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이 취업을 위해 좀 더 많은 스펙을 쌓고자 졸업을 유보하는 가운데, ˂졸업유예˃제도를 도입한 대학 10개곳중 7곳은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수강을 하도록 강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연구소가 교육부에 청구한 <졸업유예제 관련 실태조사 및 정책방침> 정보공개 결과, 20147월기준 졸업유예 실시 대학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많았으며 대다수대학이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징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졸업유예>는 졸업에 요구되는 학점을 다 채운 상태지만 취업전까지 학적을 유지하는 제도다이같은 현상은 대기업의 신입공채, 인턴채용시 졸업생보다 졸업예정자 혹은 재학생을 더 선호하기 때문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은 졸업요구조건보다 몇 학점을 일부러 덜 수강한다던지 또는 낙제점수를 받아 학기를 넘기는 방법 등으로 학적을 유지한다.

졸업유예제 실시 현황.png 

출처 / 대학교육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교육부가 조사한 176개교 가운데 졸업유예제를 실시하는 대학은 전체의 62.5%110개교였으며 수도권대학 59개교 가운데 졸업유예를 도입한 곳은 28개교(47.5%), 지방은 117개교 중 82개교(70.1%)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연구소는 <상대적으로 취업이 더 어려운 지방대학에서 졸업유예를 많이 도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졸업유예제 수강 여부.png

출처 / 대학교육연구소


이러한 대학들 가운데 수강여부를 학생이 선택가능하게 한 학교는 27개교이지만 이중 15개교는 수강신청을 하지 않더라도 등록금을 징수하고 있었다.

 

대학들은 <대학등록금에 관한 규칙>에 등록금 징수기준(1~3학점 신청시 등록금의 1/6 )으로 등록금을 받거나, 학점당 등록금 또는 등록금의 일정비율을 받고 있다.

 

학점당 정액으로 받는 경우 대학별징수금액 기준이 달라 1학점당 최저 35000, 최고 232000원 등 7배의 차이를 보였다. 등록금의 일정비율을 받는 경우 <정규학기 등록금총액의 1/20에서 1/6>까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수강신청을 하지 않아도 졸업유예가 가능한 대학들의 등록금액도 천차만별이었다. 가장 저렴한 대학으로는 한림대가 5만원, 경동대가 573425원으로 가장 비쌌다.

 

추가 학기를 하더라도 학점등록을 필수화해 등록금을 징수하는 대학중 연세대로 한학기 최소학점 등록금은 평균 722983만원이었고 반면 가장 저렴한 곳은 전북대로 341542만원이었다.

 

연구소는 <졸업유예생이 많을 경우 (교수 1인당 학생수 항목 등 각종 대학평가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고 판단한 대학들이 졸업유예 기준을 까다롭게 개정하거나 졸업유예를 선택 한 학생들에게 등록금 등 비용을 부담시키면서 대학 수입을 늘리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들은 졸업유예생이 학교에 남아 학교시설을 이용하기 때문에 등록비를 받는다고 하지만 사실 이들이 이용하는 시설은 도서관이 전부>라며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 평가지표에서 졸업유예생으로 인해 대학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조정하고 대학들은 수강신청 학생에게만 등록비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우종기자

