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넘게 취업하지 못한 청년이 28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3년이상 장기미취업상태인 청년은 27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확산이 장기화되면서 고용시작이 악화된 것과 관련된다.
또 조사결과 미취업기간에 구직활동이나 직업교육, 학원·도서관 등에 다니며 취업 준비를 하거나 육아·가사활동 등을 전혀 하지 않은 <니트족>은 9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니트족>은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니트족>은 전체 무직자의 3분의 1수준으로 지난해 7만1000명과 비교했을 때 2만5000명(35.8%)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25~29세)가 6만1000명으로 63.5%를 차지했으며 20대 초반(20~24)이 3만1000명(32.5%), 10대 후반(15~19세)이 4000명(4.0%)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17년 기준 청년(15~29세) <니트족>의 취업기회손실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연간 49조4000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한편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니트족>으로 지낸 이유(복수응답)로 <코로나19와 경기침체 등으로 굳게 닫힌 취업문을 뚫을수가 없어 취업 활동을 아예 포기했다>는 것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또 <계속되는 탈락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위축됐었기 때문에>, <주변의 기대감 및 내 눈높이에 맞는 기업으로 취업이 어려워서>, <건강 등 개인 사정으로 인해>, <취업이 아닌 다른 일을 도전해 보려고> 등이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취업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조건에서 정부와 기업이 청년층의 이욕을 돋구기 위해서라도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할 때만이 <니트족>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