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가 18일 전국40개의대운영대학에 의대생집단휴학불가를 재차 강압하자 해당 대학총장들은 휴학계반려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의대교수들이 규탄하고 나섰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17일 성명 <의대학장들께 드리는 글>에서 의대생 압박과 회유를 통해 의학교육정상화가 이뤄질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의교협은 <학칙에 따라 개인적으로 휴학연장을 신청한 학생들에게 교육부와 일부 의대 학장들은 일괄적인 휴학수리불가와 함께 제적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며 <교육자로서 올바른 자세라고 할수 없다. 제적을 거론하기 전에 총장과 학장은 휴학을 신청한 개별 학생들과 직접 충분한 대화를 해봤나>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원칙과 상식 내에서 최대한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무리하게 추진된 의대증원, 의료정책의 피해자는 전공의와 의대생이라고 짚으면서 <의대운영을 담당하는 의대학장과 총장들은 더욱 신중하고 진지한 자세로 당사자인 학생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뜻을 헤아려 달라>며 <이미 무너져내린 이 나라의 의학교육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지 함께 고민하자>고 촉구했다.
의대생들의 복귀를 전제로 2026년 모집인원에 국한해 3058명을 되돌리겠다는 교육부발표에 대해서는 <정부는 선결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즉시 의대증원, 의료정책의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정부는 의정사태의 책임을 통감하고 조건부의 강압적 지침이 아니라 사태해결을 위한 진솔한 사과와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