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mortgage)대출을 갚지 못해 거리로 쫓겨난 사람들은 모기지피해자연대를 만들어 생존권을 위협하는 정권과 싸운다. 철학교수와 큐레이터는 조직에 소속되고 자신들의 목소리가 사라지는 것에 대해 고민을 나눈다. 미술관장은 위대한 예술작품들이 부자의 수집품으로 생을 마감하길 원하지 않는다. 학자들과 철학자들은 부패한 정부에 대해 토론한다. 진정한 민주국가를 염원하는 시민 수백만명이 거리로 나오고, 스페인 북동부지방 카탈루냐는 스페인에서 독립을 이루려고 한다. 한편 과학자들은 한계에 다다른 천연자원에 주목하며, 성장이 아닌 재생에서 인류의 미래를 본다.
한 영화에 담기기엔 많은 내용이다. 영화 <신유럽조약>의 내용은 굉장히 포괄적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결국 신자유주의라는 거대한 문제아래 하나로 묶인다. 스페인 민주정권 수립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제너럴 리포트>로 거장의 반열에 오른 감독 페레 포르타베야는 <신유럽조약>에서 현재 스페인에 닥친 위기와 그 대안들을 보여준다. <제너럴 리포트>가 1976년 스페인의 프랑코 파쇼정권말기의 상황과 민주정권의 수립과정을 그렸다면 <제너럴 리포트 2>라 할 수 있는 이번 작품은 높은 실업률로 고통을 겪고 있는 스페인의 현주소를 말하고 있다.
거주민을 내쫓는 경찰에 맞서 퇴거반대농성을 하는 모기지피해자연대에서 시작해, 카탈루냐의 독립운동을 거쳐 북극의 무너지는 빙하까지 도달하는 긴 여정은 자칫 갈피를 잡기 어렵다. 그러나 영화 막바지에 이르러, 켜켜이 쌓인 빈 투표함들 위에 시민들이 투쟁하는 모습을 겹쳐 보이는 감독의 연출은 그가 바라보는 희망이 정치에 있고 특히 선거와 시민들의 투쟁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품성 있다는 평을 받는 다큐멘터리들도 내용의 깊이를 영상미학이 따라가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포르타베야감독은 방대한 내용을 예술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영화 <신유럽조약>은 정치, 사회와 예술이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스페인이 파쇼정권 아래 탄압받던 시절을 피카소의 그림 <게르니카>로 설명하고, 철학자와 학자들의 대화를 아름다운 카메라 앵글로 담아내는 연출은 감독의 정치적, 사회적 시선에 이어 그가 예술을 바라보는 눈까지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게 해준다.
9회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처음으로 남코리아에 소개된 페레 포르타베야 감독의 작품은 이번 17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세번째로 남코리아관객들과 만났다. 이는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거장 영화감독들의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것이 전주국제영화제가 지닌 가장 큰 가치가 아닐까. 신자유주의에 대한 인상적인 비판을 남기는 이 영화는 단연 스페인에만 국한하지 않고 인류의 미래를 향한다. 페레 포르타베야가 던지는 메시지와 그의 독보적인 영상미학은 인상적인 책을 읽고 난 경험처럼 지적 충격으로 남는다.
전주국제영화제 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