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에 구조조정바람이 매섭게 불고 있다. 경쟁력강화를 위해 학과통·폐합, 캠퍼스이전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교내·외 갈등이 심해지는 양상이다.

 

지난 2011년 구조개혁중점추진국립대학으로 지정됐던 강원도강릉원주대는 최근 일부학과 이전·통폐합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에 따른 학생, 교수, 지역사회 등 안팎으로 극심한 반대에 부딪쳤다.

 

대학측은 강릉캠퍼스공과대학을 신소재에너지대학(가칭)으로 변경하고 전기공학과, 산업정보경영학과, 토목공학과를 원주로 이전해 원주캠퍼스를 공학전공캠퍼스로 특성화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일부 교수와 시민단체들이 ‘공과대학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인재육성기조에 반하는 일’이라며 반대하는 상황이다.

 

지역시민단체들은 “공과대학 이전은 지역국립대의 설립취지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 마그네슘산업단지 조성, 동해안 경제자유구역지정 등에 따른 지역산업인력수요증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학생들 역시 “캠퍼스간 학과이전과 같은 중대한 사안이 학생들의 의견수렴 없이 결정돼선 안된다”고 반발하며 구조조정안재검토, 학기중공청회 개최, 구조조정관련문건공개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학측은 구조조정안을 수정해 다시 공청회를 열고 28일 교무회의에서 심의하겠다고 밝혔다.

 

강원도립대 역시 취업률이 낮은 자동차과와 산업디자인과를 없애고 관광과는 6개월 폐과를 유보하는 내용의 ‘학과 구조조정 및 2014학년도 학생정원 조정안’을 확정했지만 해당학과 교수들과 학생회가 밤샘농성을 벌이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강릉원주대의 한 관계자는 “이미 ‘부실대학’낙인이 찍힌 대학들로서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 이라며 “대학생존권확보를 위해서는 구성원반발을 무릎쓰고라도 교과부의 컨설팅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당학과와 교수협의회 쪽은 “폐과관련한 해당 교수 및 이해당사자들과 합의 없이 정원조정 회의가 열렸고, 교수회에서 심의하지 않은 사안을 교무위원회가 의결하는 등 학칙도 어겼다”며 발발했고 한동준 강원도립대 교수협의회장은 “이번 폐과 결정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며 “이렇게 무리수를 두면서 대학을 경영한다면 대학 장래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학과구조조정에 대한 반대가 극심한데도 불구하고 실제로 대다수 지방대학은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구조조정을 받아들이는 추세다.

 

경남창원대학교는 이미 지난해 7월 학사구조개편을 단행했다. 


노동대학원과 그린에너지대학원을 없애 대학원을 8개에서 6개로 줄였고, 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신소재공학부와 합쳐 메카트로닉스융합대학으로 확대했다.

 

‘비특성화학과홀대’,‘절차상 하자’ 라는 비판이 잇따랐지만 결국 올해 3월 신학기부터 개편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광주조선대도 현행 83개 학과를 60여개로 통폐합하는 강도 높은 구조개혁안을 오는 4월 말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학교 측은 구조개혁안이 단행되면 연간 70여억원이 절감돼 재정건전성 확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지난해 총장 선거를 두고 내홍을 겪은 조선대의 대대적인 구조조정계획이 알려지면서 또 한번의 진통이 예상된다.

 

경기대 또한 학교재정안정화와 경쟁력 강화 및 취업률 재고를 위한 강도 높은 구조개혁을 예고한 상태이다.

 

최근 9대 총장으로 선임된 김기언 전 경기대 교수회장은 “중복학과 통·폐합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특수대학원도 모두 구조조정 대상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지방대학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대학보다 충원율과 취업률이 갈수록 떨어지는 상황에서 지방대학의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대세”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지방대학 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소는 부실 경영보다는 수도권 집중화와 대학 서열화 등 사회구조적인 문제”라며 “정부가 지역균형 발전의 시각에서 접근하지 않는다면 대학들의 자구책도 근본적 해결책은 안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유하나기자 