번호 제목 날짜
504 대학노조 ˂기성회비에 상응한 정부재정지출 확대해야˃ file 2015.02.04
503 수원여대노조 보복성징계 당해 file 2015.02.04
502 ˂난 재수하는데!˃ 합격한 친구 질투나 수시모집 합격 취소 file 2015.02.04
» ˂졸업유예˃제도 도입 대학들, 의무수강으로 등록금징수 file 2015.02.03
500 사학비리고발교사 두 번 죽이는 학교법인 file 2015.02.03
499 동덕여대 비리총장 개방이사로 복귀, 말이되나? file 2015.02.02
498 7일, 한대련 전학대회 전남대서 진행 file 2015.02.02
497 명지전문대 재단명지학원 ˂체납금45억원˃에도 나몰라라 file 2015.01.30
496 ˂인턴˃, 알고보니 청년착취 file 2015.01.30
495 상지대범대위, 교육부에 ˂조속한 정상화˃요구 file 2015.01.29
494 대학노조, 정부에 ˂돈이 아닌 참교육 책임져라!˃ file 2015.01.29
493 고대학생들, ˂적립금3000억이 웬말? 등록금인하하라!˃ file 2015.01.28
492 숭실대청소노동자, 용역업체˂갑질˃중단하라! file 2015.01.27
491 대학생들, 취업률우선하는 대학구조개혁 반대한다! file 2015.01.26
490 대학강사투본, 조선대서정민강사사건 조속처리 요구 file 2015.01.23
489 대교연, ˂정부는 청년들의 미래에 대한 대책마련하라˃ file 2015.01.21
488 높은 입학금책정, 대학원생들 부담늘어 file 2015.01.21
487 취업난가속화로 대학중도탈락자 늘어 file 2015.01.20
486 대학구조개혁, 졸업유예제 폐지 확산해 file 2015.01.19
485 청주대총학생회, 기숙사비인하촉구 file 2015.01.15
484 상지대범비대위, 민주화위한 다양한활동 진행하겠다 file 2015.01.15
483 대교연, ˂새터금지˃는 학생자치활동 위축방안 file 2015.01.14
482 교육부 〈묻지마〉 국립대총장 임용거부 file 2015.01.13
481 취준생들, 대학졸업장 가치 모르겠다... 절반이상으로 조사돼 file 2015.01.12
480 청주대범비대위, 13일 학교측과 공개토론회 file 2015.01.12
479 전남대, 후문을 시민문화광장으로 조성 file 2015.01.11
478 원광대, 수도권캠퍼스 설립...대학살리기 자구책? file 2015.01.10
477 중앙대, F학점이외엔 재수강불허 file 2015.01.09
476 청년들, 본격적 경제생활 시작도 전에 빚더미에 깔려 file 2015.01.09
475 교육부, 2015년 국가장학금 지원 방안 발표 file 2015.01.08
474 이화여대 등록금 2.4%인상, 학생들 반발 거세 file 2015.01.08
473 정부 〈올해 반값등록금 완성〉 … 당사자들 체감 못해 file 2015.01.07
472 대학노조, 기성회비반환소송 판결대비 대체입법 촉구 file 2015.01.07
471 한국외대, 전과목 상대평가방침 법정다툼으로 번져 file 2015.01.06
470 연세대학생들, 기숙사비용 인하 촉구 기자회견 file 2015.01.06
469 교육부, 등록금분할납부 학기당 4회로 확대 … 가이드라인에 그쳐 file 2015.01.05
468 제주한라대교수 〈재임용탈락은 보복성인사〉 file 2015.01.04
467 2014년 대학10대뉴스 file 2015.01.04
466 국제전형 부당광고 유학업체 적발 file 2014.12.31
465 교육부 경북대 총장 임용제청 거부 반발 확산 file 2014.12.31
464 조현아, 인하대 이사 사임 제출했으나 여전히 이사 file 2014.12.30
463 청주대 신임총장에 황신모부총장 ... 구성원들 반발 file 2014.12.28
462 김무성, 열악한 알바 처우 ˂고생을 약으로 생각하라˃ 발언논란 file 2014.12.28
461 한국외대학생들 본관 점거 … 〈전과목 상대평가 소급적용〉 반발 file 2014.12.26
460 연세대학생들 ˂청소·경비 노동자 해고반대˃ 목소리 file 2014.12.19
459 상지대, 총장퇴진요구한 정대화교수 파면조치 file 2014.12.18
458 대학비판하다 파면된 교수, 1심서 승소 file 2014.12.16
457 인하대, 용역업체교체...경비원해고위기 file 2014.12.16
456 교육시민단체, 기성회비 등록금화 저지 기자회견 file 2014.12.15
455 교육부, 대학내 성범죄사건 해결위한 학칙개정 권고 file 201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