황이 지속되더라도 마음이 같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더 단단해지고 포기를 모르게 되는 것 같아요. 말그대로 연대를 경험하면서요. 

 

-청소년으로써 이렇게 실천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이 정말 대단한데 행동을 하면서 느끼는 부분이 많을 것 같아요. 어떤가요.


우선 경찰이 그렇게 무서운 줄 몰랐어요. 그리고 뭔가 옳다고 생각을 하고 그걸 행동하는 과정에서 자기모순을 겪었어요. 그게 뭐냐면 저는 사실 약한사람들을 배제시키는 게 싫거든요. 근데 저도 은연중에 배제시키는 말을 하고 있는 거예요. 또 이런 고민과 문제들에 대해 무뎌지고 잊지않기 위해 어떻게 노력을 해야할지 생각을 많이 하게 된 것 같아요. 어찌보면 우리사회는 이런 일들을 쉽게 잊는 게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는데요. 쉽게 잊는 풍조 자체를 바꿔야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예민해지려고요. 저부터 예민해지려고 노력합니다. 


-세월호참사도 현재 관제교육의 구조적문제와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가 많은데 주입식교육이 아닌 쌍방향교육이라면 어땠을까, 실제 학교를 다니는 입장에서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말씀하신대로 교육구조의 문제 매우 공감해요. 우리교육이 가만히 있으라는 시스템이잖아요. 그런 사회속에서 인격이라거나 주체성이 죽어가는 것은 당연하고 실제로 죽어가는 청소년들이 생기는 것이고요. 제가 이렇게 나와서 침묵행진도 하고 공동행동도 하게 된 것은 그런 고립된 책상에서 우리가 먼저 벗어나자라는 취지였기도 하고요.


-곧 성인이 되시는데 어떤 어른이 되고 싶나요.


지금의 저를 잊지않는 어른이 되고 싶어요. 대학에 갈까 말까 고민을 하고 있는데 지금의 제가 하고 있는 이런 고민과 활동을 과연 대학에 가서도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때문이거든요. 어쨌든 지금 고민하는모습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면 좋겠고 그런 어른이 되고 싶습니다. 


-대학생 언니, 오빠들한테 하고싶은 말 있으시면 해주시길 바랍니다.


굉장히 어려워요. 친구들에게 거리로 나오자라는 말이 쉽지 않았던 건 우리들에겐 공부가 생계고 생업이잖아요. 그런데 무조건적으로 거리로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지적만 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다만 어떤 올바른 지향이나 가치관을 갖고 있다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하고요. 그런 사람들이 많아지고 채워지다보면 곧 좋은 삶이 되고 연대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에요. 그러면 사회가 좋아지겠죠?