번호 제목 날짜
153 광운대, 노조-학교 합의 이뤄 업무복귀 file 2013.12.10
152 고려대, 내년부터 성적증명서에 ‘F학점’ ‘재수강’ 표기한다 file 2013.12.09
151 교육부 “총장직선제 부활시 대학 재정지원중단” file 2013.12.07
150 옛탐라대부지, ‘교육용부지’만들라고 헐값에 내놨더니 ’수익용부지’로 매각한다고? file 2013.12.06
149 전국 사립대 ‘수익용기본재산’ 확보율 49.3%에 불과 file 2013.12.05
148 고려대, 김조광수강연회 강의실대관 갑자기 취소통보 file 2013.12.03
147 법원, 조선대 신임이사 직무집행정지판결 file 2013.12.03
146 원광대 제2캠퍼스 설립 … 익산시 야단법석 file 2013.11.24
145 학생자치기구 학생회, 자격제한 대학 25곳 file 2013.11.23
144 서울여대, 청소·경비노동자들 인권유린 심각 file 2013.11.16
143 서남수교육부장관, “대학들 5등급으로 분류해 최하위그룹의 경우 퇴출” 발언 file 2013.11.11
142 “피카소‧황석영‧고은, 취업 안하고도 당대의 문화 이끌어” file 2013.07.24
141 한남대철학과폐과 ... 대학평의원회반대에도 대학본부 ‘모르쇠’ file 2013.06.27
140 [인터뷰] 대학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맞선 중앙대비교민속학과 정태영학생회장 file 2013.06.12
139 중앙대 구조조정에 맞선 공대위 ‘학교의 주인은 꿈을 찾아온 학생’ file 2013.06.08
138 경남대철학과폐지비상대책위 ‘대학은 기업체가 아닌 학교’ 기자회견열어 file 2013.06.05
137 중앙대 ‘학칙개정만 하면 구조조정 사실상 마무리’ … 학생들 “소통에 대한 의지부족” file 2013.05.29
136 한대련 “대학엔 돈 없어 못가고 돈 안되는 학과는 폐지” … “상업적 대학구조조정 반대” file 2013.05.28
135 인하대, '학생들의 단결된 힘'으로 막아낸 대학구조조정 file 2013.05.26
134 조선대, 윤창륙교수평의회의장 '대학정상화'위해 무기한단식투쟁 돌입 file 2013.05.25
133 '짓밟힌 순수미술' ... “청주대 회화학과 폐과결정 취소하라” file 2013.05.24
132 충북지역대학들 잇단 구조조정… 학생들과 마찰 불가피 file 2013.05.21
131 대학구조조정, 수도권 일반대 학생수 증가만 초래해 file 2013.05.16
130 중앙대, 전공선택비율 학부 대상으로 구조조정 추진 file 2013.05.13
129 조선대, 개교 이래 최초 대대적인 학과구조조정 실시 file 2013.05.08
128 부산지역에도 학과구조조정 바람 거세 마찰 예상 file 2013.05.06
127 배재대, '밀실논의'통해 대규모 학과구조조정 실시 … 해당학과 학생들 “언론보고 알았어요” file 2013.05.03
» 지방대학 구조조정에 내몰려… 교내‧외 갈등 심화 file 2013.02.25
125 충북교육발전소, 대학입학금폐지운동 제안 file 2013.02.10
124 고려대 '박사 아닌 강사에게 강의 못 준다’ file 2013.02.09
123 ‘왜 카이스트총장을 해외에서만 데려와야 할까?’ file 2013.02.06
122 조선대총장 “83개학과 60여개로 통폐합” ... 대대적 구조조정 file 2013.02.02
121 학교건물 도맡아 짓던 회사대표가 우리학교 개방이사? file 2013.02.01
120 시립대 ‘반값등록금’ 실시후 학자금대출자 절반으로 감소 file 2013.01.08
119 서울시립대 ‘등록금동결’ ... 한국외대 등도 동결로 가닥 file 2013.01.08
118 대구∙경북지역 총학생회, '등록금동결? 등록금 더 낮춰야!' file 2013.01.03
117 고대세종 총학 “'박사학위취득자만 수업가능' 총장방침 부당” file 2013.01.02
116 서울대 인권법학회, 삼성전자전사장 사회학교수임용반대 file 2012.12.26
115 내년 등록금인상률 4.7%제한, 반값등록금은? 2012.12.24
114 5개대학 비정규교수들 파업돌입 ... “생활임금 보장해야” file 2012.12.21
113 5060세대 유권자수·투표율 모두 2030세대보다 훨씬 높아 2012.12.20
112 조국, 문재인후보 TV찬조연설문 전문 file 2012.12.19
111 문재인 ‘10대대학개혁추진안’ 발표 2012.12.17
110 대학생 10명중 7명 “반값등록금 실현가능성 문재인 더 신뢰” 2012.12.17
109 김용옥, 혁세격문 발표 “분노하라! 직시하라! 투표하라!” 2012.12.17
108 진보당 이정희후보 전격사퇴 ... 3차대선토론 양자대결로 2012.12.16
107 대학평가, '지표개선'이 아니라 '지표적합성'이 문제의 핵심 file 2012.12.15
106 대선 부재자투표 최종투표율 92.3% ... 89만8400여명 참여 2012.12.14
105 전남대총학생회 “반값등록금 실현할 문재인후보 지지” 2012.12.14
104 서강대동문 “박근혜동문의 당선은 역사의 후퇴” 201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