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연구소는 논평을 통해 교과부(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평가개선안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지난 6일 한국대학교육연구소는 논평을 통해 '교과부가 발표한 「2013년 대학평가지표개선안」이 교과부 대학평가자체의 신뢰성과 형평성을 제고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이명박정부 들어 교과부의 대학평가는 ‘퇴출’ 등 강력한 대학구조조정수단으로 활용돼 왔다. 정부재정지원사업 참여가능여부를 넘어 대학의 존폐문제가 교과부평가에 달렸다. 특히,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이나 학자금대출제한대학은 대학교육의 질 제고보다는 상대평가를 통한 하위대학을 ‘퇴출’후보군으로 추려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라며 '이같은 대학평가는 대학의 외부환경을 무시한 채 지방군소단위대학 죽이기로 구조조정을 몰고 가는 것 이상이 되기 어렵다'고 교과부의 대학평가에 대해 비판했다.

 

계속해서 '더 이상 교과부 대학평가가 ‘구조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안된다. 재정운영의 건실성과 교육여건 개선가능성, 대학운영의 투명성‧민주성 등 대학운영실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실정에 맞는 대학지원 및 육성방안을 마련하는 것, 이것이 차기정부가 해야 할 대학평가개선방향'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한국대학교육연구소의 논평 전문이다. 

 

교과부 대학평가, 문제의 핵심은 지표개선이 아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126일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학자금대출제한대학, 대학교육역량강화사업 등 주요 대학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의 일부를 개선‧보완한 「2013년 대학 평가지표 개선안」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교내취업 상한 설정 △유지취업률 도입 및 비중 조정 △등록금 절대수준 비중 상향조정 △정원감축에 따른 가산점 부여 등이다.


이 외 정부재정지원 제한 대학 평가의 경우, 지표 개선에 더해 취업률(20%→15%)과 재학생충원율(30%→25%) 지표 비중을 각각 5%씩 낮추는 대신, 교육비환원율(7.5%→12.5%)과 전임교원확보율(7.5%→10%), 학사관리 및 교육과정(10%→12.5%) 지표 비중을 상향 조정했다(4년제대학기준).


이번 교과부의 평가지표 개선 조치는 평가지표의 신뢰성과 형평성을 제고하고, 정원감축 등 대학의 자발적 구조조정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그간 제기됐던 대학 내‧외의 비판을 일부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교과부 대학 평가 자체의 신뢰성과 형평성을 제고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교과부 대학 평가 문제의 핵심은 단순한 지표 개선이 아닌, 목적의 타당성과 그 수단이 되는 지표의 적합성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명박정부 들어 교과부의 대학 평가는 ‘퇴출’ 등 강력한 대학 구조조정 수단으로 활용돼 왔다. 정부 재정지원 사업 참여 가능 여부를 넘어 대학의 존‧폐 문제가 교과부 평가에 달렸다. 특히,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이나 학자금대출 제한대학은 대학교육의 질 제고보다는 상대평가를 통한 하위 대학을 ‘퇴출’ 후보군으로 추려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렇다보니 자연스럽게 재학생충원율과 취업률 등 적자생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성과위주의 조건이 주요 평가지표가 되어 왔으며, 대학의 취업률 부풀리기 등 부작용 또한 극대화됐다.


이 같은 대학 평가는 대학의 외부적 환경을 무시한 채 지방 군소단위 대학 죽이기로 구조조정을 몰고 가는 것 이상이 되기 어렵다. 서울 대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대학 서열화 체제 속에서 이 지표들은 대학 자체 노력만으로는 개선이 어려운, 사실상 교육 외적인 지표이기 때문이다. 학벌주의를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병행되지 않는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것은 취업률 지표의 신뢰성을 높이고, 취업률과 학생충원율 지표 비중을 50%에서 40%로 낮춘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정원 감축 또한 퇴출 위기에 몰린 대학들의 궁여지책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정작 수도권 대규모 대학들의 정원 감축은 이끌어 내기 어렵다.


더 이상 교과부 대학평가가 '구조조정'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지금가 같이 전체 대학을 줄 세워 '퇴출'을 유도하기 위한 대학평가로는 우리 대학의 질적 발전을 이룰 수 없다.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전체 대학의 절대적 체질을 개선하고 대학 부실운영을 예방하기 위한 진단으로서의 대학평가가 필요하다. 재정운영의 건실성과 교육여건 개선가능성, 대학운영의 투명성, 민주성 등 대학운영실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실정에 맞는 대학지원 및 육성방안을 마련하는 것, 이것이 차기 정부가 해야 할 대학평가개선 방향이다.



윤정민기자

번호 제목 날짜
152 고려대, 내년부터 성적증명서에 ‘F학점’ ‘재수강’ 표기한다 file 2013.12.09
151 교육부 “총장직선제 부활시 대학 재정지원중단” file 2013.12.07
150 옛탐라대부지, ‘교육용부지’만들라고 헐값에 내놨더니 ’수익용부지’로 매각한다고? file 2013.12.06
149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
148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47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46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45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44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43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42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41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40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39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38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37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36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35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34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33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32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31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30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29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28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27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126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25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24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23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22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21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20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19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18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17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16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15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14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13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12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11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1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09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08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06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0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04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
103 각종 투표참여캠페인 활발 “1219 투표합시다” file 2012.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