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11일 기준 전국124개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전국4년제대학(190곳)의 65%가 등록금을 올리며 2009년부터 17년째 이어진 정부의 등록금 동결기조에 반대의사를 표한 것이다.
대학별로 액수가 다르지만 124개대학은 이달 2009년이후 처음으로 11만~19만원(국공립대및사립대평균등록금기준)정도 인상된 1학기등록금고지서를 학생들에게 청구했다.
올해 등록금을 올린 대학수는 동결한 대학(50곳)의 2.5배다. 지난해 등록금인상대학은 26곳, 2023년 17곳, 2022년 6곳에 그쳤다.
올해 등록금인상은 서울지역대학들에서 우선적으로 이뤄졌다. 최근 몇년간 등록금인상이 학생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지방대위주로 이뤄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난해 등록금인상에 나선 대학은 모두 사립대였다. 하지만 올해는 국공립대10곳도 등록금인상에 동참했다. 특히 서울시립대, 부산교대, 한국교원대는 모두 법정인상한도(5.49%)만큼 등록금을 인상했다.
이주호부총리겸교육부장관은 지난해 12월31일 대학들에 엄중한 시국상황을 숙고해 2025학년도등록금을 동결해달라는 서한문을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곳이 넘는 대학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한 데에는 심각한 재정난으로 더이상 버틸수 없다는 한계의식과 함께 정부에 대한 반감과 불신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작년 윤석열정부가 강행한 의대증원방침에 따른 갈등으로 휴학생들의 등록금반환과 병원 재정위기를 겪었던 대학에서 정부의 등록금동결방침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였다.
의대가 있는 한 대학 등심위회의에서는 2024학년도 의대생휴학건으로 등록금을 반환하며 대학운영이 굉장히 어려워졌다며 (의대증원으로) 시설환경개선에도 많은 자금이 투입되는데 등록금수입이 떨어져 운영이 곤란하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