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연구개발(R&D)예산효율화를 내걸고 내년 예산을 5조2000억원(16.6%)가량 삭감한다고 밝히면서 올해 하반기부터 대학실험실의 젊은연구자 2800여명은 인건비를 받지 못하게 된다.

3일 국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소속 더불어민주당이정문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생연구자의 인건비를 통합관리하는 국내교육기관 62곳은 올해 하반기(9월~내년 2월) 학생인건비지급액을 올해 상반기(1~8월)와 비교해 4~10%가량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보면 62개교육기관의 올해하반기 학생인건비 월평균예상지급액은 626억5900만원으로 올해상반기 661억6000만원에서 5.2%가량 줄어든다. 교육과정별로는 학사인건비 월평균예상지급액은 69억8000만원으로 상반기 77억9000만원에서 10.4%, 석사는 293억원에서 278억원으로 5%, 박사는 291억원에서 278억원으로 4.2% 줄었다.

특히 이들 기관은 학생인건비지급 예상인원을 올해 상반기 7만2349명에서 6만9537명으로 2812명(3.8%) 줄였다. 학사를 1207명(7.5%)으로 가장 많이 줄였고, 석사 926명(2.9%), 박사 679명(2.8%) 순이다.

교육기관별로는 고려대와 중앙대, 경북대가 각각 696명, 620명, 612명씩 줄인것으로 나타났고, 인천대와 충남대, 연세대도 각각 296명, 208명, 227명씩 200명 넘게 줄였다. 지급대상을 100명 넘게 줄인 곳은 17곳에 달했다.

교육과정별로는 중앙대가 430명에서 228명으로 202명(47%) 가장 많이 줄였고, 석사는 고려대가 1829명에서 1440명으로, KAIST가 3058명에서 2790명으로 가장 많이 줄였다.

지급규모로 보면 충남대는 학사학생인건비를 상반기 3억9400만원에서 하반기 1억7500만원으로 줄이며 감소폭이 가장 컸고, 고려대는 석사인건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사인건비를 가장 많이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건비지급대상을 늘린 대학도 있었다. 한양대학교는 같은 기간 지급인원을 1476명, 부산대는 487명, 부경대는 165명, 경희대는 141명, 성균관대는 140명을 늘렸다.

학생연구자 1명이 받는 월평균인건비는 학사의 경우 48만1774원에서 46만6606원으로 1만5168원 줄고, 석사는 90만5400원에서 88만5080원으로, 박사는 122만366원에서 120만3621원으로 줄었다. 정부는 올해 3월부터 학생연구자인건비기준을 학사는 월 100만원에서 130만원으로, 석사는 월 180만원에서 220만원으로, 박사는 월 25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대폭 인상했는데, 실제지급액은 줄인 셈이다.