김슬민기자

번호 제목 날짜
94 청년들의 미래를 밝히는 정치참여 file 2012.05.10
93 촛불세대가 바라본 촛불집회 file 2012.05.10
92 “가장 하고 싶은 일은 '심심타파' 다시 연출하는 것” file 2012.05.22
91 “개선책이 있는 학교비판, 대학언론의 가장 큰 사명” file 2012.06.04
90 “반값등록금, 가장 쉬운 방법은 싸우는 방법” file 2012.06.05
89 [인터뷰] “반값등록금, 가장 쉬운 방법은 싸우는 방법” file 2012.06.05
88 수원여대노조 “현총장 물러나고 이사진도 책임사퇴해야” file 2012.06.07
87 “대학언론의 사명, 학생들에게 생생하게 사실적으로 보도를 전달하고 알권리를 제공하는 것” file 2012.07.02
86 “대학생의 어려움 벗어나려면 대학생들을 위한 정책이 실현되고 법이 제정되어야” file 2012.07.02
85 [인터뷰] “대학생들을 위한 정책이 실현되고 법이 제정돼야” file 2012.07.02
84 “20대청년 다같이 연대하고 단결하는 것은 시대의 요구” file 2012.07.02
83 [인터뷰] “20대청년 다같이 연대하고 단결하는 것은 시대의 요구” 2012.07.02
82 “학과통폐합반대, 학생들의 총장선출권, 민주적인 학칙개정 요구한다” file 2012.07.02
81 “정부는 청년이 뭉치는 것을 두려워한다” 2012.09.22
80 “12월19일 반값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file 2012.11.06
79 “대학생 정치참여 위해 투표시간 연장돼야” file 2012.11.08
78 '이털남' 김종배초청강연 “시대를 관통하는 고리를 찾아라” 2012.11.28
77 주거권이란 모두에게 주어져야 하는 것 file 2013.02.23
76 [한양대총여학생회 ‘밀담’ 김다예·이슬기] file 2013.04.22
75 [명지대 강경대열사22주기추모위원회 백소영·배종휘·강아름] file 2013.04.23
74 ['0학점강의' 준비중인 이대열 고려대사범대학생회기획국장] file 2013.04.29
73 [생활과 문화를 공유하는 신개념주거공간 WOOZOO, 조성신 공동창업자] file 2013.05.03
72 [서강대 김의기열사33주기추모문화제 이현주준비단장] file 2013.05.17
71 [학과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70 [연세대생활협동조합 김민우부장] file 2013.07.05
69 [경기대서울캠퍼스 K_Hub총학생회 장의총학생회장] file 2013.08.19
68 [노동자연대학생그룹 활동가 이화여대 양효영학생] 2013.08.20
67 [‘씨앗들협동조합’ 황윤지대표] 2013.08.21
66 [21세기한국대학생연합 정책선전위원장 박지향씨] file 2013.09.04
65 [부산대45대총학생회 자랑스런 그대와 우리, PNU - 이예진부총학생회장] file 2013.10.18
64 [국립경상대 29대 ‘힘내라청춘! 응답하라’ 총학생회 - 최보람총학생회장] file 2013.10.20
63 [한양대 21대총여학생회 ‘밀담’] file 2013.10.24
62 [창원대 29대총학생회 ‘여러분’ - 최호진총학생회장] file 2013.10.24
61 [조선대 26대 ‘2만학우를 비추는 하나된 불빛 ‘조명’’ 총학생회 - 김국민총학생회장] file 2013.10.27
60 [전남대 45대총학생회 ‘Action Plus' 김민규총학생회장] file 2013.10.31
59 [전주대 40대총학생회 ‘청춘고백’ 이우석총학생회장] file 2013.11.01
58 [성공회대 28대총학생회 ‘HI-FIVE' 한가람총학생회장] file 2013.11.29
57 [연세대 51대총학생회 ‘Solution' 이한솔총학생회장] file 2013.12.09
56 [동국대 45대총학생회 ‘골든타임’ 남보라총학생회장] file 2013.12.15
55 [행동하는 양심 전북대 영문과 12 고석원] file 2013.12.30
54 [지하철에서 ‘철도사영화 반대’를 외치는 대학생들] file 2014.01.10
53 [동국대학교 경영학과·보건의료노조 신재용정책부장] file 2014.01.12
52 [21c한국대학생연합 10기 의장 장민규 인터뷰] file 2014.04.03
51 [인터뷰] 시국농성장을 찾은 대학생들- 부산대 양인우, 김명신학생 file 2014.04.17
50 [인터뷰] 서울과기대교지˂러비˃ file 2014.04.21
49 5.1세계노동절대회 대학생·청년 인터뷰 file 2014.05.02
48 [인터뷰] 유럽평화기행 ˂나비의 꿈˃ 김형준단장 file 2014.05.09
47 [인터뷰] 고려대학교 교지, ˂고대문화˃ file 2014.05.09
46 [인터뷰] 이화여대 교지편집위원회, ˂이화교지˃ file 2014.05.22
45 [인터뷰] 신학생시국농성단 file 201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