이의원은 <학생인건비를 통합관리하지 않는 <비통합기관>까지 포함하면 학생연구자인건비지원 축소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에만 전념할수 있도록 예산심의 과정에서 R&D예산원복 등 국회차원의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photo_2023-10-06 17.53.38.jpeg
번호 제목 날짜
1952 대학가에 붙은 〈팔레스타인 지지대자보〉 학내 논쟁 file 2023.10.16
1951 지난해 대학졸업유예금 10억 ... 등록금의 12.5%까지 받아 file 2023.10.12
1950 충북대통합반대학생연합 <우리단체는 통합시도자체를 반대한다> file 2023.10.11
1949 대학지원사업이 낳은 대학통폐합 ... 교육안정성은 어디에 file 2023.10.10
1948 <후쿠시마오염수방류하는 이유> 서술하라는 대학교양수업 file 2023.10.10
1947 〈등록금 인상 반대!〉 대학릴레이행동 이어져 file 2023.10.10
1946 이주호의 〈무전공입학〉의지 … 기초학문붕괴 우려 커져 file 2023.10.09
1945 사라지는 대학〈과방〉 ... 학생자치공간 어디로 file 2023.10.08
1944 〈등록금인상시도 중단하라!〉 … 대학생 95%는 인상반대 2023.10.07
1943 〈경제적 이익 위해 최소한의 규정마저도 삭제〉 ... 대학구조조정 쉬워진다 file 2023.10.06
» R&D예산삭감 5.7조원 ... 젊은 학생연구자 2800명 쫒겨난다 file 2023.10.06
1941 육사 앞세운 〈항일역사지우기〉 ... 홍범도흉상 이어 독립전쟁영웅관도 철거 file 2023.10.05
1940 기형적인 입시구조로 지방대 이탈속출 file 2023.10.04
1939 사회구조적으로 빚어진 2030세대의 <빚> 굴레 file 2023.10.03
1938 재정난이라더니 사립대곳간엔 장학적립금 수백억 file 2023.10.03
1937 학생의 목소리는 10% ... 무늬만 총장직선제 file 2023.10.01
1936 계속 미뤄지는 국립대특수학교 설립 ... 3곳중 1곳 겨우 착공 file 2023.10.01
1935 〈학생역량 길러주는 고등교육〉이라지만 실상은 열약 file 2023.10.01
1934 부산대 학생투표권비율 여전히 10%이하 ... 학생비중 더 높여야 file 2023.09.29
1933 〈강사법〉 시행 4년, 비정규교원 늘고 처우개선은 제자리 file 2023.09.22
1932 <등록금만 바라보는 한국 대학> ... 정부지원은 허술 file 2023.09.14
1931 <불이익 주겠다> 협박 … 연구인건비 빼돌린 지방국립대교수 구속 file 2023.09.13
1930 민주적 대학운영구조 확립 위한 서울예대 교수노동조합 건설 file 2023.09.13
1929 <혜택은 여학우만 받는다?> … 대학내 복지인식 달라져 file 2023.09.12
1928 <천원의 아침밥>사업중단·축소 대학 속출 … 비용부담구조 문제 file 2023.09.10
1927 뉴라이트성향 육사교수, 홍범도흉상철거 맡아 논란 file 2023.09.07
1926 서울대총학생회에 비판 <사회문제에 대해 기계적 침묵> file 2023.09.07
1925 경희대학내대자보,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교수발언 규탄 file 2023.09.05
1924 수강신청 당일 폐강 … IT분야 교수 구인난 심각 file 2023.09.03
1923 고립되는 젊은층 <공부만 강요하는 사회 .. 좋아하는 것 찾을 자유 줘야> file 2023.09.01
1922 <장학금으론 턱없다> ... 대학생들은 여전히 알바생 file 2023.09.01
1921 학자금대출은 늘어가는데 ... 등록금 동결에도 상승한 대학별 적립금 file 2023.09.01
1920 <서현역흉기난동>대학생피해자 발인식 엄수 file 2023.08.31
1919 15년째 집에만 ... 고립생활에 내몰린 청년들 file 2023.08.31
1918 나사렛대 현직교수 17명, 학교 상대로 승소 file 2023.08.31
1917 반발하는 민심속에 강행되는 육군사관학교 홍범도흉상 철거 file 2023.08.30
1916 아무 제재없는 대학가 전동킥보드 … 안전불감증 심각 file 2023.08.30
1915 서울대 77회 학위수여식 ... 최재천교수, 공정과 양심 당부 file 2023.08.30
1914 갈수록 증가하는 교수들의 뇌물수수 혐의 file 2023.08.29
1913 <청년백수> 126만명 돌파, 하반기채용문 더 비좁을 전망 file 2023.08.29
1912 교통비 이어 월세인상까지 ... 새학기부터 대학생 시름 file 2023.08.29
1911 반복되는 수강신청 실패 ... 이제는 <강의매매>까지 file 2023.08.29
1910 〈등굣길 참변 책임지고 총장 사퇴하라!〉 동덕여대생 1000여명 추모촛불 들어 file 2023.06.15
1909 동덕여대학생들 건의묵살 ... 끝내 등굣길 참변 file 2023.06.10
1908 충북대 약대교수 <처리후 희석한 후쿠시마 오염수 마시겠다> 주장 file 2023.06.08
1907 윤석열정부 글로컬대학사업으로 대학-학생 충돌심화 file 2023.05.26
1906 대학생들, 재정난문제해결요구 기자회견 file 2023.05.07
1905 4년제대학 1인당 평균등록금 680만원 ... 17곳 올해 인상 file 2023.05.05
1904 한국외대교수시국선언, <시일야방성대곡> 언급 file 2023.05.03
1903 성균관대교수들, 윤석열굴욕외교 규탄 시국선언 발표 file 202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